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차별
    2025-10-1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2,327
  • 이영주 경기도의원, 경기북부 도의원 협의회에서 다각적 대안 제시

    이영주 경기도의원, 경기북부 도의원 협의회에서 다각적 대안 제시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이영주 의원(국민의힘, 양주1)은 7월 15일(화) 경기도청 서희홀에서 열린 ‘경기북부 도의원 협의회’에 참석해 경기북부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경기북부 도의원 협의회는 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SOC 인프라 확충, 규제완화, 갈등 해소 등 도정 및 교육행정의 공동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경기 북부지역 도의원 41명으로 구성된 협력체다. 이날 협의회에는 이영주 의원을 비롯한 경기북부 도의원들과 김대순 행정2부지사, 북부청사 실·국·본부·단장 등이 참석했으며, 경기북부 대개발 프로젝트 추진 상황 보고와 함께 지역 의원들의 건의사항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이영주 의원은 경기북부 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현안을 제안했다. 우선 “김신조 침투 사건으로 단 하루 만에 폐쇄됐던 우이령 도로의 조속한 개방 및 터널 개통이 필요하며, 만성적자에 빠진 서울 우이경전철과 교외선과의 연계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방부·경기도·서울시 간 협의를 통해 단계적 개통 로드맵과 인근 주민과 등산객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이는 경기북부 교통난 해소와 관광 활성화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서울 북부권을 관통하는 우이신설선에 대해 스위스의 융프라우 열차 모델을 적용한 관광특화 노선 개발을 제안했다. “북한산, 도봉산, 송추계곡 등 경기북부의 수려한 산악·접경 관광자원을 철도 중심의 관광 클러스터로 육성할 수 있으며, 올해 1월 운행을 재개한 교외선과도 연계해 체류형 외부 관광객 유치와 인근 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영주 의원은 자전거 교통정책의 연계 부족 문제도 지적했다. “서울시의 한강버스와 도내 김포·고양·하남·구리·남양주 등 경기북부 하천변 자전거도로를 연계할 수 있는 정책이 부재하며, 경기북부 대개발 프로젝트에도 이 같은 내용이 누락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출퇴근 인구, 관광객 수요 증가에 대응하려면 자전거와 대중교통 연계성을 확보해야 하며, 자전거 거치대 설치 및 연계노선 확대 등 전반적인 관점에서의 정책 기획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버스-자전거 연계는 핵심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복지 지원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방안도 짚었다. “의료급여 수급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복지기관이 다수 위치한 경기북부 시·군은 장기요양급여·재가 급여의 전액 부담으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현재 해당 내용을 담은 국가-지자체 부담비율 조정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인 만큼, 경기도 차원의 보완책 마련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영주 의원은 “경기북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수도권 균형발전의 핵심”이라면서, “현장에서 제기된 요청들이 일회성 건의에 그치지 않고, 반드시 실제 정책 반영과 예산 확보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도의회와 집행부가 긴밀한 정책 파트너십을 구축해, 경기북부 주민들이 ‘차별과 소외’가 아닌 ‘기회’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피력했다.
  • 자연의 숨결을 화폭에 담다 — 김경연 작가, 미국 저명 아트 저널 선정

    자연의 숨결을 화폭에 담다 — 김경연 작가, 미국 저명 아트 저널 선정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 김경연 작가가 최근 미국 현대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경연 작가는 추상적 풍경 회화를 중심으로 한 작업으로 미국 미술 전문 저널 ‘뉴 아메리칸 페인팅스(New American Paintings)’의 엠에프에이 애뉴얼 이슈 (MFA Annual Issue) #171에 선정되며 이름을 올렸다. 해당 매거진은 미국 내 큐레이터 심사를 거쳐 작가를 소개하는 공모 형식의 저널로 김경연 작가의 작품은 오건퀴트미술관(Ogunquit Museum of American Art)의 큐레이터 데번 짐머맨(Devon Zimmerman)의 추천을 받아 수록됐다. 김경연 작가는 자연과 시간, 감각의 찰나를 화폭에 담는 회화를 통해 고요하고 섬세한 언어를 구현해왔다. 그는 “자연과 시간, 감각의 찰나가 어떻게 회화로 정제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관심이 많다”며 “화폭 위에 어떻게 하면 정적인 울림을 구현할 수 있을까 고민한 결과가 현재의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김경연 작가의 회화는 클리어 제소(Clear Gesso)로 처리된 린넨 캔버스 위에 얇고 투명한 유화 물감을 반복해 쌓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화면 전체에는 여백과 감각이 교차하는 정적인 분위기가 깔리며, 유기적인 선들이 움직임에 따라 빛을 반사해 관람자의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시각적 떨림을 연출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미술계에 동양적 정서와 시적인 접근을 보여주며, 갤러리 및 컬렉터, 큐레이터들 사이에서 김경연 작가의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짐머맨 큐레이터는 “김경연 작가의 그림은 찰나처럼 스쳐 지나가는 공기, 사라지는 빛, 나뭇잎 사이를 스치는 물소리와 속삭임 같은 감각을 담고 있다”며 “자연과 교감한 경험을 이미지로 응축해 하나의 고요한 회화 언어로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김경연 작가는 올해 초 뉴욕 브루클린에 위치한 현대미술관 ‘일레븐스 아워 아트(Eleventh Hour Art)’에서 개인전 《Awakening Night》을 열고 신작을 공개했다. 해당 전시는 자연과 교감하는 감각을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단순한 작품 전시에 그치지 않고 아티스트 토크 및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시도했다. 전시에서 공개된 신작들은 반투명 유화 레이어 안에 자연의 흐름과 사라짐을 시각적으로 담아냈다. 흐르는 공기, 빛의 잔상, 소리의 흔적 등 비가시적 요소들이 하나의 화면 안에서 서정적으로 공존하며 정적인 장면을 만들어냈다. 김경연 작가는 이를 통해 회화가 전달할 수 있는 감정의 깊이와 정서적 울림을 제안하고자 했다. 개인전 외에도 김경연 작가는 ‘일레븐스 아워 아트(Eleventh Hour Art)’의 그룹전 《Dream Archive》, 《Promise of Spring》 등에 참여했으며, 수전 엘레이 파인 아트(Susan Eley Fine Art), 더 블랑(The Blanc) 등 뉴욕의 여러 갤러리에서도 전시를 이어왔다. 지난해 가을에는 유럽 아트북 전문 출판사 스냅 컬렉티브(Snap Collective)와 협업해 아티스트 북 《The Waxing Moon》을 출간하며 작업 스펙트럼을 확장했다. 현재 김경연 작가는 뉴욕을 중심으로 회화, 설치미술, 아트북 제작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활동 중이다. 그는 감각의 내면성과 시간성, 동양적 사고를 반영한 회화 언어를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으며, 미국 미술계에서도 차별화된 정체성을 구축해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LINE FRIENDS携手G-DRAGON权志龙共创全新IP角色“ZO&FRIENDS”

    LINE FRIENDS携手G-DRAGON权志龙共创全新IP角色“ZO&FRIENDS”

