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중국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칫솔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아카데미 시상식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사망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75,930
  • National Foundation Medal awarded to American Mrs. Peach for helping Kim Gu and others escape

    National Foundation Medal awarded to American Mrs. Peach for helping Kim Gu and others escape

    An American woman who helped Kim Gu and other official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lee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supported Korea‘s independence will receive an award for meritorious service on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nounced on the 13th that among the 311 independence activists being honored this year on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Mrs. Geraldine Townsend Peach (1892-1976) will receive the Order of National Foundation (Independence Medal). Mrs. Peach was the wife of missionary George Ashmore Peach (1883-1979), who received the Independence Medal in 1968. In April 1932, shortly after Yoon Bong-gil‘s assassination attempt at the Hongkou Park in Shanghai, China, the couple sheltered Kim Gu, Eom Hang-seop, Ahn Gong-geun (Ahn Jung-geun’s younger brother), and Kim Cheol, key figur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t their home for about a month. As Japanese police surveillance tightened, she helped them escape to Jiaxing by disguising them as Chinese nationals. Mrs. Peach pretended to be Kim Gu‘s wife to evade Japanese surveillance. The details of the Peach couple’s assistance are recorded in “Baekbeom Ilji.” While Mr. Peach, her husband, was recognized for his contributions early on, Mrs. Peach‘s assistance was not widely known. (Seoul Newspaper, October 7, 2024, p. 11) Mrs. Peach also translated Kim Gu‘s “The Truth About the Hongkou Park Incident” into English and, after returning to the United States, served as president of the New York branch of the Korea-America Association in the 1940s, giving speeches in support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award, saying, “We judged that Mrs. Peach‘s contributions were no less than those of her husband.” Among the 311 recipients of this award, 71 received the Order of National Foundation (2 Independence Medals, 13 Patriot Medals, and 56 Patriotic Medals), 22 received the Order of National Foundation Medal, and 218 received the Presidential Citation. Mr. Kim Sul-geun (Patriotic Order), who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volunteered for the U.S. military during the Pacific War, will also receive the Order of National Foundation. Six people, including the An Soon-pil family, who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distant region of Cuba, will receive the Presidential Citation. A total of 18,569 people have been honored as independence activis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til this year‘s Liberation Day. Jeremy Suh Repoter 서주열 통신원 김구 등 피신 도운 美 피치 여사에 건국훈장 김구를 비롯해 일제의 눈을 피해 쫓기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을 피신시켜 주고 한국의 독립을 지지한 미국인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는다. 국가보훈부는 올해 광복 80주년을 계기로 포상하는 독립유공자 311명 가운데 제럴딘 타운센드 피치(1892~1976) 여사가 건국훈장(독립장)을 받는다고 13일 밝혔다. 피치 여사는 1968년 독립장을 받은 조지 애시모어 피치(1883~1979) 선교사의 부인으로, 두 사람은 1932년 4월 중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의 윤봉길 의거 직후 찾아온 김구, 엄항섭, 안공근(안중근 동생), 김철 등 임시정부 요인들을 약 한 달간 집에서 피신하게 해 줬다. 이후 일본 경찰의 감시망이 좁혀 오자 이들을 중국인으로 위장해 자싱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왔다. 피치 여사는 당시 김구의 부인인 척 위장해 일제의 감시를 피했다. ‘백범일지’에 당시 피치 부부의 도움을 받은 내용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남편인 피치 선교사는 이러한 공을 일찌감치 인정받았지만 피치 여사의 도움은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서울신문 2024년 10월 7일자 11면> 피치 여사는 김구가 작성해 발표한 ‘훙커우 공원 투척 사건의 진상’ 영문 번역도 맡았고 미국으로 돌아간 뒤에도 1940년대 한미협회 뉴욕지부 회장으로 활동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 보훈부는 “피치 부인의 공적도 남편의 공적과 다르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서훈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포상 대상자 311명 가운데 건국훈장은 71명(독립장 2명·애국장 13명·애족장 56명), 건국포장은 22명, 대통령 표창은 218명이다. 국내와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이끌고 태평양전쟁 기간 미군에 자원입대해 활약한 김술근 선생(애족장)도 건국훈장을 받는다. 머나먼 쿠바 지역에서 독립운동 지원 등의 활동을 했던 안순필 일가 등 6명은 대통령 표창을 받는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번 광복절까지 총 1만 8569명이 독립유공자로 포상됐다.
  • 중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 남극 무단 비행했다 못 떠나는 사연 [월드피플+]

