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체육관 맞아?
지난 23일 오후 7시쯤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4동 ‘촬영소 고개’ 동답초등학교 인근에 자리잡은 동대문구체육관. 불이 환하게 켜진 저녁, 대체육관에는 40∼50명이나 돼 보이는 배드민턴 마니아들이 코트를 차지하고 있었다.
동네 동호인들과 함께 찾아왔다는 최상호(52·동대문구 전농동·자영업)씨는 “노천 운동장은 물론 각급 학교나 뚝섬 등에 있는 배드민턴장을 이용해보기는 했지만 이처럼 관람석까지 갖춘 곳은 드물다.”고 운을 뗐다. 그는 “그러나 일반인들에게는 출입이 쉽지 않아 그림의 떡이었다.”면서 “일주일에 2∼3일 이곳에 와 이웃과 운동을 즐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바닥이 나무 등 다른 재질로 됐으면 나이 든 사람이 이용할 때 무릎에 무리가 따르지 않을 텐데….”라며 아쉬워했다.
●동대문구, 115억들여 작년 10월 완공
그러나 이는 다른 시설과 눈에 띄게 비교되는 데다 지난해 10월 문을 열어 11월 넘어가서야 실제 이용객을 받은 ‘걸음마 시설’이어서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데 따른 오해일 뿐이다.
“농구, 배구 등 여러 종목을 두루 치르도록 꾸며진 체육관의 특성상 특수 코팅으로 처리해 국제 인증을 받은 바닥”이라고 직원들은 자랑한다.
동북부 서울의 체육요람을 꿈꾸는 동대문구체육관은 2002년 5월 첫 삽을 떠 2년반 만에야 지하1층, 지상 2.5층짜리로 탄생했다. 사업에 들어간 돈만 115억원이나 된다.
대지 5746㎡(1738평), 건평 5743㎡(1737평) 규모다. 특히 평소에는 경기장을 넓게 쓰다가 필요하면 자동으로 좌석이 펼쳐지는 전동 관람석이 눈길을 끈다.
지난 17∼18일 대체육관에서 깜짝 국제대회까지 치를 예정이었다.‘세계 톱랭커 탁구 페스티벌’ 주최측이 시설을 둘러보고 대만족했지만 결국 전파 문제로 생방송이 어렵다는 결론이 나 다른 곳으로 장소를 바꿨다.
그냥 지나가기는 너무 아쉬운 마음을 ‘왕년의 제왕’ 김택수(KT&G)와 세계랭킹 10위인 칼리니 코스 크레앙가(그리스)가 회원들을 지도해주는 이벤트로 달랠 수 있었다.
●국제대회도 치를 수 있게 보완
체육관을 위탁운영하는 동대문구 시설관리공단은 초기여서 발견하기 힘들었던 이같은 예상 밖의 문제점을 차차 보완해 언제든지 국제대회도 소화할 수 있는 명소로 가꿀 생각이다.
그 가능성을 알려주는 것이 대관 문의다. 최근 인기를 모으고 있는 이종격투기 대회를 열고 싶다는 등 특별한 대관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체육관 관리부 김면현 팀장은 “농구의 경우 ‘최희암 교실’을 마련하는 등 프로그램 개발에 매달릴 계획”이라면서 “일반시민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 가운데 강당 형식이 아닌 체육관으로서는 유일한 시설”이라고 자랑했다.
넓이가 543평인 대체육관에는 득점판이 딸린 배드민턴 코트 10면, 탁구대 10대, 농구대 두 짝이 있다. 소체육관은 53평짜리다. 귀빈실도 있다. 건물 2층 바깥을 빙 둘러싼 200m 코스의 조깅트랙도 명물이다.
지금까지 정기회원이 월 300∼500명,1일 입장권을 끊어 이용하는 인원도 월 1000여명이나 된다. 개관 이후 지난해 11월∼올 1월까지 연인원 입장객은 4800여명이다. 체육관은 준비단계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인라인 코스, 어린이용 ‘정글방’ 개설, 스포츠댄스 등으로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동대문구시설관리공단 홈페이지(www.ddmgongdan.or.kr)를 참조하거나 전화 (02)2247-9611∼4로 문의하면 된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