    国际创意IP品牌IPX(前身为LINE FRIENDS)正式宣布,携手韩国AI娱乐公司Galaxy Corporation旗下的创作型偶像G-DRAGON权志龙,共同推出融合该艺人特质的全新IP角色“ZO&FRIENDS”。此次合作集结了IPX积淀深厚的全球化IP运营经验,与G-DRAGON权志龙纵横音乐界及时尚界的潮流先锋理念,旨在以新IP的独特魅力为全球粉丝带来突破性的创意体验。 参与IP“ZO&FRIENDS”创作的G-DRAGON权志龙“ZO&FRIENDS”是在G-DRAGON标志性的个人品味及日常灵感素材的基础上,融合IPX创意而诞生的IP组合。双方以G-DRAGON的爱猫ZOA为原型创作了“ZOA“ 这个角色,并将权志龙的代表性元素“雏菊”拟人化为“A&NE”。 “ZO&FRIENDS”既蕴含了“ZOA与A&NE邂逅成为好友”的友谊叙事,又暗藏巧妙的谐音玄机(IP名称的韩语读音与”好朋友“相似),完美诠释了G-DRAGON的独特创意趣味与“ZO&FRIENDS”IP的核心概念。 该IP的角色们皆以治愈和温暖作为人物底色。ZOA是一只诞生于云端,以慢动作表达温情的云朵猫;而A&NE是拥有非凡时尚品位但爱多管闲事的俏皮雏菊精灵;此外,亦有从云朵猫ZOA的彩色脚印中诞生的淘气泡泡精灵AKI和ZAKI。这群因不够完美而更显完美的好朋友们将化身“ZO&FRIENDS”,引领观众踏上疗愈之旅,在纯真的嬉戏中感受魔法般的感动。 IPX基于G-DRAGON丰富的想象力、感性表达及鲜明个性,为“ZO&FRIENDS”打造出与有别于以往K-pop韩流艺人IP的童话般的世界观与情感内涵。预计这一IP将为大众带来更亲切、更能引发共鸣与慰藉的新体验。 G-DRAGON权志龙与IPX合创的IP“ZO&FRIENDS”在该项目两年的打磨期中,G-DRAGON权志龙本人亲自参与了角色命名、LOGO设计、故事线、世界观构建、再到商品开发及快闪店策划等全流程创作,倾注了大量热爱与心血。为纪念“ZO&FRIENDS”的推出,IPX计划于今夏起在全球范围内陆续推出围绕新IP打造的主题快闪店。 此前,IPX亦与G-DRAGON保持密切的合作关系。去年12月,IPX旗下开展全球IP业务的明星挂饰品牌“MONAMHEE”便与G-DRAGON自创的个人时尚品牌“PEACEMINUSONE”开展联名合作,于LINE FRIENDS SQUARE 韩国明洞店打造“PMO X MONAMHEE”主题快闪活动,并推出了融合双方创意元素的IP钥匙扣挂件,广受好评。 IPX相关负责人表示:“此次与G-DRAGON共创的ZO&FRIENDS,将以饱含艺人特色的童话感元素诠释G-DRAGON独特的美学视角与情感表达,有望成为兼具艺术价值与大众吸引力的IP。我们相信,结合了G-DRAGON世界观及IPX叙事能力的全新IP将引发市场的热烈反响,为ZO&FRIENDS在未来IP商业化上的拓展奠定坚实基础。”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IPX, 지드래곤과 컬래버 새로운 IP 캐릭터 ‘ZO&FRIENDS’ 공개디지털 IP 엔터테인먼트 기업 IPX(구 라인프렌즈)가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 지드래곤(G-DRAGON, 본명 권지용)과 손잡고 그의 특징을 담은 새로운 IP 캐릭터 ‘ZO&FRIENDS(조앤프렌즈)’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IPX의 깊이 있는 글로벌 IP 운영 경험과 음악 및 패션계를 선도하는 지드래곤의 트렌디한 철학이 결합된 것으로, 새로운 IP의 매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에 획기적인 창의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지드래곤의 손길로 탄생한 ‘ZO&FRIENDS’‘ZO&FRIENDS’는 지드래곤의 상징적인 개인 취향과 일상 속 영감의 소재를 바탕으로 IPX의 창의성이 더해져 탄생한 IP 조합이다. 양측은 지드래곤의 반려묘 ‘조아(ZOA)’를 모티브로 캐릭터 ‘ZOA’를 만들었으며, 권지용의 대표적인 상징인 ‘데이지’를 형상화해 ‘A&NE’를 탄생시켰다. ‘ZO&FRIENDS’는 ‘ZOA와 A&NE가 만나 친구가 된다’는 우정 서사를 담고 있으며, IP 이름의 한국어 발음이 ‘좋은 친구들’과 유사해 지드래곤의 독특한 창의적 유머와 ‘ZO&FRIENDS’ IP의 핵심 개념을 완벽하게 구현한다. IPX는 ‘조아’를 구름에서 태어나 언제나 느린 동작으로 무심한 듯 다정한 구름냥, ‘앤’을 남다른 패션 감각을 가진 사랑스러운 참견쟁이 데이지로, ‘아기(AKI)’와 ‘자기(ZAKI)’를 구름냥 조아의 색 발자국에서 태어난 천방지축 색방울로 소개했다. 힐링과 위로를 전달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의 의도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IPX는 또, 지드래곤의 풍부한 상상력, 감성적인 표현, 그리고 뚜렷한 개성을 바탕으로 ‘ZO&FRIENDS’에 기존 K-POP 한류 아티스트 IP와는 차별화된 동화 같은 세계관과 감정적 내러티브를 부여했다며 대중에게 더욱 친근하고 공감하며 위로가 되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드래곤, 2년간 제작 과정 직접 참여지드래곤은 2년간의 제작 기간 동안 캐릭터 이름, 로고 디자인, 스토리라인, 세계관 구축부터 상품 개발 및 팝업스토어 기획 등 전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깊은 애정과 노력을 쏟았다. ‘ZO&FRIENDS’ 출시를 기념하여 IPX는 올여름부터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IP를 중심으로 한 테마 팝업스토어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IPX는 이전에도 지드래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다. 지난해 12월, IPX의 글로벌 IP 사업을 전개하는 셀럽 키링 브랜드 ‘모남희’(MONAMHEE)는 지드래곤의 개인 패션 브랜드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과 협업해 라인프렌즈 스퀘어 명동점에서 ‘PMO X MONAMHEE’ 테마 팝업 이벤트를 진행하고 양측의 창의적인 요소를 결합한 IP 키링을 출시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IPX 관계자는 “이번 지드래곤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ZO&FRIENDS’는 아티스트의 특징을 담은 동화 같은 요소를 통해 지드래곤의 독특한 미학적 시각과 감성적 표현을 담아냈으며, 예술적 가치와 대중적 매력을 겸비한 IP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드래곤의 세계관과 IPX의 스토리텔링 능력이 결합된 새로운 IP는 시장에서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고 미래 ‘ZO&FRIENDS’의 IP 사업 확장에 견고한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 云端萌猫遇上时尚雏菊:G-DRAGON权志龙与IPX共创梦幻IP‘ZO&FRIENDS’,引领新潮流

