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尹 엎치락뒤치락… ‘승부처’ 서울·경기 개표 늦어 막판까지 진땀
경북 울릉에서 전국 첫 개표 시작李, 초반 호남 강세로 앞서 나가자尹, 강원·충북 개표 후에 따라잡아확진·격리자 61만 표심 당락 변수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9일 오후 7시 30분 발표된 20대 대선 방송사 출구조사에서 전례 없는 초접전 격차를 보이면서 실제 개표 상황에 더욱 관심이 집중됐다. 예상대로 8시 이후 시작된 개표 초반부터 두 후보가 매우 작은 격차로 접전을 벌임에 따라 긴장감이 감돌았다.
특히 방송사 출구조사에는 확진·격리자 투표와 재외국민 투표가 반영되지 않아 실제 개표가 출구조사와 어느 정도 차이가 날지에도 관심이 쏠렸다. 여느 선거라면 큰 변수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양강 후보가 초박빙 접전을 펼치는 상황에서는 결정적 변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이날 투표 공식 종료 시간인 오후 7시 30분 기준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총 3407만 1400명으로, 오후 6시 기준 3345만 2859명보다 61만 8541명 늘었다. 오후 6시 일반 유권자의 투표가 마감되고 곧이어 확진·격리자의 투표가 오후 7시 30분까지 진행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산술적으로는 약 61만명의 확진·격리자가 이날 본투표에 나선 셈이다.
다만 일반 유권자든 확진·격리자든 각각 투표 마감 시간 전까지만 투표소에 도착하면 투표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단순 뺄셈한 61만 8000여명에는 일반 유권자들도 상당 부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선 투표 시간이 종료된 지 40여분 후쯤인 오후 8시 11분 전국 처음으로 경북 울릉에서 개표가 시작됐다. 오후 8시 45분쯤 전북과 경북, 충북, 강원 등 네 곳에서 개표를 시작했고, 이어 이 후보의 강세 지역인 전남과 전북에서 다른 지역보다 빨리 개표가 이뤄지면서 이 후보가 윤 후보를 앞서 나갔다. 오후 9시 35분쯤 개표율 1%에서 이 후보는 53.75%, 윤 후보는 43.20%로 격차는 10.55% 포인트였다.
이후 오후 10시쯤 개표율 3%를 넘어가면서 윤 후보의 강세 지역으로 분류된 강원과 충북, 충남의 개표가 본격 시작되자 윤 후보가 이 후보를 빠르게 따라잡기 시작했다. 오후 10시쯤 이 후보는 52.75%, 윤 후보는 44.18%로 격차는 8.57% 포인트였으며, 10분 후 격차는 6.59% 포인트로 줄었다.
오후 10시 17분쯤 개표율 5%를 돌파했을 때 이 후보가 여전히 앞서 나갔으나 윤 후보와의 격차는 5.5% 포인트로 줄었으며, 10시 35분쯤 개표율 8% 당시 두 후보의 격차는 3.56% 포인트로 더욱 좁혀졌다. 이후 오후 11시 개표율 약 14% 때까지 1위인 이 후보와 2위인 윤 후보의 격차는 3% 포인트대를 오가며 초박빙 승부를 벌였다.
오후 11시쯤 개표율은 14.6%였으나, 최대 승부처인 서울과 경기는 각각 개표율 7.87%, 9.87%로 전국 개표율을 크게 밑돌았다. 오후 11시 서울에서 이 후보의 득표율은 50.65%, 윤 후보는 45.65%였으며, 경기에서 이 후보는 50.39%, 윤 후보는 46.26%로 두 지역에서 두 후보의 격차는 4~5% 포인트대였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과 경기에서 두 후보가 박빙 승부를 벌이고, 개표 역시 다른 지역보다 더딤에 따라 최종 개표 결과도 예년에 비해서는 늦어졌다.
개표의 경우 사전투표가 대부분 먼저 집계된다. 따라서 개표 초반엔 이 후보가 유리하며, 본투표 투표함이 대부분 열리는 개표 후반엔 윤 후보가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선 개표는 봉투가 없는 투표지(관내 투표)와 봉투가 있는 투표지로 분류해 진행된다. 봉투가 없는 투표지는 관내 사전투표, 본투표 순서로 진행된다. 회송용 봉투를 개봉해 투표지를 꺼내야 하는 관외 사전투표와 재외국민·선상·거소투표의 개표는 별도 구역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