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거짓말해도 괜찮다면…/정은주 사회부 기자
신영철 대법관이 침묵하고 있다. 촛불사건 재판의 내용과 절차에 개입해 법관의 독립성을 훼손한 잘못이 대법원 조사로 드러나 공직자윤리위원회에 회부됐지만, 그는 버티고 있다. 윤리위가 약한 징계를 권고하고, 이용훈 대법원장이 이를 수용한다면 남은 6년을 대법관으로 살아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사실 법적으로 신 대법관을 내몰 근거는 없다. 대법관은 탄핵되거나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지 않는 한 파면되지 않는다. 법관이 부당한 압력에 굴하지 않고 소신 있게 판결하도록 우리 법률은 그들의 신분을 특별히 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후배 법관의 독립성을 ‘침해’한 신 대법관이 법관의 독립성을 ‘보장’한 법률 덕분에 대법관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국회에서 위증한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받고 있지만, 형사처벌도 피할 수 있을 듯하다. 민주당 이종걸 의원 등은 “신 대법관이 지난달 10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촛불사건을 기계적으로 배당했다고 답변했지만, 대법원 조사에서 임의 배당으로 드러나 명백히 위증했다.”며 고발했다. ‘국회 증언·감정 법률’에 따라 위증이 인정되면 벌금형 없이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게 된다.
그러나 국회 증언·감정 법률은 위증죄 처벌대상을 ‘선서한 증인 또는 감정인’으로 제한하고 있다. 신 대법관과 같은 ‘공직후보자’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때문에 선서 내용도 다르다. 국회 증인이나 감정인은 “만일 거짓말이 있으면 위증(허위감정)의 벌을 받기로 맹세합니다.”라고 선서한다. 그러나 공직후보자는 “본인은 양심에 따라 숨김과 보탬이 없이 사실 그대로 말할 것을 맹세합니다.”라고만 말한다. 처벌받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느니, 거짓말을 해도 공직후보자는 처벌할 수 없다는 논리이다.
이처럼 법률상 문제가 없다는 데도 신 대법관을 받아들일 수 없는가. 그렇다면 대법관을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러움이 없는” 한국 사회의 마지막 심판이라고 신뢰한 우리의 순진함을 탓하자. 우리는 1, 2심 판결에 불복했더라도, 대법원 판결이 나오면 승복했다. 억울할 때도 있었지만, 최고 법관이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제 그 믿음을 거둬 들이자. 신 대법관이 자리를 지켜 낼 수 있겠지만, 국민의 신뢰까지는 지켜 낼 수 없도록 말이다.
정은주 사회부 기자 eju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