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화 나선 SK/사재출연규모 관건 지배구조변경 계획
SK가 11일 SK글로벌 분식회계사건과 관련,최태원 SK㈜ 회장의 사재출연을 밝히는 등 긴급진화에 나섰다.SK글로벌의 분식회계가 국내외 투자자들의 불신을 초래,투자금 회수 등의 극단적인 조치로 이어질 경우,그룹 전체의 위기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실제 1조 5500억원대의 분식회계 규모가 검찰 수사에서 드러남에 따라 SK글로벌에 대한 시장의 신인도는 바닥으로 떨어졌고,이에 따른 경영위기가 그룹까지 강타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SK내에 팽배해지고 있다.
●사재출연 어디까지?
현재 최 회장이 갖고 있는 계열사 지분은 SK㈜ 5.2%,SK C&C 44.5%,SK글로벌 3.31%,SKC 7.5%,SK케미칼 6.84% 등이다.이 중 비상장회사인 SK C&C를 빼면 모두 현금화할 수 있다.따라서 사재출연이 이뤄진다면 SK글로벌(318만주·시가 166억원 상당) 등의 주식을 우선 처분할 가능성이 높다.SK 관계자도 “SK글로벌의 유동성에 위기가 온다면 우선 SK글로벌 주식을 처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최 회장의 사재가 충분치 않다는 것.최 회장이 보유한 상장 주식을 시가로 환산하면 모두 합쳐 2000억원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1조 5500억원대의 분식회계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액수다.
SK측이 최 회장의 사재출연 규모를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한 관계자는 “당장 몇백억원대 사재출연으로 사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면서 “최 회장의 사재출연을 시장에 던지는 ‘상징성’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SK는 어디로?
SK측은 이날 “경영권에 연연치 않겠다.”는 최 회장의 뜻을 전했다.보도자료를 통해서도 계열사별 CEO(전문경영인)와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독립경영체제를 추구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최 회장의 ‘2선후퇴’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현재 SK는 지주회사격인 SK㈜가 SK글로벌,SK텔레콤,SKC,SK해운 등을 통해 58개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다.
문제는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위한 지분 확충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지주회사 체제로 가기 위해서는 지주회사격인 SK㈜에 대한 최 회장 등 대주주 지분이 최소한 40% 이상 필요한데 지분 확보가 쉽지 않다.계열사 출자분 등을 합해도 현재 20% 안팎에 불과한 실정이다.더욱이 최 회장은 지난해 3월 SK C&C와의 주식맞교환을 통해 SK㈜ 지분 5.09%를 확보,최대주주가 됐는데 이날 SK C&C는 당시의 거래를 무효화하기로 했다.그렇게 되면 최 회장의 SK㈜ 지분은 0.11%로 뚝 떨어진다.그룹 지배권이 위태로워지는 것이다.지주회사를 통해 그룹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현금’이 필요해졌다.
이번 사태의 책임이 최 회장을 보필한 구조본 쪽으로 쏠리면서 구조본 축소가 불가피해진 점도 바쁜 SK측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결국 이런 과정에서 계열사간 ‘끈’이 느슨해질 수밖에 없어 SK가 지주회사 체제를 근간으로 한 지배구조를 완성하는데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또 최 회장은 물론 손길승 회장까지 재판에 회부돼 ‘투톱체제’는 현격히 힘을 잃게 되고,상대적으로 계열사 CEO들의 역할이 커지게 됐다.
박홍환기자 st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