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재벌 영향력 지분보다 7배
“KDI 소유·지배 괴리도 기준 규제 필요” 갈등 빚던 출자총액규제 유지 결론날듯
4대 재벌 가운데 LG를 제외하고 삼성·SK·현대차 그룹은 금융 계열사를 포함시켰을 경우 총수 일가의 소유-지배권과의 괴리도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괴리도가 크다는 것은 쉽게 말해 쥐꼬리 지분으로 무소불위의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의미로,지배구조가 열악하다는 뜻이다.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피해와 사회적 비용을 막기 위해서는 현행 출자총액제한제가 여전히 유효하며,금융회사의 계열사에 대한 의결권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용역을 받아 5일 제출한 ‘시장개혁 추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최종 보고서 결과이다.‘궁극적 출자총액제 폐지’를 내세운 재정경제부의 용역보고서와 상충되지만,재벌집단에 대한 일률적 규제 대신 개별 회사별로 졸업기준을 달리 적용하자는 보완책을 똑같이 담고 있어 주목된다.
따라서 몇 달을 끌어온,출자총액제를 둘러싼 공정위와 재경부의 갈등은 ‘제도를 유지하되 졸업기준은 보완한다.’는 선으로 결론날 가능성이 커 보인다.
●4대재벌,실제 지분보다 평균 7배 영향력 행사
KDI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LG·SK·현대차 등 4대 재벌 총수일가의 소유-지배권간의 평균 괴리도는 26.43% 포인트였다.KDI가 분석대상으로 삼은 전체 37개 민간재벌 평균치(18.8%포인트)보다 훨씬 높다.SK 최태원 회장 일가는 지분보다 무려 11배의 지배력을,삼성 이건희 회장과 현대차 정몽구 회장 일가는 각각 8배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 그룹은 지주회사로 전환한 LG그룹을 제외하고 금융계열사를 포함시켰을 경우 그룹 전체의 괴리도가 훨씬 크게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였다.총수 일가가 금융회사를 통한 계열사 순환출자로 지배력을 높이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출자총액제한제 못지 않게 ‘뜨거운 감자’인 금융기관의 의결권 제한 논리를 뒷받침해주는 결과여서 시사하는 점이 크다.
전체 37개 기업 가운데는 한화그룹의 괴리도(50.5%포인트)가 가장 컸고,다음은 동양(39.4%포인트)·두산(37.0%포인트)그룹 순이었다.
●공정위·재경부,출자총액제 졸업기준 보완 공감
KDI측은 출자총액제를 근본적으로 유지해 나가되,졸업기준을 보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즉,같은 재벌 계열사라 하더라도 괴리도가 낮으면 출자총액제에서 졸업시켜주자는 주장이다.지금은 재벌집단을 뭉뚱그려 졸업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예컨대 삼성그룹의 평균 괴리도 23.2%포인트만 중시했지 제일모직(8%포인트)과 삼성벤처투자(97.5%포인트)의 괴리도가 천양지차인 점은 감안하지 않았다.
앞서 재경부의 용역을 받은 서울대도 KDI와 비슷한 주장을 폈다.괴리도 대신 ‘의결권 승수’라는 개념을 적용했으나,소유-지배권간의 차이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잣대다.서울대측은 의결권 승수가 1.5이하이면 출자총액제를 완화 내지 졸업시켜 주자고 제안했다.괴리도 격차 상위 10대 재벌 가운데 의결권 승수가 1.5를 밑도는 그룹은 한 군데도 없다.
안미현기자 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