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 여성연출가 3인 ‘데뷔무대’
최은승(34)오유경(34)이진숙(31). 자신의 이름을 건 첫 작품을 이제 막 무대에 올렸거나 곧 올릴 새내기 연출가들이다.서울 성북구의 예술극장 활인이지난 22일 막올린 ‘여성연출가 전(展)’(6월17일까지)이 이들의 데뷔 무대.
(02)923-1090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연극계,그중에서도 연출쪽은 여성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그런 점에서 여성연출가들만의 그룹전은 일면 모험적이긴하나 썩 의미있는 시도로 받아들여진다.현재 대학로에서 공연중인 30여 작품중에 2∼3개만이 여성연출가의 작품이라는 열악한 현실을 감안하면 이들의등장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주목을 받을 만하다.
실제 요즘 활동하고 있는 여성연출가들은 한손에 모두 꼽을 수 있을 정도.22일 막내린 ‘협종망치’를 연출한 극단 여인극장의 강유정대표,지난 주말 시작한 ‘레이디 맥베스’의 한태숙,7월까지 연장공연중인 ‘대한민국 김철식’의 방은미를 비롯해 김아라,유근혜,김정숙,송미숙 등 10여명이 고작이다.
이들은 철저하게 남성위주인 수공업적 도제시스템하의 연극판에서온갖 편견에 맞서며 오직 실력 하나만으로 꿋꿋하게 자신의 영역을 쌓아온 여성 연극인들이다.
이에 비하면 이번 그룹전에 참여하는 세명의 여성은 상당히 운이 좋은 편.남자 연출가들도 데뷔하려면 수년간 현장에서 갖은 고생을 다해야하는데 이들은 극단생활 3년(최승은,극단 반딧불이),프리랜서활동 2년(오유경,예술종합학교 연극원 1기),그리고 학교졸업과 동시에(이진숙,연극원 3기) 데뷔하는경우들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만큼 위험부담도 크다.아직 능력을 검증받지 않은 상태에서 ‘여성연출가전’이라는 타이틀로 작품을 올렸다가 성과가 좋지않을 경우 자신들은물론 동료나 후배 여성연출가들에게도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들은“큰 욕심내지 않고 그동안 해보고 싶었던 작품을 나만의 시각으로 무대에올리겠다”고 조심스럽게 입을 모았다.
외모에서 풍기는 이미지만큼 세 사람이 추구하는 작품세계도 제각각이다.첫주자인 이진숙은 극작가 안톤 체홉의 열렬한 팬.일상에 대한 진지하고 사실적인 접근으로 삶의 본질을 꿰뚫는 그의 단막극 ‘청혼’(28일까지)을 데뷔작으로 택했다.
연극이 갖는 유희적 요소에 관심이 많은 최은승은 일본 극작가 이노우에 히사시의 ‘똥과 글의 만남’(6월1∼7일)을,희곡자체에 무궁무진한 가능성이포진해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좋아하는 오유경은 ‘오델로,오델로’(6월11∼17일)를 각각 무대에 올린다.
이들은 “여성이기 때문에 차별받고 싶지 않지만 그렇다고 여성연출가라는이유로 특별한 시선을 받는 것도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아직은 편견과 차별이 존재하는 연극계에서 이들이 어떻게 스스로의 영역을 넓혀가는지 지켜볼 일이다.
이순녀기자 co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