    중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 남극 무단 비행했다 못 떠나는 사연 [월드피플+]

    남극을 무단 비행했다가 구금된 중국계 미국 국적 인플루언서의 근황이 전해졌다. 지난 1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조종사 이선 궈(19)가 아직도 남극에 발이 묶여 떠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요 외신에 보도돼 큰 관심을 끈 그는 140만의 팔로워를 거느린 유명 인플루언서로 지난 6월 28일 허가 없이 남극에 착륙하고 허위 비행 계획을 제출한 혐의로 칠레 당국에 기소돼 구금됐다. 이에 대해 칠레 항공청은 궈가 애초 칠레 남단 푼타아레나스 주변 상공 비행 계획을 담은 문서를 제출해 놓고 이를 어기고 남극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결국 그는 재판 대신 30일 이내에 어린이 소아암 재단에 3만 달러를 기부하고 3년 동안 칠레 영토에 재입국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하고 남극을 떠나는 것에 합의했다. 그러나 아직도 칠레 정부의 허락이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궈 측 주장이다. 궈 측 변호사는 “의뢰인의 무죄가 입증됐지만 칠레 정부는 아직도 그가 비행기를 기지 밖으로 비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궈도 남극에 갇힌 답답함을 호소했다. 그는 “남극에 억류되었던 동안 체중이 줄었으며 마치 죄수가 된 것 같은 기분”이라면서 “아직도 남극에서 출발하는 비행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어린이 병원을 위한 기금 모금이라는 본래의 사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그는 13세 때부터 비행 교육을 받기 시작했으며, 4년 후 조종사 면허 취득 후 48개국을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세계 7개 대륙을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100만 달러를 모금해 소아암 치료 재단에 기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 중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 남극 무단 비행했다 못 떠나는 사연

    중국계 미국인 인플루언서, 남극 무단 비행했다 못 떠나는 사연

    남극을 무단 비행했다가 구금된 중국계 미국 국적 인플루언서의 근황이 전해졌다. 지난 1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은 조종사 이선 궈(19)가 아직도 남극에 발이 묶여 떠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요 외신에 보도돼 큰 관심을 끈 그는 140만의 팔로워를 거느린 유명 인플루언서로 지난 6월 28일 허가 없이 남극에 착륙하고 허위 비행 계획을 제출한 혐의로 칠레 당국에 기소돼 구금됐다. 이에 대해 칠레 항공청은 궈가 애초 칠레 남단 푼타아레나스 주변 상공 비행 계획을 담은 문서를 제출해 놓고 이를 어기고 남극으로 향했다고 전했다. 결국 그는 재판 대신 30일 이내에 어린이 소아암 재단에 3만 달러를 기부하고 3년 동안 칠레 영토에 재입국하지 않는다는 데 동의하고 남극을 떠나는 것에 합의했다. 그러나 아직도 칠레 정부의 허락이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궈 측 주장이다. 궈 측 변호사는 “의뢰인의 무죄가 입증됐지만 칠레 정부는 아직도 그가 비행기를 기지 밖으로 비행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궈도 남극에 갇힌 답답함을 호소했다. 그는 “남극에 억류되었던 동안 체중이 줄었으며 마치 죄수가 된 것 같은 기분”이라면서 “아직도 남극에서 출발하는 비행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어린이 병원을 위한 기금 모금이라는 본래의 사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그는 13세 때부터 비행 교육을 받기 시작했으며, 4년 후 조종사 면허 취득 후 48개국을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세계 7개 대륙을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100만 달러를 모금해 소아암 치료 재단에 기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 韩女团 (G)I-DLE 成员宋雨琦将推出个人专辑回归