    云端萌猫遇上时尚雏菊:G-DRAGON权志龙与IPX共创梦幻IP‘ZO&FRIENDS’,引领新潮流

    国际创意IP品牌IPX(前身为LINE FRIENDS)重磅宣布,与韩国潮流偶像G-DRAGON权志龙携手,共同缔造全新IP角色‘ZO&FRIENDS’。这场跨界合作汇聚了IPX深厚的全球化运营经验与G-DRAGON在音乐与时尚界的先锋创意,旨在为全球粉丝带来一场前所未有的创意盛宴。 ‘ZO&FRIENDS’的诞生灵感源自G-DRAGON标志性的个人风格与日常生活中的点滴灵感。IPX与G-DRAGON以他心爱的猫咪ZOA为原型,创作了角色‘ZOA’,并将G-DRAGON钟爱的雏菊元素拟人化为俏皮的雏菊精灵‘A&NE’。‘ZO&FRIENDS’不仅讲述着‘ZOA与A&NE的奇妙友谊’,其韩语读音更与‘好朋友’巧妙呼应,完美诠释了G-DRAGON的独特创意与‘ZO&FRIENDS’的核心概念。 这群角色个个充满治愈与温暖:ZOA是一只悠然漫步于云端、以慢动作传递温情的云朵猫;A&NE则是拥有超凡时尚品味却爱‘多管闲事’的活泼雏菊精灵。此外,还有从ZOA的彩色脚印中诞生的淘气泡泡精灵AKI和ZAKI。这些‘不够完美却因此更显完美’的好朋友们,将带领观众踏上一段充满魔法的治愈之旅,在纯真的嬉戏中感受温暖与感动。 IPX基于G-DRAGON丰富的想象力、感性与鲜明个性,为‘ZO&FRIENDS’构建了一个超越传统K-pop艺人IP的童话世界观与情感深度。这一IP不仅亲切可人,更能引发广泛共鸣与心灵慰藉。 在长达两年的精心打磨中,G-DRAGON权志龙亲自参与了从角色命名、LOGO设计、故事线构建到世界观塑造、商品开发及快闪店策划的全流程创作,倾注了无限的热情与心血。为庆祝‘ZO&FRIENDS’的诞生,IPX计划于今夏起在全球范围内陆续推出以新IP为主题的快闪店。 IPX此前也与G-DRAGON保持着密切的合作关系。去年12月,IPX旗下的明星挂饰品牌‘MONAMHEE’便与G-DRAGON的个人时尚品牌‘PEACEMINUSONE’联袂打造了‘PMO X MONAMHEE’主题快闪活动,并推出了融合双方创意的IP钥匙扣挂件,广受粉丝追捧。 IPX相关负责人表示:‘此次与G-DRAGON共同打造的‘ZO&FRIENDS’,将以饱含艺人特色的童话元素诠释G-DRAGON独特的美学视角与情感表达,有望成为兼具艺术价值与大众吸引力的IP。我们相信,结合了G-DRAGON世界观与IPX叙事能力的全新IP,将引发市场的热烈反响,为‘ZO&FRIENDS’在未来IP商业化道路上奠定坚实基础。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IPX, 지드래곤과 컬래버 새로운 IP 캐릭터 ‘ZO&FRIENDS’ 공개디지털 IP 엔터테인먼트 기업 IPX(구 라인프렌즈)가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 지드래곤(G-DRAGON, 본명 권지용)과 손잡고 그의 특징을 담은 새로운 IP 캐릭터 ‘ZO&FRIENDS(조앤프렌즈)’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IPX의 깊이 있는 글로벌 IP 운영 경험과 음악 및 패션계를 선도하는 지드래곤의 트렌디한 철학이 결합된 것으로, 새로운 IP의 매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에 획기적인 창의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지드래곤의 손길로 탄생한 ‘ZO&FRIENDS’‘ZO&FRIENDS’는 지드래곤의 상징적인 개인 취향과 일상 속 영감의 소재를 바탕으로 IPX의 창의성이 더해져 탄생한 IP 조합이다. 양측은 지드래곤의 반려묘 ‘조아(ZOA)’를 모티브로 캐릭터 ‘ZOA’를 만들었으며, 권지용의 대표적인 상징인 ‘데이지’를 형상화해 ‘A&NE’를 탄생시켰다. ‘ZO&FRIENDS’는 ‘ZOA와 A&NE가 만나 친구가 된다’는 우정 서사를 담고 있으며, IP 이름의 한국어 발음이 ‘좋은 친구들’과 유사해 지드래곤의 독특한 창의적 유머와 ‘ZO&FRIENDS’ IP의 핵심 개념을 완벽하게 구현한다. IPX는 ‘조아’를 구름에서 태어나 언제나 느린 동작으로 무심한 듯 다정한 구름냥, ‘앤’을 남다른 패션 감각을 가진 사랑스러운 참견쟁이 데이지로, ‘아기(AKI)’와 ‘자기(ZAKI)’를 구름냥 조아의 색 발자국에서 태어난 천방지축 색방울로 소개했다. 힐링과 위로를 전달하고자 하는 아티스트의 의도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IPX는 또, 지드래곤의 풍부한 상상력, 감성적인 표현, 그리고 뚜렷한 개성을 바탕으로 ‘ZO&FRIENDS’에 기존 K-POP 한류 아티스트 IP와는 차별화된 동화 같은 세계관과 감정적 내러티브를 부여했다며 대중에게 더욱 친근하고 공감하며 위로가 되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드래곤, 2년간 제작 과정 직접 참여지드래곤은 2년간의 제작 기간 동안 캐릭터 이름, 로고 디자인, 스토리라인, 세계관 구축부터 상품 개발 및 팝업스토어 기획 등 전 과정에 직접 참여하며 깊은 애정과 노력을 쏟았다. ‘ZO&FRIENDS’ 출시를 기념하여 IPX는 올여름부터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IP를 중심으로 한 테마 팝업스토어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IPX는 이전에도 지드래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다. 지난해 12월, IPX의 글로벌 IP 사업을 전개하는 셀럽 키링 브랜드 ‘모남희’(MONAMHEE)는 지드래곤의 개인 패션 브랜드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과 협업해 라인프렌즈 스퀘어 명동점에서 ‘PMO X MONAMHEE’ 테마 팝업 이벤트를 진행하고 양측의 창의적인 요소를 결합한 IP 키링을 출시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IPX 관계자는 “이번 지드래곤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ZO&FRIENDS’는 아티스트의 특징을 담은 동화 같은 요소를 통해 지드래곤의 독특한 미학적 시각과 감성적 표현을 담아냈으며, 예술적 가치와 대중적 매력을 겸비한 IP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드래곤의 세계관과 IPX의 스토리텔링 능력이 결합된 새로운 IP는 시장에서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고 미래 ‘ZO&FRIENDS’의 IP 사업 확장에 견고한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일신바이오 거래대금 929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일신바이오 거래대금 929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일신바이오(068330)가 4천4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2,265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은 약 9.28%로 강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PER은 25.74, ROE는 6.49로 비교적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폴라리스세원(234100)는 4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에 올랐으며, 현재 주가는 1,506원, 거래대금은 6.22%에 해당한다. PER은 14.91, ROE는 4.78로, 시장에서의 수급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시지메드텍(056090)는 현재 1,161원으로 11.74% 상승하며 거래량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는 91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거래량 2,273만주, 스튜디오미르(408900)는 4,810원으로 8.95% 상승하며 1,902만주 거래되었다. 스맥(099440)는 4,510원으로 2.91% 하락 중이며 거래량은 1,893만주이다. 국전약품(307750)는 4,585원으로 27.36% 급등하며 1,714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우리기술(032820)는 3,890원으로 1.43% 상승하며 거래량 1,661만주, 톱텍(108230)는 5,540원으로 3.36% 상승하며 1,369만주, 블루엠텍(439580)는 5,620원으로 8.08% 상승하며 1,182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퀀타매트릭스(317690)(317690) ▲7.54%, 파인엠텍(441270)(131400) ▼2.15%, 강동씨앤엘(198440)(114190) ▲12.55%, 비투엔(307870)(307870) ▲11.85%, 일승(333430)(333430) ▲1.35%, 더즌(462860)(241820) ▼4.82%, 네오이뮨텍(950220)(950220) ▲6.79%, 다날(064260)(064260) ▼3.90%, SGA솔루션즈(184230)(184230) ▼8.98%, 디와이디(219550)(219550) ▲9.0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국전약품와 일신바이오가 있다. 국전약품는 27.36%의 급등세를 보이며 시가총액의 3.29%에 달하는 거래대금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일신바이오는 폭등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이 9.28%로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락 종목 중에서는 스맥와 더즌가 각각 2.91%, 4.82% 하락하며 눈에 띄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종목들의 급등세와 하락세가 시장의 변동성을 부추기고 있다. 투자자들은 종목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부산 바다위를 자전거로 달린다...세븐브릿지 투어 9월 21일 개최

