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과 극’ 드라마 출연료 누가 얼마받나?
TV 드라마의 위기의 가장 큰 요인으로 연기자들의 높은 출연료가 손꼽히고 있는 가운데 현재 국내 연기자들의 출연료 실태가 공개 돼 눈길을 끌었다.
1일 오후 3시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진행된 ‘TV 드라마 위기와 출연료 정상화’라는 주제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KBI 하윤금 연구원은 ‘한국 TV 연기자 출연료 제도의 합리적 대안 모색’이라는 논문을 통해 출연료 급등 현황에 대해 전했다.
우선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스타급 연기자의 출연료에 대해서 “최근 3~4년 전부터 급격하게 진행되었다.”고 전하며 국정감사 자료를 인용해 설명했다.
자료에 의하면 2001년 오랜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한 배우 강수연이 SBS ‘여인천하’에서 회 당 500여 만원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계속해서 출연료가 상승해 2005년 전도연이 SBS ‘프라하의 연인’으로 1,500만원을 받으며 1,000만 원대 출연료가 일반화 되기 시작했다.
특히 권상우는 2005년 ‘슬픈연가’에서 2,000만원을 받았으나 2년 뒤 출연한 ‘못된사랑’에서는 회당 5,000여 만원의 출연료를 받으며 2배 이상의 상승 폭을 보였다.
손예진 역시 ‘여름의 향기’로 스타덤에 올라 그 후 출연한 ‘연애시대’에서 2,500만원 ‘스포트라이트’를 통해 3,000만원 이상의 출연료를 받았다.
또한 가장 높은 출연료를 받은 이는 ‘태왕사신기’의 배용준이었으며, 현재 인기리에 방영 중인 ‘에덴의 동쪽’의 송승헌 또한 회 당 7,000여 만원의 출연료를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한윤금 연구원은 “3~5년 사이에 2배에서 7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상승폭이 지나치게 높은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한류스타인 배용준, 송승헌, 권상우, 최지우 등의 일본 등지에서 스타 캐스팅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연기자들로 특별한 출연료 산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스타급 배우들의 높은 출연료로 인해 많은 연기자들이 실직 상태에 있으며, 출연하는 배우들 또한 적은 출연료로 배우들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이에 대해 한국방송연기자협회 김성환 회장은 “출연료의 정상화 문제는 고액 출연료를 받는 일부 배우들의 문제”라며 “현재 탤런트 협회에 속한 배우들은 등급에 따라 출연료를 받으며 이들 중은 생계가 어려운 배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윤금 연구원은 일부 스타급 연기자들의 높은 출연료를 제외하고도 중견 연기자들의 출연료 또한 문제로 삼았다.
그는 자료를 인용해 현재 인기 중견 배우의 경우 등급제의 출연료가 아닌 높게는 회 당 700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신인 연기자들의 출연료 급상승 또한 문제로 지적했다. 연기력과 시청률 파워가 검증되지 않은 신인급 배우들의 출연료를 한두 편의 흥행성적에 따라 고액의 1,000만원 이상의 출연료를 지급하는 것은 드라마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출연료 거품까지 만들고 있는 상황을 만들고 있다는 것.
더욱이 하윤금 연구원은 같은 소속사에 소속된 주연급 배우와 신인급 배우를 함께 출연시키는 것 외에도 제작사와 매니지먼트가 같은 경우에 일어나는 끼워팔기 또한 출연료 상승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 PD 연합회에 주관으로 진행된 ‘TV 드라마 위기와 출연료 정상화’ 세미나에는 TV 드라마의 위기의 원인과 그 방안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으며, 이은규 한국 TV 드라마 PD 협회장 김영희 한국 PD 연합회장 김진웅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구본근 SBS 드라마 국장 김성환 한국방송연기자협회 이사장 등이 참여했다.
서울신문NTN 서미연 기자 miyoun@seoulntn.co.kr / 사진=한윤종 기자@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