    韩女团 (G)I-DLE 成员宋雨琦将推出个人专辑回归

    据多位知情人士透露,宋雨琦将于9月中旬以个人专辑回归。这是她继今年3月发布个人单曲《Radio (DUM-DUM)》后,时隔约6个月的再次个人回归。 宋雨琦去年4月发行的首张迷你专辑《WEEKEND》标志着其作为个人歌手的正式起飞。这张专辑是宋雨琦出道6年多来首次发行的个人专辑,她凭借这张专辑成功跻身“半百万销量艺人”行列。专辑中的主打歌《FREAK》以及所有收录歌曲均进入了Melon“Hot 100”榜单。此外,这张专辑在iTunes平台上还登上了俄罗斯、智利、香港等6个国家的Top Albums榜单,以及美国、英国、德国等15个国家的Top K-pop Albums榜单榜首。 《FREAK》的音乐视频在YouTube上的点击量轻松突破1000万次,尤其在中国大受欢迎。该专辑在中国音乐平台腾讯音乐上被评为年度专辑第二名,主打歌《FREAK》则被选为年度歌曲第八名。在粉丝们的支持下,宋雨琦在“第39届金唱片大赏”中荣获最佳个人歌手奖,进一步肯定了她的音乐成就。 一直以来,宋雨琦积极参与作词、作曲,不断提升作为艺术家的能力。此次她将通过新专辑展现怎样的全新音乐风格,引发了粉丝们的热切关注。 另一方面,宋雨琦所属的组合 (G)I-DLE 将于8月16日至17日登上日本最大规模音乐节“SUMMER SONIC 2025”的舞台。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아이들 우기, 9월 솔로 컴백 확정 아이들(i-dle) 멤버 우기가 오는 9월 솔로로 돌아온다. 지난 3월 솔로 싱글 ‘라디오(덤-덤)’ 이후 약 6개월 만의 컴백이다. 12일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우기가 9월 중 솔로 앨범 발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기는 그룹 활동뿐만 아니라 솔로 아티스트로서도 꾸준히 음악적 역량을 선보이며 팬들의 기대를 모아왔다. 지난해 4월 발매한 첫 미니앨범 ‘YUQ1’으로 솔로 활동을 본격화한 우기는 하프 밀리언셀러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알렸다. 이 앨범은 타이틀곡 ‘FREAK’를 포함한 전곡이 멜론 ‘핫100’ 차트에 진입했으며, 아이튠즈 톱 앨범 차트와 K-POP 앨범 차트에서도 여러 국가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특히 ‘FREAK’ 뮤직비디오는 유튜브 조회수 1000만 건을 돌파하며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또한, 중국 음악 플랫폼 텐센트 뮤직에서는 ‘YUQ1’이 올해의 앨범 2위, ‘FREAK’가 올해의 노래 8위에 오르며 현지에서의 뜨거운 인기를 증명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기는 ‘제39회 골든디스크어워즈’에서 베스트 솔로 아티스트상을 수상하며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굳혔다. 작사·작곡에 꾸준히 참여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우기가 이번 새 앨범을 통해 어떤 새로운 음악을 들려줄지 팬들의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한편, 우기가 속한 그룹 아이들은 오는 16일과 17일 일본 최대 규모 음악 페스티벌 ‘서머소닉 2025’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 韩女团 (G)I-DLE 成员宋雨琦将推出个人专辑回归

    韩女团 (G)I-DLE 成员宋雨琦将推出个人专辑回归

    据多位知情人士透露,宋雨琦将于9月中旬以个人专辑回归。这是她继今年3月发布个人单曲《Radio (DUM-DUM)》后,时隔约6个月的再次个人回归。 宋雨琦去年4月发行的首张迷你专辑《WEEKEND》标志着其作为个人歌手的正式起飞。这张专辑是宋雨琦出道6年多来首次发行的个人专辑,她凭借这张专辑成功跻身“半百万销量艺人”行列。专辑中的主打歌《FREAK》以及所有收录歌曲均进入了Melon“Hot 100”榜单。此外,这张专辑在iTunes平台上还登上了俄罗斯、智利、香港等6个国家的Top Albums榜单,以及美国、英国、德国等15个国家的Top K-pop Albums榜单榜首。 《FREAK》的音乐视频在YouTube上的点击量轻松突破1000万次,尤其在中国大受欢迎。该专辑在中国音乐平台腾讯音乐上被评为年度专辑第二名,主打歌《FREAK》则被选为年度歌曲第八名。在粉丝们的支持下,宋雨琦在“第39届金唱片大赏”中荣获最佳个人歌手奖,进一步肯定了她的音乐成就。 一直以来,宋雨琦积极参与作词、作曲,不断提升作为艺术家的能力。此次她将通过新专辑展现怎样的全新音乐风格,引发了粉丝们的热切关注。 另一方面,宋雨琦所属的组合 (G)I-DLE 将于8月16日至17日登上日本最大规模音乐节“SUMMER SONIC 2025”的舞台。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아이들 우기, 9월 솔로 컴백 확정 아이들(i-dle) 멤버 우기가 오는 9월 솔로로 돌아온다. 지난 3월 솔로 싱글 ‘라디오(덤-덤)’ 이후 약 6개월 만의 컴백이다. 12일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우기가 9월 중 솔로 앨범 발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기는 그룹 활동뿐만 아니라 솔로 아티스트로서도 꾸준히 음악적 역량을 선보이며 팬들의 기대를 모아왔다. 지난해 4월 발매한 첫 미니앨범 ‘YUQ1’으로 솔로 활동을 본격화한 우기는 하프 밀리언셀러를 기록하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알렸다. 이 앨범은 타이틀곡 ‘FREAK’를 포함한 전곡이 멜론 ‘핫100’ 차트에 진입했으며, 아이튠즈 톱 앨범 차트와 K-POP 앨범 차트에서도 여러 국가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특히 ‘FREAK’ 뮤직비디오는 유튜브 조회수 1000만 건을 돌파하며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또한, 중국 음악 플랫폼 텐센트 뮤직에서는 ‘YUQ1’이 올해의 앨범 2위, ‘FREAK’가 올해의 노래 8위에 오르며 현지에서의 뜨거운 인기를 증명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우기는 ‘제39회 골든디스크어워즈’에서 베스트 솔로 아티스트상을 수상하며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굳혔다. 작사·작곡에 꾸준히 참여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우기가 이번 새 앨범을 통해 어떤 새로운 음악을 들려줄지 팬들의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한편, 우기가 속한 그룹 아이들은 오는 16일과 17일 일본 최대 규모 음악 페스티벌 ‘서머소닉 2025’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 “중국군 상륙 막아라”…대만, 민간 트럭 개조해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

