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대통령을 휴일엔 잊자/육철수 논설위원
남의 자서전을 즐겨 읽는 편이다. 주인공이 평범한 사람이든 유명인사든 가리지 않는다. 자신의 얘기를 자기가 직접 쓰면 과장이나 미화보다는 양심상 진솔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란 생각에서다. 한 인생을 들여다보는 재미가 쏠쏠하고 인간적 매력에 취하기도 하며, 그의 역경 극복 과정을 통해 용기를 얻곤 하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고백에세이 ‘여보, 나좀 도와줘’를 접한 것은 그가 대통령에 당선된 직후인 2002년 12월 말이다. 당시 정부 부처의 국장급 간부들의 방에는 으레 이 책이 한권씩 있었다. 아마도 새 대통령이 어떤 인품인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싶었던 것일 게다. 기자도 호기심이 발동했다. 대통령이 되기 8년 전에 쓴 책이니 우선 신뢰도가 높을 것 같아 단숨에 일독했다.
노 대통령은 글실력과 표현력이 대단해서 첫 장부터 눈을 떼지 못하게 했다. 변호사 시절 수임료 문제로 어떤 아주머니의 가슴을 아프게 했던 얘기, 중학생 때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글짓기에서 백지를 냈다가 선생님에게 된통 혼난 일, 가난했던 시절 임업장에서 묘목을 훔친 사연, 초선 의원 시절 YS(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촌지를 받으며 좋아하던 모습, 어느 대기업으로부터 광고출연을 퇴짜 맞은 일….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하나같이 ‘가슴깊이 숨겨두었던’ 얘기들이다. 너무 적나라하게 쏟아내 철철 넘쳐 흐르는 인간미에 그만 홀리고 말았다. 그때까지 청문회 스타로만 알았고, 국회의원 몇번 떨어져도 의지를 굽히지 않는 고집센 정치인 정도로 생각했는데, 이렇게 인간적인 면을 뒤늦게 알아 후회(?)도 들었다. 요즘도 대통령에게 불만스럽거나 미워질 때는 이 책을 뒤적인다. 비판의 강도를 낮추거나 수위를 조절하는 데 효과가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대가 컸던 탓일까. 대통령에 취임한 뒤 초장부터 기대에서 빗나갔고, 속을 부글부글 끓게 하는 일이 잦았다. 같은 말과 행동을 변호사·국회의원으로서 하면 ‘인간적 풍모’로 여겨지겠지만 대통령으로서는 ‘지도자적 자질’로 변질되는 게 못내 딱하기도 했다. 집권 3년차를 맞는 동안 단 한 컷의 사진이 대통령의 인간미에 근접했는데, 언젠가 청와대 구내식당에서 식판에 흘린 콩나물을 주워 먹는 모습이다. 막중한 국정에 짓눌려 마음의 여유를 찾지 못한 탓이겠지만, 파안대소하는 모습을 본 기억은 없다.
달리 생각해보면 대통령을 ‘감옥’에 가둔 채 들여다보는 국민의 눈이 너무 많아 경직된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서 직설적이고, 진솔하며, 감성적인 인간 ‘노무현의 장점’이 혹시 ‘대통령의 단점’으로 고착되어 가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지금 나라는 도무지 조용할 날이 없다. 대통령이 “이러다가 내가 나라 망치는 것 아닌가.” 우려했다는 소문도 들린다. 전방 총기난사 사고 전날에는 군수뇌부와 골프치면서 격려했다고 항간에서 수군대는 모양인데, 점쟁이도 아니고 누가 그런 끔찍한 일이 터질 줄 알았겠는가. 일이 잘되려면 척척 받쳐줘야 하는데 지지리 운이 없다고나 할까.
마침 공무원들은 다음달부터 주5일 근무에 들어간다.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다. 그래서 이참에 하나 제안하고 싶다. 평일엔 분(分) 단위로 빡빡한 일정에 묶이고, 국가의 장래를 위해 고독한 결정을 내릴 때가 많은 대통령을 토·일요일엔 좀 풀어주자. 나라는 어차피 시스템으로 돌아가게 돼 있으니까 대통령에게서 휴일만은 신경을 끄자는 얘기다. 푹 쉬다가 시간나면 지인들과 운동을 해도 삐딱한 눈으로 쳐다보지 말고, 가끔 각본없이 ‘강남아줌마’를 만나 부동산 얘기도 들어보고, 시장에 들러 현장 경제와 서민의 삶도 가벼운 마음으로 알아보게 하자는 거다. 대통령이 여유를 되찾아 국정에 자신감이 붙는다면 예전의 순수했던 인간미도 살아날 것이고, 그게 나라 좋고 국민도 좋은 일 아니겠는가.
yc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