    부산 바다위를 자전거로 달린다...세븐브릿지 투어 9월 21일 개최

    자전거를 타고 부산의 명소인 광얀대교 등 해상교량을 달리는 세븐브릿지 투어 자전거대회가 오는 9월 열린다. 17일 부산시에 따르면 세븐브릿지 투어는부산을 대표하는 4개 해상교량, 2개 지하차도, 1개 터널을 순환 코스로 연결해 자전거로 달리는 전국 유일의 비경쟁형 대규모 투어 로 오는 9월 21일 개최한다. 3000명 규모의 대회 참가자들은 부산의 바다·도시·산·강을 아우르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전거로 만끽할 수 있다. 총 77㎞를 달리는 이번 행사는 벡스코에서 출발해 광안대교, 신선대 지하차도, 부산항대교, 남항대교, 천마터널, 장평 지하차도, 을숙도대교, 맥도생태공원을 돌아 광안대교로 복귀하는 코스로 운영된다. 해당 코스는 행사 당일 오전 한시적으로 차량이 전면 통제된다. 평소 차량 전용도로로 접근이 불가능했던 해상교량 등을 자전거로 달릴 수 있어 부산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다. 만 19세 이상, 평균 시속 25km 이상 주행 가능한 사람만 참가할 수 있으며 전기 자전거나 브레이크가 없는 자전거는 안전상의 이유로 참가할 수 없다. 코스는 난이도에 따라 칠칠코스(77km)와 삼삼코스(33km) 두개로 운영된다. 참가비는 10만원으로 16일 얼리버드 티켓 300장은 오픈 1분만에 매진되는등 인기를 끌었다. 정규 판매는 22일 부터며 3000명을 선착순 모집힌다. 티켓 판매 수익금은 모두 행사 운영, 참가자 편의와 안전시설 확충, 안전인력 고용 등에 쓰인다.
  • 문형근 경기도의원, 2025년 경기도 어린이집연합회 학술대회 참석

    문형근 경기도의원, 2025년 경기도 어린이집연합회 학술대회 참석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문형근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안양3)은 2025년 7월 16일(수) 열린 「2025 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 학술대회」 제1·2·3분과 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보육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사)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회장 장경임)가 주최하고, 민간·지원·가정어린이집 분과가 주관한 가운데, 영아 운영비 확대, 지원어린이집의 지속가능성, 가정어린이집의 공공성 확보 방안 등 주요 보육 현안을 중심으로 전문가 및 보육 현장 관계자들이 참여한 토론회로 진행됐다. 제1분과-민간분과에서는 ‘영아 운영비 확대 지원방안 마련’을 주제로 한 정책토론이 이루어졌다. 특히 민간어린이집이 0~2세 영아보육의 주축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영비의 지역 간·시설 간 차별 문제가 제기되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문 위원장은 “아이 한 명 한 명의 행복한 성장을 위한 투자야말로 가장 확실한 미래 대비”라며, “영아 운영비 현실화는 단순한 재정 문제가 아니라 돌봄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말했다. 제2분과-지원분과 토론회는 ‘저출생 시대, 지원어린이집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주제로 개최됐다. 정원 미달과 시설 통·폐합 등 위기에 놓인 지원어린이집의 현실이 공유되며, 안정적인 운영과 보육교직원의 고용안정성을 위한 정책 대안이 제시됐다. 문 위원장은 “지원어린이집은 경기도 공보육의 근간이자, 공공성과 품질을 동시에 담보하는 상징적 제도”라며 “공보육이 무너지면 전체 보육체계가 흔들리는 만큼, 도 차원의 존속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제3분과-가정분과에서는 ‘저출생 위기의 해답을 가정어린이집에서 찾다’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이 이루어졌다. 유보통합 시대에 가정어린이집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위상을 주제로 깊이 있는 논의가 펼쳐졌다. 지역사회 밀착성과 양육자 중심 보육환경이라는 특성을 살린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이어졌다. 문 위원장은 “가정어린이집은 지역과 가정, 돌봄이 만나는 ‘생활 밀착형 보육의 거점’”이라며 “그 정체성과 공공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유보통합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문형근 위원장은 “오늘 세 분과의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는 곧바로 입법과 예산, 정책조정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며,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는 그 가교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유보통합, 저출생, 돌봄의 공공성 강화라는 시대적 전환기에 경기도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육정책 전반의 체계적 점검과 개선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사단법인 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가 주최하고 경기도의회와 여성가족국 등이 협력한 가운데, 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으며, 150여 명의 보육 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분과별 발제, 토론, 질의응답을 통해 경기도 보육정책의 미래 방향성을 심도 있게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
  • 5·18부터 12·3 계엄까지… 민주주의적 감정은 어떻게 문학과 접속하나

    5·18부터 12·3 계엄까지… 민주주의적 감정은 어떻게 문학과 접속하나

    지난해 12·3 비상계엄부터 올해 4월 대통령 파면, 6월 새 정부 출범에 이르기까지 반년은 우리 국민이 그 어느 때보다 혼란을 겪은 시기였지만 우리 민주주의의 놀라운 회복력이 입증된 시간이기도 했다. 계간지 ‘창작과비평’ 2025년 여름호(208호)는 ‘민주주의적 감정과 새로운 문학’이라는 주제의 특집을 통해 사람을 움직이게 하고 실천을 만들어 내는 민주주의적 감정이 어떻게 문학과 접속하고 새로움을 일굴 수 있는지, 그 감정의 서사학을 분석했다. 문학평론가인 황정아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는 김금희의 장편소설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통해 지금 이 순간의 책임, 자신의 ‘차례’에 대한 시민들의 각성이 갖는 역사적 깊이와 감정의 역할, 의미에 관해 이야기한다. 지난해 비상계엄은 맥락 없이 내려진 것이었지만 선포된 순간 수많은 이들이 5·18 광주를 떠올렸고, 더 거슬러 올라가 박정희 시대의 계엄을 기억했다. 계엄군이 광주 시민에게 가했던 폭력이 이제 우리에게 닥쳐오고, 광주 시민이 계엄군에 맞서 보여 준 저항을 이제 내가 할 차례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황 교수는 말했다. 황 교수는 “역사적 인식이라는 개념처럼 역사적 감정이라는 개념도 있다면 ‘내 차례’라는 느낌이 바로 그것”이라고 했다. 그는 “‘대온실 수리 보고서’는 ‘새로운 역사’란 역사의 쓰라림을 발굴하고 복원하는 수리의 역사임을 보여 준다”며 “세상 어딘가에 우리가 경험하는 지금이 아닌 시간이 흐르고, 많은 이들이 각자 다른 시간을 거느리고 있음을 깨닫는 때야말로 역사와 제대로 만나는 순간이며 ‘내 차례’임을 인식하게 해 준다”고 덧붙였다. 황규관 시인은 ‘‘니’와 인간의 공동체’라는 글에서 “시는 인간의 감정을 일차적인 출발지이자 도착지로 하는 장르인바 ‘사회적 감정’의 출렁임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며 “시로 인한 ‘감정의 공동체’는 전체주의적 강압이 만든 무차별적 동일성이 아니라 비추는 빛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반사되는 빛이 한데 모여 통일된 색조를 띠는 것 같은 이치”라고 말한다. 황 시인은 김해자의 여섯 번째 시집 ‘니들의 시간’ 속 시 언어가 가진 공동 감정을 포착하고, 우리가 잃어버린 타인과 세계와의 연결을 시에서 되살리고 있음을 짚는다. 시에는 단수의 목소리라 하더라도 개인의 감정은 집단적 관계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 목소리에 복수의 감정이 들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황 시인은 “시에 가르침의 임무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보다 먼저 시가 ‘니’와 한몸이 돼야 할지 모른다”며 “이렇게 나온 작품이 현실의 집단 감정에 동요를 일으키면서… 창조적 순간을 불러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힙&스마트 특구 성동… “쉼 없는 도시 재생, 지속 가능 미래로” [민선 8기 3년, 서울 기초단체장에게 듣다]