    “중국군 상륙 막아라”…대만, 민간 트럭 개조해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

    대만군이 민간 트럭처럼 보이는 차량에서 AGM-114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은 대만에서 민간 트럭으로 위장한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대를 공개해 중국의 상륙 작전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대만 국방부 공식 매체인 군사통신사는 탱크와 드론 등 여러 무기의 시연 모습을 영상으로 공개했는데, 여기에 트럭에서 발사된 헬파이어 미사일이 해상에 목표물을 파괴하는 장면이 담겼다. 1984년부터 미군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진 헬파이어 미사일은 테러리스트를 잡는 ‘지옥불 미사일’로 꼽힌다. 2001년 9.11 테러를 일으킨 오사마 빈 라덴이 조직한 국제 테러단체 알카에다의 핵심 구성원들도, 미 공군이 운영하는 무인 정찰 및 공격기인 MQ-1 프레데터와 MQ-9 리퍼에서 발사된 헬파이어 미사일에 의해 사망했다. 놀라운 정밀도를 자랑하는 헬파이어는 공대지 미사일 즉 항공기에서 발사해 지상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미사일로 탱크를 파괴하는 데 특화되었다. 실제로 헬파이어 미사일은 AH-64 아파치 공격헬기에 최적화된 대전차 미사일로 대만군 역시 아파치와 AH-1W 슈퍼 코브라에서 운용하고 있다. 이처럼 대만군이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트럭을 개발한 것은 한마디로 중국 침공 시 상륙 작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유사시 중국은 주요 대공 전력을 투입해 대만 항공 기지를 집중적으로 타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곧 이처럼 트럭으로 이동하면서 미사일을 쏘면 적의 탐지가 어렵고 기동 타격 능력이 향상돼 대만이 가장 두려워하는 중국군의 상륙 작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만군 관계자는 영상에서 인터뷰를 통해 “차량 탑재 미사일 시스템은 비대칭전을 위해 개발됐다”면서 “전시에는 적의 공중 위협에 직면하기 때문에 우리는 공중 기반 헬파이어 미사일을 지상 기반 헬파이어 시스템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더워존은 “위장, 은폐, 기만전술은 이미 대만군의 중요한 전술로 특히 시가전에서 더욱 중요하다”면서 “최근 몇 년 동안 민간용 트럭과 단순한 운송 컨테이너 안에 미사일과 로켓 발사기를 숨겨놓은 것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됐다”고 분석했다.
  • [포착] “중국군 상륙 막아라”…대만, 민간 트럭 개조해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 (영상)

    [포착] “중국군 상륙 막아라”…대만, 민간 트럭 개조해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 (영상)

