탈북청소년 계절학교 입학
“형,언니가 많이 생겨서 기분이 너무 좋아요.” 3일 오후 서울 성수동 성수중학교.겨울방학으로 잠시 ‘주인’을 잃은 교실에 반가운 손님들이 찾아왔다.탈북 청소년 21명이다.어렵사리 남쪽에 넘어와 정착했지만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아이들이다.형,언니,친구를 만난다는 생각에 눈망울은 초롱초롱했고 얼굴은 빨갛게 상기돼 있었다.
이날은 탈북 청소년을 위한 한겨레 계절학교 입학식이 있는 날이다.사단법인 북한인권시민연합이 지난해 8월 처음문을 연 일종의 예비학교다.
정아(17·여·가명)에게 이번 계절학교는 두번째다.지난해 8월 처음 다녔다.강원도가 고향인 정아는 지난 2000년부모,오빠,남동생과 남쪽 땅을 밟았다.남북한 학력 차이때문에 초등학교 4학년으로 편입했지만 동생뻘 되는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기란 쉽지 않았다.학교를 그만두고 오빠와 함께 검정고시를 준비,지난해 5월 나란히 초등학교 졸업 검정고시에 합격했다.장래 희망이 탤런트라는 정아는“국사나 영어,한문 등 따라잡기 어려운 공부를 오빠,언니들에게 배울 수있어 너무 신난다”고 말했다.
올해 처음 계절학교에 다니게 된 지혁이(15·가명)도 “아직 학교에 편입하지 못했지만 올 겨울방학 동안 열심히공부해서 남쪽 친구들을 따라잡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계절학교에 다니는 3주 동안 아이들은 선생님과 함께 생활하면서 공부도 하고 남쪽 생활에 대한 궁금증도 푼다.국어와 영어,수학,과학,사회 등 기본 과목 외에도 컴퓨터,힙합댄스,한문 등 특별활동 시간도 가진다.저녁에는 보조교사인 자원봉사자 형,언니들과 함께 공부한다.
진로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도 있고 토요일에는 노인정이나 사회복지시설 등을 찾아가 자원봉사 활동도 한다.
나보다 훨씬 어려운 사람도 용기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배운다.
지난해 8월 처음 열린 계절 학교에는 26명의 아이들이 인연을 맺었다.이번 겨울방학에는 30여명의 교사,자원봉사자들이 함께 할 예정이다.
교사와 보조교사는 모두 자원봉사자들이다.탈북 청소년들이 통일의 씨앗으로 자라주기를 바라는 마음에 두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해 보조교사로 참여한 신찬우씨(26·경상대 정치외교학 전공)는 수시로 e메일이나 인터넷 채팅으로 아이들과만난다.그는 “지난해 여름학교에 참여했던 아이들이 학교까지 찾아와 놀자고 졸라대는 모습을 보면 마치 친동생 같다”고 말했다.변재영씨(22·여)는 “주위에서 탈북자라는 이유만으로 편견을 가지는 사람들을 보면 정말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재천기자 patr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