    힙&스마트 특구 성동… “쉼 없는 도시 재생, 지속 가능 미래로” [민선 8기 3년, 서울 기초단체장에게 듣다]

    사람들 모이게 하는 ‘힙한 곳’ 만들어기업 2만개 몰려… 2014년의 두 배로자체 셔틀 ‘성공버스’ 교통약자 배려정류장 ‘스마트 쉼터’ 추위·더위 막아‘성동GPT’ 개발해 직원들 업무 적용학생·주민들 직접 체험하는 센터도페이스북·X 등 통해 민원 제기 가능왕십리 글로벌 비즈타운도 곧 확정서울 성동구는 가장 힙하면서도 스마트한 도시로 자리잡았다. 도시 재생의 성공 사례로 꼽히는 성수동에는 여전히 사람과 기업이 끊임없이 모여들고, 자체 셔틀인 ‘성공버스’가 교통 약자의 발이 돼 주며, 버스 정류장의 ‘스마트 쉼터’는 더위와 추위를 막아 주민들을 보호한다. 도시 정책의 핵심은 지속 가능성에 있다고 말하는 수도권 유일 3선 민선 8기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지난 10여년간 스마트 기술을 일상에 적극 도입하고 포용의 철학을 구정에 펼친 결과다. 다음은 지난 10일 가진 정 구청장과의 일문일답. -3선 구청장으로서 가장 기억에 남는 정책은. “10여년 동안 많은 감동의 순간들이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성수동 도시 재생 사업을 꼽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지방자치에서 세금을 ‘잘 쓴다’가 주안이었다면 성수동은 지역 경제를 어떻게 활성화할지, 경쟁력을 어떻게 높여 낼지를 보여 준 새로운 모델이 됐다. 지방에 국가산업단지가 만들어지거나 대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경우는 있어도 서울 대도시에서 지역민들의 노력으로 성장한 사례는 유일하다고 생각한다.” -‘힙한’ 성수의 현재 모습은. “100억원으로 도시 재생 사업을 시작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 어마어마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외국인 방문객만 300만명이다. 사람이 몰리자 기업도 따라왔다. 기업 유치에 매달린 게 아니라 소위 ‘힙한 곳’을 만들어 ‘차별적인 경험’을 누릴 수 있게 한 덕이다. 현재 성수동 내 기업 수는 지난해 기준 1만 9200개로 2014년 1만개에서 약 2배 증가했고, 기업 종사자 수는 같은 기간 8만 2000명에서 12만 4923명으로 1.5배 늘었다.” -성수만의 차별적인 경험이라면. “차별적인 경험이란 해당 동네를 직접 와 봐야만 경험하고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 성수동의 매력은 과거 중공업 지역이었음을 보여 주는 붉은 벽돌로 된 ‘대림창고’ 등에 있다. 첫 선거운동 중 우연히 붉은 벽돌 건물 인근과 안쪽에 당시 동네에서는 보기 드물게 젊은 세대들이 몰려 있는 모습을 봤다. 몇몇 카페와 일부 문화 행사를 즐기기 위해서였고, 이때를 기점으로 개발과 보존을 병행하는 방향이 성수동의 길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 후 인센티브를 통해 입주하는 기업들로 하여금 외관을 유지하게 했다. 찾는 이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면서 지금은 구성원 모두가 도시 재생에 함께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성수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현황은. “제일 시급한 건 환산보증금 폐지다. 이 문제만 해소되면 거의 90% 정도는 해결이 된다고 본다.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을 2015년에 처음 만들고자 했을 때는 임대료 상한선이 9%로 높았고, 보장 기간도 5년 수준이었으며, 환산보증금이 6억원 이상 되는 곳은 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못했다. 다행히 우리가 요청한 정책이 채택돼 임대차 보호 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었고 임대료 상한선도 5%로 조정됐다. 다만 폐지하려던 환산보증금은 한도만 9억원으로 변경됐다. 당시 9억원 이상 상가가 5%밖에 안 됐기 때문인데 현재는 성수동 내에서만 20.5%에 달한다. 임대료를 부담하지 못하는 가게들이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스마트 포용도시’ 성동구에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 정책 중 가장 손꼽을 만한 사례를 든다면. “도시 정책의 핵심은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쾌적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주민들을 도움이 되는 ‘공간’으로 연결할 수 있어야 하며 또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기술을 마련해 도시 시설과 공간에 도입한다는 의미를 담아 ‘스마트 포용’이라고 정의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쉼터는 2017년 겨울 한파를 잠시라도 피할 수 있도록 대형 맞춤형 텐트인 ‘온기누리소’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했던 게 시작이다. 당시 이용자들이 몰려 이슈가 됐고, 이를 기점으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봄에는 미세먼지를 피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쉼터가 마련됐다.” -성공버스 등 교통복지 정책 관련 ‘N분 도시’ 구상에 대해 듣고 싶다. “더 편한 도시 생활을 위한 구상이 N분 도시다.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 등으로 ‘N분’ 내에 일상에서 필요한 모든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의미다. 성동구는 성동형 일상생활권 조성을 위해 ‘15분 도시, 30분 출퇴근’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30분 내 출퇴근, 15분 내 필수 생활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고 있다. 방법의 하나가 대중교통 노선을 촘촘하게 짜는 것인데, 기존 지하철이나 간선버스 노선으로는 한계가 있어 성공버스를 도입했다. 셔틀버스를 통해 교통시설 접근성을 강화한 것이다. 한편으로 정원은 5분 내로 슬리퍼를 신고 갈 수 있어야 한다는 구상하에 일상 정원도시를 곳곳에 만드는 중이기도 하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준비 중인지. “일단 ‘성동GPT’를 도입해 직원들이 업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주민들을 위한 교육 공간으로 최근 ‘성동AI미래기술체험센터’를 재개관했다. 이곳은 기존에 3D 프린팅과 드론 교육을 중심으로 2017년 만들었던 ‘4차 산업혁명 체험센터’를 AI를 중심으로 개편한 공간이다. 학생들과 성인 모두 직접 스마트 헬스케어, 로봇존 운영 등 AI 기술을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다.”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소통에 적극적인 이유는. “예전에는 신문·방송이 미디어로 손꼽혔다면 지금은 SNS라는 다양한 뉴 미디어가 각각의 특색을 가지게 됐다. 다시 말해 페이스북, 엑스(X)와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선호하는 매체가 다 다르다. 그만큼 구청에 민원을 내는 창구도 다양해졌다. 성동구의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민원 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SNS가 가장 대표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왕십리 글로벌 비즈니스 타운은 어떻게 개발될 예정인지. “중요한 부분은 성동경찰서와 구청 등 행정기관이 함께 이전하는 문제다. 새 정부 구성이 완료되는 시기에 맞춰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확정 지어야 한다. 이전이 완료될 경우 왕십리 일대 부지에서 일자리를 확충하고 문화 공간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는데 어떤 구청장으로 남고 싶은지. “아직은 제 본분을 다하는 데 충실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방금 얘기한 글로벌 비즈니스 타운 등 도시의 공간 구조를 잘 완성해 놓는 게 남은 1년의 최고 과제 중 하나다. 또 주민들 곁에서 늘 힘이 되겠다는 게 개인적인 모토인 만큼 오래된 친구 같은 구청장으로 남고 기억되도록 책임을 다하겠다.”
  • ‘일본 퍼스트’ 참정당… 日 역사상 처음 입법 가능한 극우당 넘본다