    대만군이 민간 트럭처럼 보이는 차량에서 AGM-114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은 대만에서 민간 트럭으로 위장한 헬파이어 미사일 발사대를 공개해 중국의 상륙 작전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대만 국방부 공식 매체인 군사통신사는 탱크와 드론 등 여러 무기의 시연 모습을 영상으로 공개했는데, 여기에 트럭에서 발사된 헬파이어 미사일이 해상에 목표물을 파괴하는 장면이 담겼다. 1984년부터 미군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진 헬파이어 미사일은 테러리스트를 잡는 ‘지옥불 미사일’로 꼽힌다. 2001년 9.11 테러를 일으킨 오사마 빈 라덴이 조직한 국제 테러단체 알카에다의 핵심 구성원들도, 미 공군이 운영하는 무인 정찰 및 공격기인 MQ-1 프레데터와 MQ-9 리퍼에서 발사된 헬파이어 미사일에 의해 사망했다. 놀라운 정밀도를 자랑하는 헬파이어는 공대지 미사일 즉 항공기에서 발사해 지상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미사일로 탱크를 파괴하는 데 특화되었다. 실제로 헬파이어 미사일은 AH-64 아파치 공격헬기에 최적화된 대전차 미사일로 대만군 역시 아파치와 AH-1W 슈퍼 코브라에서 운용하고 있다. 이처럼 대만군이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트럭을 개발한 것은 한마디로 중국 침공 시 상륙 작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유사시 중국은 주요 대공 전력을 투입해 대만 항공 기지를 집중적으로 타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곧 이처럼 트럭으로 이동하면서 미사일을 쏘면 적의 탐지가 어렵고 기동 타격 능력이 향상돼 대만이 가장 두려워하는 중국군의 상륙 작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만군 관계자는 영상에서 인터뷰를 통해 “차량 탑재 미사일 시스템은 비대칭전을 위해 개발됐다”면서 “전시에는 적의 공중 위협에 직면하기 때문에 우리는 공중 기반 헬파이어 미사일을 지상 기반 헬파이어 시스템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더워존은 “위장, 은폐, 기만전술은 이미 대만군의 중요한 전술로 특히 시가전에서 더욱 중요하다”면서 “최근 몇 년 동안 민간용 트럭과 단순한 운송 컨테이너 안에 미사일과 로켓 발사기를 숨겨놓은 것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됐다”고 분석했다.
  • 김동연 “임진각에 안중근 평화센터 설립”···국민주권정부 제1동반자 경기도 비전 제시

    김동연 “임진각에 안중근 평화센터 설립”···국민주권정부 제1동반자 경기도 비전 제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보급 가치를 지닌 안중근 의사의 유묵(붓글씨) 두 점을 완전히 확보하고, 파주 임진각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15일 수원 경기아트센터에서 광복절 경축식을 개최했다. 올해 경축식에서는 경기도 독립운동가의 숭고한 삶과 정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추진한 ‘독립운동가 80인’ 선정 사업의 마지막 인물로 정현숙 지사와 두 딸 오희영, 오희옥 지사를 창작뮤지컬 형태로 공개했다. 김 지사는 경축사를 통해 “지난 몇 년, 역사가 거꾸로 흐르는 듯한 순간들이 있었지만, 광복 80년 경기도는 우리 역사의 뿌리를 굳건히 세우고 독립의 정신을 온전히 되살리는 여정을 시작했다”며 “그 여정의 이정표 중 하나가 바로 안중근 의사가 남기신 ‘독립’과 ‘장탄일성 선조일본’ 두 유묵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일본에 있는 유묵을 확보하기 위해 광복회 경기도지부와 힘을 모아왔다. 그 결과 ‘장탄일성 선조일본’을 국내로 들여왔고, ‘독립’ 또한 조국의 품으로 귀환시킬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마땅히 지녀야 할 위대한 정신의 귀환을 맞이한다는 심정으로 유묵의 완전한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안중근 의사 고향 해주와 가장 가까운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설립하겠다. 확보한 유묵을 ‘안중근 평화센터’에 전시해 뜨거운 피로 써 내려간 ‘독립의 영혼’을 모든 국민과 함께 기리고, ‘동양평화론’을 비롯한 안중근 의사의 뜻과 정신도 올곧게 이어가겠다”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또 ‘국민주권 정부의 제1동반자’로서 경기도를 소개하며 ▲중복 규제로 고통받아 온 경기북부의 발전을 이룬다 ▲민생과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마중물’이 된다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 정책을 안착하고 확장하겠다 등 3개 분야에서 준비된 비전과 축적한 역량을 아낌없이 발휘하겠다는 뜻도 발표했다. 경기북부 개발과 관련해 “국민주권 정부는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주었다.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이라는 정부의 원칙에 발맞추어 지역주민의 요구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반환공여지 개발을 준비하겠다”며 “경기북부 개발은 단순한 지역개발을 넘어서는 일이다. 수도권 불균형을 해소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민생경제와 관련해서 “미국발 관세 압력에 대한 ‘수출 방파제 가동’, 일자리와 미래 먹거리를 위한 약속인 ‘100조 투자유치’, 대한민국의 경제 대전환을 선도할 ‘기후경제’를 언급하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경기도가 그 여정의 맨 앞에 서겠다”라고 약속했다. 세 번째 혁신 정책으로 ‘기회소득’, ‘더(The) 경기패스’, ‘주 4.5일제 시범사업’, ‘360도 돌봄’, ‘간병 SOS 프로젝트’ 등을 제시하면서 “경기도는 도민 한 분 한 분의 삶이 나아지는 변화를 만들었다. 1,420만 경기도민 모두의 손을 잡고 광복 100년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경축식 행사에는 독립유공자 유족, 지역 사회 구성원 등 약 1,000명이 참석했으며,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중국에서 거주 중인 독립유공자 후손 7명도 초청해 함께했다. 경축식에서는 정현숙·오희영·오희옥 독립운동가의 삶을 다룬 창작뮤지컬이 공개돼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독립운동가 80인’ 중 마지막으로 공개된 정현숙, 오희영, 오희옥 지사는 나라를 되찾기 위해 3대가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명문가 모녀다. 한편 경기도는 삼일절 첫 번째 인물로 조소앙 선생을 공개하는 등 경기도 출신 각계각층의 독립 영웅 80명을 선정해 그들의 숭고한 삶과 정신을 웹툰, 재연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널리 알렸다.
  • 日 ‘슬램덩크 성지’서 대만 관광객 사망…끊이지 않는 ‘인증샷’ 사고

