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전 3기’ 박수현 설욕 성공… ‘편법 대출·막말 논란’ 양문석·김준혁 당선
22대 총선의 또 다른 관전포인트는 전체 254개 지역구의 14%에 해당하는 35곳에서 벌어진 ‘리턴매치’ 결과에 모아졌다. 상당수 지역에서 피 말리는 접전이 밤늦게까지 이어졌다. 서울 도봉갑의 김재섭 국민의힘 후보는 안귀령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꺾고 12년 만에 도봉갑에 보수 정당의 깃발을 꽂았다.
충남 공주·부여·청양에선 박수현 민주당 후보가 ‘2전 3기’ 끝에 정진석 국민의힘 후보를 꺾고 설욕에 성공했다. 박 후보가 50.66%를 얻어 정 후보(48.42%)에게 근소한 차로 앞섰다. 출구조사가 발표된 순간 박 후보는 두 주먹을 불끈 쥐며 지지자들과 함께 환호하기도 했다. 친문(친문재인)계로 꼽히는 박 후보는 22대 국회에 입성하면 당내 비주류의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
서울 용산에선 4년 만에 만난 강태웅 민주당 후보와 권영세 국민의힘 후보가 접전을 벌였지만, 권 후보가 승리했다. 개표율 83.51%를 기록한 가운데 권 후보 53.67%, 강 후보 45.16%였다. 앞서 21대 총선에서는 강 후보가 47.14%를 득표해 권 후보(47.80%)에게 890표 차로 패했지만, 이번에는 격차가 더 벌어졌다. 용산은 대통령실 이전으로 ‘신(新)정치1번지’로 꼽히는데, 권 후보가 승리함에 따라 정부·여당이 자존심을 지켰다.
충남 서산·태안에선 조한기 민주당 후보와 성일종 국민의힘 후보가 세 번째 혈투를 벌였지만, 이변은 없었다. 성 후보는 최종 56.56%를 득표하면서 조 후보(43.43%)를 큰 표차로 꺾었다. 경남 양산갑에선 이재영 민주당 후보와 윤영석 국민의힘 후보가 21대 총선에 이어 재대결을 펼친 가운데 윤 후보가 승리했다. 개표가 대부분 진행된 가운데 윤 후보가 53.61%를 얻었다. 이곳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저가 위치한 데다 선거 막판 윤 후보가 “문재인 죽여” 등 막말 논란을 빚었지만, 판세는 흔들리지 않았다.
서울 영등포을에선 박용찬 국민의힘 후보와 김민석 민주당 후보가 늦은 시간까지 초접전 양상을 이어 갔다. 박 후보는 87.54% 개표가 이뤄진 상황에서 50.36%를 얻어 48.88%를 득표한 김 후보를 근소하게 앞섰다.
한편 서울 도봉갑에 두 번째 도전한 김재섭 후보는 안귀령 후보와 마지막까지 초접전을 벌인 끝에 49.05%를 얻어 ‘1승’에 성공했다. 1987년생인 김 후보와 1989년생인 안 후보가 맞붙는 도봉갑은 ‘남녀 MZ 대결’로도 이목을 끌어왔다. 도봉갑은 민주당의 대표적 텃밭이지만 당 지도부가 아무런 연고가 없는 안 후보를 무리하게 공천하면서 4년 동안 지역을 닦아 은 김 후보에게 역전의 기회가 주어졌다.
선거운동 기간 내내 논란을 야기했던 민주당 양문석(경기 안산갑) 후보, 김준혁(경기 수원정) 후보도 당선됐다. 서울 서초구 고가 아파트를 사는 과정에서 편법 대출을 받아 논란을 일으킨 양 후보는 대부분 개표가 이뤄진 가운데 55.01%를 얻어 44.98%의 장성민 국민의힘 후보를 크게 앞섰다. 김 후보는 ‘이화여대생 미군 성 상납’ 등 온갖 여성 비하 발언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지만, 최종 50.86%를 얻어 이수정 국민의힘 후보(49.13%)를 제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