    ‘일본 퍼스트’ 참정당… 日 역사상 처음 입법 가능한 극우당 넘본다

    집권 자민당의 운명을 가를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인 퍼스트’를 내세운 극우 정당 ‘참정당’이 10석을 확보해 돌풍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극우 정당이 의석을 확보한 적은 있었지만 단독 법안 발의가 가능한 10석을 눈앞에 둔 것은 일본 정치사상 처음이다.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 12~1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참정당이 도쿄에서 선두권을 형성한 데 이어 사이타마·가나가와·아이치 등 수도권 선거구에서도 의석 확보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비례대표를 포함하면 전체적으로 10석을 넘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요미우리는 참정당이 최대 19석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참의원은 10명 이상의 찬성자가 있으면 단독 법안 발의가 가능하다. 단순한 약진을 넘어 극우 정당이 입법 가능한 실체로 제도권에 진입하는 첫 사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반글로벌리즘, 외국인 유입 규제, 자학사관 철폐 등을 전면에 내세운 참정당은 이번 선거에서 “귀화 요건에 일본에 대한 충성심을 포함하겠다”고 공약하는 등 노골적인 배외주의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고물가와 사회적 양극화로 생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자민당 내 보수 유권자 이탈 흐름까지 더해지며 극우 정당인 참정당의 외연 확장에 유리한 정세가 형성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집권 자민당은 선거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고전하고 있다. 같은 조사에서 자민당은 비례대표를 포함해 24~39석 확보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의 예상 의석(7~13석)까지 합쳐도 목표인 과반(50석)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참정당의 노골적인 배외주의 공약과 선동적 언설이 실제 표심으로 이어지면서 혐오와 차별이 일본 정치의 경쟁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2020년 유튜브 기반 정치 운동으로 출범한 참정당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지지층을 넓혀 왔다. 특히 SNS는 감정적인 메시지나 선동적 콘텐츠가 알고리즘을 타고 빠르게 확산되는 구조여서 극단적인 주장도 손쉽게 대중에게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환경이 참정당의 세 확산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참정당은 코로나19 시기 ‘백신 무용론’을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당은 고교 교사 출신인 가미야 소헤이(48) 대표가 중심이 돼 이끌고 있다. 현재 중의원 3석(비례), 참의원 1석(비례)을 갖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당원 수는 약 7만 5000명으로, 일부 제도권 야당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 “尹, 18일 구속적부심 직접 출석 검토”…구속 위법성 주장

    “尹, 18일 구속적부심 직접 출석 검토”…구속 위법성 주장

    윤석열 전 대통령이 조은석 특별검사팀 구속의 위법·부당성을 주장하며 법원에 청구한 구속적부심사 사건 심문이 18일 오전 진행될 예정이다. 16일 서울중앙지법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측이 이날 오전 청구한 구속적부심 사건은 중앙지법 형사항소9-2부(부장 류창성 정혜원 최보원)에 배당됐다. 심문 기일은 18일 오전 10시 15분으로 지정됐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적부심 심문기일에 직접 출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변호인단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구속적부심사에 윤 전 대통령 출석 여부는 내일(17일) 접견을 통해 파악 후 알려드리겠다”고 밝혔다. 구속적부심은 피의자에 대한 구속이 적법한지, 구속을 계속할 필요성이 있는지 법원이 심사해 판단하는 절차다. 청구서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물을 조사해 구속 요건 및 구금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다시 판단하게 된다. 앞서 윤 전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구속적부심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사유는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로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 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것은 법원에서 밝히겠다”고 전했다. 다만 17일로 예정된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 재판 참여 여부는 “확답드릴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재구속된 후 내란 특검팀의 소환 조사를 거부해왔다.
  • 유경현 경기도의원, 경기도 세입 강화 신호탄...실적 기반 포상금 조례안 상임위 통과

    유경현 경기도의원, 경기도 세입 강화 신호탄...실적 기반 포상금 조례안 상임위 통과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유경현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부천7)은 16일(수) 제385회 임시회 안전행정위원회에서 「경기도 세입징수 포상금 지급 조례안」이 원안대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례안은 기존 「경기도 도세 기본 조례」가 지방세 체납액에 한정해 규정하고 있던 포상금 지급 범위를 확대하여, 세외수입 체납액 징수, 현년도 체납 조기 확보, 제도개선을 통한 신세원 발굴 등 세입 전반에 기여한 공무원과 민간인에게도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유경현 의원은 “고도화된 체납 회피 수법으로 조세 회수가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징수 현장 공무원의 적극적인 활동을 장려하고 실질적인 세입 증대를 이끌어낼 유인책 마련이 시급했다”며 “이번 조례는 경기도의 재정 건전성과 조세 정의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례의 주요 내용은 △포상금 지급 대상을 도세 체납에서 세외수입 체납까지 확대 △현년도 체납액도 포상금 지급 대상으로 포함 △고액 체납액 분할 납부 시에도 납부 회차별 포상금 지급 가능 △제도개선이나 신세원 발굴 등 특수사례에 대한 포상 가능 등이다.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경기도는 체계적인 징수 유인 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타 시·도 대비 미비했던 세외수입 분야까지 포상 근거를 명확히 하여 실효성 있는 세입 행정 기반을 마련했다. 유 의원은 “이번 조례가 일선 공무원에게는 동기를 부여하고, 민간인에게는 공익 제보의 계기를 제공하는 이정표가 되길 바란다”며 “지방재정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앞으로도 징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통해 도민과 행정이 함께 신뢰받는 재정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여수광양항만공사, 크루즈 거점항만 도약을 위한 홍보 총력

    여수광양항만공사, 크루즈 거점항만 도약을 위한 홍보 총력

    여수광양항만공사(YGPA)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2회 제주국제크루즈포럼’에 참가해 여수항 크루즈 유치 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했다. 해양수산부와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 주최한 이번 포럼은 국내외 크루즈 선사, 항만 관계자, 관광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YGPA는 여수시, 전남관광재단과 공동으로 여수항 홍보관을 운영하며 15만t급 이상의 대형 선박이 접안 가능한 크루즈 부두 인프라와 여수세계박람회장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자원을 집중 홍보했다. 특히 세계 최초로 섬을 주제로 열리는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해양관광 거점도시로서 여수항의 차별화된 매력을 적극 부각했다. 아울러 MSC, 프린세스 크루즈 등 글로벌 주요 선사들과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하며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황학범 사장 직무대행은 “여수항은 박람회장을 비롯한 인근 도시의 역사문화자원과 생태관광자원 등 다양한 볼거리를 갖춘 국내 대표 크루즈 항만이다”며 “글로벌 선사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지속적인 크루즈 유치 활동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수항은 올해 총 6회의 크루즈 입항이 예정돼 있다. YGPA는 앞으로도 크루즈 입항 확대를 목표로 국내외 마케팅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K팝으로 하나된 역동적인 무대…‘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불가리아’ 성황리에 개최

    K팝으로 하나된 역동적인 무대…‘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불가리아’ 성황리에 개최