    日 ‘슬램덩크 성지’서 대만 관광객 사망…끊이지 않는 ‘인증샷’ 사고

    사진 한 장이 또다시 목숨을 앗아갔다. 13일 신경보 보도에 따르면, 일본 사가현의 ‘슬램덩크’ 에 나온 철도 건널목에서 55세 대만 여성 관광객이 열차에 치여 숨졌다. 이 여성은 철로 위에서 약 20초간 머물다 시속 80㎞로 달려오던 열차에 부딪혔다. 친구와 함께 이른 아침 인파를 피해 찾았지만, 경고선 안쪽으로 들어가 카메라 각도를 조정하느라 시간이 지체됐다. 이 사고로 약 10대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1000여 명의 승객이 피해를 입었다. 문제의 건널목은 경고음과 점멸등은 있지만 완전 차단식 차단기가 없는 구조로, JR큐슈 측은 “지방 농촌 지역에 흔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성지순례 관광객이 급증한 상황에서도 안전시설 보강은 없었다. 일본 특유의 ‘저소음 운행’ 문화도 외국인의 위험 인지를 어렵게 만든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사고로 올해 일본에서 ‘인증샷’ 관련 열차 사고로 숨진 중화권 관광객은 네 명이 됐다. 지난 1월 9일 효고현 철도 건널목에서는 23세와 24세 중국인 여성 2명이 열차에 치여 사망했으며, 당시에도 시야가 제한되고 안전 설비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월 말에는 홋카이도 오타루에서 61세 홍콩 관광객이 철길에서 바다 사진을 찍다 변을 당했다. 과도한 인증샷 경쟁은 다른 사고도 불렀다. 지난 4월 도쿄와 후지산 고속도로에서 두 명의 중국 여성이 사고로 정체된 차량 사이에 누워 사진을 찍어 SNS에 올려 비난받았다. 애완견과 함께 촬영하거나 술을 마시는 등 무모한 행동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안내문만으로는 무모한 행동을 막기 어렵다”며 스마트 차단기, AI 경보 시스템, 예약제 등 강제적 안전장치 도입을 촉구했다.
  • 日 ‘슬램덩크 성지’서 대만 관광객 사망…끊이지 않는 ‘인증샷’ 사고

    日 ‘슬램덩크 성지’서 대만 관광객 사망…끊이지 않는 ‘인증샷’ 사고

    사진 한 장이 또다시 목숨을 앗아갔다. 13일 신경보 보도에 따르면, 일본 사가현의 ‘슬램덩크’ 에 나온 철도 건널목에서 55세 대만 여성 관광객이 열차에 치여 숨졌다. 이 여성은 철로 위에서 약 20초간 머물다 시속 80㎞로 달려오던 열차에 부딪혔다. 친구와 함께 이른 아침 인파를 피해 찾았지만, 경고선 안쪽으로 들어가 카메라 각도를 조정하느라 시간이 지체됐다. 이 사고로 약 10대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1000여 명의 승객이 피해를 입었다. 문제의 건널목은 경고음과 점멸등은 있지만 완전 차단식 차단기가 없는 구조로, JR큐슈 측은 “지방 농촌 지역에 흔한 형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성지순례 관광객이 급증한 상황에서도 안전시설 보강은 없었다. 일본 특유의 ‘저소음 운행’ 문화도 외국인의 위험 인지를 어렵게 만든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번 사고로 올해 일본에서 ‘인증샷’ 관련 열차 사고로 숨진 중화권 관광객은 네 명이 됐다. 지난 1월 9일 효고현 철도 건널목에서는 23세와 24세 중국인 여성 2명이 열차에 치여 사망했으며, 당시에도 시야가 제한되고 안전 설비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월 말에는 홋카이도 오타루에서 61세 홍콩 관광객이 철길에서 바다 사진을 찍다 변을 당했다. 과도한 인증샷 경쟁은 다른 사고도 불렀다. 지난 4월 도쿄와 후지산 고속도로에서 두 명의 중국 여성이 사고로 정체된 차량 사이에 누워 사진을 찍어 SNS에 올려 비난받았다. 애완견과 함께 촬영하거나 술을 마시는 등 무모한 행동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안내문만으로는 무모한 행동을 막기 어렵다”며 스마트 차단기, AI 경보 시스템, 예약제 등 강제적 안전장치 도입을 촉구했다.
  • 日이시바 총리,야스쿠니 신사에 참배 없이 공물료 봉납

    日이시바 총리,야스쿠니 신사에 참배 없이 공물료 봉납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종전 80주년인 15일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오전 도쿄도 지요다구 야스쿠니 신사에 사비로 공물료를 봉납했다. 이시바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지는 않았다. 일본은 2013년 12월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현직 총리 자격으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을 마지막으로 내각 대신 총리가 참배 없이 공물을 봉납하는 관행을 이어오고 있다. 앞서 차기 총리설이 나오는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은 이날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이시바 내각에서 현직 각료의 참배는 고이즈미 농림상이 처음으로, 고이즈미 농림상은 환경상 재임 시기인 2020년과 2021년 종전기념일에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여자 아베’로 불리며 또다른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전보장상도 이날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야스쿠니 신사는 A급 전범 14명을 비롯해 B급·C급 전범이 합사된 곳이다.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에서 벌어진 내전과 일제가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숨진 246만 6000여명의 영령을 추모하고 있다. 일본 총리나 정부 고위 인사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들로부터 과거사에 대한 반대 없이 침략 전쟁을 미화한다는 행위로 여겨지며 반발을 불러일으킨다.
  • 고이즈미 신지로 日농림수산상, 야스쿠니신사 참배

    고이즈미 신지로 日농림수산상, 야스쿠니신사 참배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장관)이 15일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패전일)에 도쿄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NHK,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고이즈미 장관은 이날 오전 8시쯤 도쿄 지요다구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고이즈미 장관은 환경상을 맡았던 2020년과 2021년 종전기념일에도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올해엔 관련 질문에 “적절히 판단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 이시바 시게루 내각 출범 이후 현직 각료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것으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의 이번 야스쿠니신사 참배로 일본 패전일 현직 각료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2020년 이후 6년 연속 이어졌다. 야스쿠니신사는 A급 전범 14명을 비롯해 B급·C급 전범이 합사된 곳이다.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에서 벌어진 내전과 일제가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숨진 246만 6000여명의 영령을 추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총리나 정부 고위 인사들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과거사에 대한 반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으며,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의 반발을 불러일으킨다.
  • 푸틴, 노벨상 군침 “평화맨” 트럼프에 ‘미끼’ 던졌다…핵군축 거론