    지난 12일(현지시간)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의 토플로센트랄라 문화센터에서 열린 ‘2025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 인 불가리아’가 관객들의 뜨거운 열기 속에 성황리에 개최됐다. 형형색색의 야광 팔찌를 들고 입장한 관객들은 불가리아 결선에 진출한 15개 참가팀들이 무대에 오를 때마다 박수와 함성으로 호응하며 축제의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객석을 가득메둔 관객들은 K팝을 따라부르며 하나가 됐고, 무대가 끝날때 마다 태극기와 불가리아 국기가 새겨진 부채를 흔들며 환호했다. 불가리아 한류 팬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서 개최된 이번 축제는 서울신문과 주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관(대사 김동배)이 공동 주최하고, 서울특별시와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서울관광재단, 올케이팝, 블랙클로버, 펜타클이 후원했다. 김동배 주불가리아 대한민국 대사는 “K팝을 포함한 K컬처에 대해 불가리아 국민들의 관심과 열정은 더위도 잊을 만큼 뜨겁다”면서 “참가자들이 무대에 쏟는 에너지가 누군가에게는 또 다른 영감이 된다고 생각하며 불가리아에서 K팝이 꾸준히 지속될 수 있길 응원한다”고 밝혔다. 15개 팀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있지(ITZY)의 ‘웨폰’(Weapon)을 커버한 5인조 혼성팀 ‘스킬스’(S.K!LLs)가 우승과 함께 오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월드 파이널 진출권을 손에 넣었다. 스킬스는 우승팀으로 호명되자 우승이 믿기지 않는 듯 얼굴을 감싼 채 눈시울을 붉히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스킬스의 리더 슬라베이 릴로브(28)는 “멤버 모두 오래전부터 K팝 춤을 췄고, 함께 실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3년 전에 모여 팀을 결성하게 되었다”며 “즐겁게 춤을 추는 것이 관객들에게도 에너지를 전하는 길이라고 믿었기에 부담은 내려놓고 무대에 올랐는데, 이렇게 우승까지 하게 되어 정말 놀랍고 기쁘다”며 소감을 밝혔다. 이어 그는 “K팝의 본고장인 한국에서 춤을 어떻게 추는지 직접 배우고 싶고, 결선에 모이는 각국 팀 리더들과 교류하며 서로의 열정을 나누고 싶다”며 리더로서의 책임감 있는 모습을 드러냈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은 세계 최초이자 세계 최대의 K팝 온·오프라인 한류 팬 소통 프로그램이다. K팝을 넘어 한국문화를 전세계에 널리 알리고 한류 팬들과 소통하는 축제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류의 지속적인 확산에 기여함은 물론 양극화나 차별·혐오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로 고통받는 전 세계의 젊은이를 위로하는 소중한 자리로도 평가받고 있다. 한편, 오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2025 K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월드 파이널에는 전 세계 각국 무대를 통해 선발된 약 100여 명의 대표 커버댄서들이 한국에 대거 입국할 예정이다. 이들은 서울의 주요 랜드마크를 돌며 시민들과 교감하는 등 특별한 문화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게 된다. 이들의 여정은 전 세계 K팝 팬들에게 생생하게 공유될 전망이다.
  • “일본에 대한 충성심 확인해야”...日 ‘극우 10석 시대’ 오나

    “일본에 대한 충성심 확인해야”...日 ‘극우 10석 시대’ 오나

    집권 자민당의 운명을 가를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인 퍼스트’를 내세운 극우 정당 ‘참정당’이 10석을 확보해 돌풍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극우 정당이 의석을 확보한 적은 있었지만, 단독 법안 발의가 가능한 10석을 눈앞에 둔 것은 일본 정치사상 처음이다.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2~1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참정당이 도쿄에서 선두권을 형성한 데 이어, 사이타마·가나가와·아이치 등 수도권 선거구에서도 의석 확보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비례대표를 포함하면 전체적으로 10석을 넘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요미우리는 참정당이 최대 19석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참의원은 10명 이상의 찬성자가 있으면 단독 법안 발의가 가능하다. 단순한 약진을 넘어, 극우 정당이 입법 가능한 실체로 제도권에 진입하는 첫 사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반글로벌리즘, 외국인 유입 규제, 자학사관 철폐 등을 전면에 내세운 참정당은 이번 선거에서 “귀화 요건에 일본에 대한 충성심을 포함하겠다”고 공약하는 등 노골적인 배외주의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특히 고물가와 사회적 양극화로 생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자민당 내 보수 유권자 이탈 흐름까지 더해지며 극우 정당인 참정당의 외연 확장에 유리한 정세가 형성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집권 자민당은 선거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고전하고 있다. 같은 조사에서 자민당은 비례대표를 포함해 24~39석 확보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예상 의석(7~13석)까지 합쳐도 목표인 과반(50석)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참정당의 노골적인 배외주의 공약과 선동적 언설이 실제 표심으로 이어지면서, 혐오와 차별이 일본 정치의 경쟁 수단으로 자리잡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2020년 유튜브 기반 정치 운동으로 출범한 참정당은 기존 정당들과 달리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지지층을 넓혀왔다. 특히 SNS는 감정적인 메시지나 선동적 콘텐츠가 알고리즘을 타고 빠르게 확산되는 구조여서, 극단적인 주장도 손쉽게 대중에게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환경이 참정당의 세 확산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참정당은 코로나19 시기 ‘백신 무용론’을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당은 고교 교사 출신인 가미야 소헤이(48) 대표가 중심이 돼 이끌고 있다. 간사이대 문학부를 졸업한 고교 교사 출신으로, 가족이 운영하던 슈퍼마켓 점장을 거쳐 2007년 오사카부 스이타시 지방의회에 입성하며 정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2022년 참의원 비례대표로 당선돼 중앙 정치에 진출했으며, 당시 신생 정당으로는 이례적인 지지율로 ‘참정당 현상’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현재 중의원 3석(비례), 참의원 1석(비례)을 갖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당원 수는 약 7만 5000명으로, 일부 제도권 야당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일각에선 참정당이 선거 후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 자민당 내 강경 보수파와 손잡고 ‘우클릭’ 연대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가미야 대표는 지난 14일 다카마쓰시 거리 유세에서 자민당과의 연립 가능성에 대해 “(집권당을) 끌어내리겠다고 말해 왔다. 그들의 연명을 돕는 일 따위는 우리가 할 리 없다”고 선을 그었다.
  • 교회서 ‘동성애 없애는 퇴마’ 당한 30대…보상금 얼마 받았나 보니 ‘깜짝’

    교회서 ‘동성애 없애는 퇴마’ 당한 30대…보상금 얼마 받았나 보니 ‘깜짝’

    영국의 한 교회에서 ‘동성애 없애는 퇴마’를 당한 30대 남성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며 법적 대응에 나서 교회 측으로부터 수천만원대 보상금을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1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영국 셰필드에 있는 한 교회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던 매슈 드래퍼(37)는 주말 행사에 초대받아 충격적인 일을 겪었다. 드래퍼는 행사에서 기도회 진행을 맡은 교회 신도 부부로부터 “성적 부도덕성으로 인해 악령이 몸에 들어왔다”며 이를 쫓아내기 위한 퇴마가 필요하다는 말을 들었다. 퇴마 기도 당시 부부는 드래퍼의 머리 위에 서서 “이제부터 미디어를 끊어야 한다”며 그가 동성애적 감정을 갖게 된 원인이 미디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경험으로 깊은 충격을 받았고, 이후 극심한 우울감과 공허함에 시달렸다고 토로했다. 드래퍼는 “지금 생각하면 공포영화 같은 일이었다. 누군가가 내 위에서 악령이 빠져나간다고 말하는 것은 매우 무서운 일”이라며 “하지만 그때는 교회에 너무 깊이 빠져 있어 무슨 말을 해도 믿을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고 회상했다. 이후 그는 지난 2016년 해당 교회를 떠난 뒤 3년 뒤인 2019년 교회 측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사과를 요청했다. 그러나 교회는 “관련 증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드래퍼는 문제 제기를 이어갔고, 결국 교회 측은 지난 2021년 아동복지 전문기관에 외부 조사를 의뢰했다. 조사는 지난 2023년에 마무리됐으며 보고서는 해당 사건이 “퇴마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는 기도 의식”이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드래퍼는 교회를 상대로 법적 절차에 돌입했고, 최근 수천만원 규모의 합의금을 받고 사건은 종결됐다. 교회 측은 “우리 공동체의 한 구성원이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한 점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그에게 진심으로 사과했다”고 밝혔다. 드래퍼는 이번 사건이 영국 내 종교 단체의 성소수자 차별 문제를 환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장민수 경기도의원,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인권침해적 단속 방식 개선 촉구

    장민수 경기도의원,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인권침해적 단속 방식 개선 촉구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장민수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대표발의한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인권침해적 단속 방식 개선 건의안’이 7월 15일(화) 제385회 임시회 제1차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 건의안은 ‘미등록 이주민’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불시 방문 중심의 물리적 단속 방식이 반복적으로 인명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보다 인권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출입국 정책으로 전환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와 국가인권위원회 등 국내·외 인권기구들은 ‘불법체류자’라는 용어 대신 ‘미등록체류자’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권고해 왔으며, 현재 시행 중인 단속 방식이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인권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해왔다. 특히 지난 6월, 경기도 파주의 한 제조업체에서 단속을 피해 도주하던 이주여성이 기계에 추락해 발목이 절단되는 중대한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외에도 단속 과정에서 추락사, 교통사고 등 심각한 피해 사례가 전국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토끼몰이식’ 단속 방식은 단속 대상자의 신병 확보를 넘어 이주민 전체에 대한 낙인과 혐오를 부추기고 있으며, 특히 이주민과 그 자녀들에게 정서적 불안과 사회적 고립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건의안에는 ▲ 불시방문 중심의 물리적 단속에서 자진출국 유도 중심의 인권친화적 행정절차로의 전환, ▲ 일정 요건을 갖춘 미등록 이주민에게 합법적 체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단속의 초점을 이주민 개인이 아닌 불법 고용을 조장하거나 방조한 고용주로 전환, ▲ 지방자치단체 및 시민사회단체의 단속 참여를 통한 투명성 확보, ▲ 법무부의 「출입국사범 단속 및 보호준칙」 이행 실태에 대한 외부 점검 체계를 마련 등의 개선 방안을 담고 있다. 장민수 의원은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이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인 만큼, 다문화사회로 성숙해가는 흐름 속에서 보다 인권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 전환을 정부에 선도적으로 촉구할 필요가 있다”라고 건의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건의안은 오는 23일 제38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최종 심의될 예정이다.
  • 성동구, 방학·아플 때도 ‘돌봄 틈새’ 메운다…워킹스쿨버스·병원동행 등

    성동구, 방학·아플 때도 ‘돌봄 틈새’ 메운다…워킹스쿨버스·병원동행 등

    서울 성동구가 방학 기간 돌봄 틈새를 메우는 육아 서비스 지원을 통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입지 강화에 나섰다. 성동구는 16일 여름 방학 동안 저학년 학생의 안전한 등하교를 위해 ‘워킹스쿨버스’를 지속 운영한다고 밝혔다. 워킹스쿨버스에는 교통안전지도사가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를 이용하는 학생들과 통학길에 동행하며, 자녀의 등하교 상황을 SNS로 학부모에게 실시간 공유한다. ‘우리아이 안심동행센터’ 운영 등 아픈 아이의 긴급 돌봄도 지원 중이다. 돌봄 선생님이 아동 픽업부터 진료, 귀가까지 병원 진료 전 과정을 동행하는 ‘병원동행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전문 간호사가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상돌봄서비스’도 함께 한다. 한편 구의 차별화된 돌봄, 보육 정책의 성과는 여러 외부 지표로도 확인할 수 있다. 성동구는 최근 전국 17개 시·도, 수도권 6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는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지역’에 대한 조사(케이스탯 공공사회정책연구소 등 3개소, ‘출산·양육 복지 지수’)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서울시 자치구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또 지난해 성동구 합계출산율은 전년 대비 11.11% 증가한 0.71명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앞으로도 마음 편히 아이를 낳고 행복하게 키울 수 있는 보육도시 성동을 위해 변함없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윤종영 경기도의원, ‘경기도 인삼산업 육성 조례’ 대표발의, 인삼 농가 지원 탄력

    윤종영 경기도의원, ‘경기도 인삼산업 육성 조례’ 대표발의, 인삼 농가 지원 탄력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부위원장 윤종영 의원(국민의힘, 연천)은 인삼산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재배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경기도 인삼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해당 조례안은 오는 21일(월)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에서 심사를 앞두고 있다. 윤 의원이 발의한 조례안은 인삼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조성과 더불어, 인삼류 및 인삼제품류의 생산, 가공, 제조, 유통, 판매, 수출 등 전반에 걸쳐 경기도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인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인삼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기도는 전국적으로도 손꼽히는 인삼 주산지로, 재배 면적이 넓고 품질이 우수한 인삼이 다수 생산되고 있다. 특히 고려인삼의 대표 산지 중 하나인 연천을 비롯한 경기북부 지역은 인삼 재배농가의 비중이 높고, 지역경제에서 인삼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한 만큼,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해당 지역 농가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례안에는 ▲ 5년마다 ‘인삼산업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연차별 시행계획을 마련하도록 규정했으며, ▲ 시설 현대화, 판로 개척, 전문인력 양성, 가공·수출 지원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지원사업 추진, ▲ 지원 대상 농업인 및 생산자단체에 대한 재정 지원 근거 마련, ▲ ‘경기도 인삼산업발전위원회’ 설치를 통한 자문기구 운영, ▲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윤종영 의원은 “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능성 농산물이자 건강식품으로, 특히 최근에는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적 수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경기도가 인삼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이번 조례를 발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윤 의원은 “이번 조례 제정을 계기로 인삼재배 농가의 경영안정은 물론, 인삼산업의 부가가치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조례안은 21일(월) 상임위원회 심사 후 23일(수) 본회의 의결을 거쳐 공포 즉시 시행될 예정이다.
  • “왜소증 장애인 고용해 ○○”…10대 축구스타 생일파티 논란, 왜

    “왜소증 장애인 고용해 ○○”…10대 축구스타 생일파티 논란, 왜

    스페인의 18세 축구 스타 라민 야말(바르셀로나)이 자신의 생일 파티에 왜소증 장애인을 공연자로 고용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15일(현지시간) 영국 BBC 등은 “야말은 자신의 생일 파티에 왜소증 장애인을 고용해 공연했다는 의혹을 받았다”며 “스페인 사회권리부는 스페인 검찰에 그의 조사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2007년 7월 13일생의 야말은 지난 15일 바르셀로나에서 북서쪽으로 50㎞ 떨어진 올리벨라의 한 저택을 빌려 지인들과 파티를 열었다. 바르셀로나 팀 동료를 포함해 유튜버와 인플루언서 등이 참석한 이 파티는 왜소증 장애인이 공연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됐다. 보건복지부가 신장을 기준으로 장애를 판정하는 ‘왜소증’은 지체 장애의 한 종류로 분류되며 남성은 성장이 멈춘 만 18세 이상의 성인 중 145㎝ 이하, 여성은 성장이 멈춘 만 16세 이상 성인 중 140㎝ 이하인 경우다. 연골무형성증으로 인한 왜소증 증상이 뚜렷하면 만 2세 이상부터도 장애 판정을 받을 수 있다.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유전 질환만 그 종류가 300가지가 넘는다. 대부분 희귀 난치성 질환에 속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억제되는 연골무형성증이다. 이와 관련해 무형성증 및 기타 골격이형성증 환자협회(ADEE)는 “야말의 행동은 21세기에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분노했다. ADEE는 “오락 목적으로 왜소증이 있는 사람들을 고용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비난한다. 이는 차별을 조장하며, 장애인에 대한 이미지와 권리를 훼손한 행위”라며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당 파티에서 공연했던 한 왜소증 장애인은 스페인 매체와 진행한 익명 인터뷰에서 “라말은 물론이고 그 자리에 있던 누구도 우리를 무시하거나 조롱하지는 않았다. 우리는 합법적으로 평화롭게 일했다”며 야말을 옹호했다. 바르셀로나 측은 “선수의 개인적인 영역이라 구단에서 논평할 내용이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세계 축구의 미래’라 불리는 야말은 지난 시즌 바르셀로나에서 55경기 18골 25도움으로 맹활약했다. 바르셀로나의 아시아 투어 일정에 따라 이번 여름 방한 계획도 잡혀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