    푸틴, 노벨상 군침 “평화맨” 트럼프에 ‘미끼’ 던졌다…핵군축 거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피스메이커’를 자처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미끼를 던졌다. 푸틴 대통령은 미·러 정상회담 하루 전인 14일(현지시간) 크렘린궁에서 고위 관료들과 회의를 열고 “미국과 접촉하는 다음 단계에서는 전략적공격무기통제에 관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라는 취지로 말했다. 러시아 매체들은 러시아와 미국이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하는 합의를 이룰 경우 양국 간 핵군축 조약인 신(新)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미국과 러시아는 냉전 이후 핵무기 경쟁 억제를 위해 전략무기감축조약(START Ⅰ·1991년)과 2010년 ‘뉴스타트’를 체결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미국 제재에 맞서 참여 중단을 선언하면서, 뉴스타트는 사실상 가동이 중단됐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인 2019년 러시아의 중거리 미사일 개발·배치를 문제 삼아 중거리핵전력조약(INF)에서 탈퇴했다. INF는 냉전 후반인 1987년 미국과 소련이 군비 경쟁을 완화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러시아는 2018년 10월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순항미사일(SSC-8.이스칸데르-K)을 개발해 실전 배치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조약 미준수로 보고 탈퇴로 대응했다. 결국 뉴스타트 재연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 2월 종료돼 양국 간 핵무기 경쟁을 제한할 수 있는 어떤 협정도 남지 않게 된다. 그 사이 러시아와 중국이 빠르게 핵무장을 강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구 평화와 핵무기의 파괴력, 군비 경쟁의 소모성을 지적하며 핵군축 대화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지난 2월에는 우크라이나 종전 이후 첫 과제로 핵군축 회담을 거론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도 자신의 구상에 동조하고 있다고 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직후에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진행한 화상 연설에서 첫 임기 때 푸틴 대통령과 핵군축 문제를 논의했다면서 “푸틴은 핵무기를 대폭 줄이는 아이디어에 대해 매우 좋아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 3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 통화 이후 크렘린궁은 두 정상이 핵비확산 문제에 대한 협력 구축을 위하여 공동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분수령이 될 세기의 ‘알래스카 회담’을 하루 앞두고 푸틴 대통령이 핵군축을 거론한 것은, 핵군축에 대한 그간의 트럼프 대통령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핵군축 및 비핵화를 통한 평화를 강조하며 노벨평화상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맛 저격’ 전략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합의 시점을 다음 단계로 제한해, 핵군축은 우크라이나 종전 조건과의 교환 대상이며 이번 회담 결과에 따라 합의 여부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미국이 다음 단계에서 전략적 공격 무기 통제 분야에서 합의를 이룬다면 러시아와 유럽,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장기적인 평화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미국 정부 고위 관료들은 정상회담에 앞서 푸틴 대통령 유인책으로 ▲미국령 알래스카 천연자원에 대한 접근권 ▲러시아 점령 우크라이나 영토 내 희토류 광물자원 접근권 ▲러시아 항공 부문 특정 제재 해제 등 일종의 경제적 인센티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 [씨줄날줄] 매관매직

    [씨줄날줄] 매관매직

    매관매직(賣官賣職). 관직을 사고파는 부패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에서든 국가를 병들게 했다. 중국 명·청 말기에도 관직 매매가 몰락의 전조였지만, 우리 역사에서는 조선 후기의 기억이 유독 쓰라리다. 세도가문이 권력을 독점하고 돈으로 관직을 거래하면서 나라 기강이 무너졌다. 관직을 산 자들은 부임과 동시에 백성을 수탈해 본전과 이자를 챙겼고 이는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나아가 동학농민혁명으로 이어졌다. 매관매직은 조선 멸망을 재촉한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였다. 이 부패 구조 속에서 여성들도 권력의 한 축을 차지했다. 중종·명종 때 외척 윤원형의 부인 정난정은 남편과 함께 인사를 매매하며 재물을 축적했다. 조선 말 명성황후(민비)도 외척과 측근을 요직에 앉히고 관직 임명을 대가로 뇌물을 챙겼다는 비판을 받았다. 왕권을 등에 업은 전형적인 부정부패였다. 최근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매관매직’ 의혹은 이런 뼈아픈 역사적 기억을 소환한다. 서희건설 회장에게 고가의 목걸이를 받고 그의 사위를 고위 공직에 앉힌 정황, 사업가로부터 받은 명품 가방과 초고가 시계 의혹까지 더해지며 국민을 경악하게 했다. 대통령의 권세를 발판 삼아 특혜를 누리는 모습은 조선 말기 국운을 기울게 한 궁중 외척과 권력 여성들의 부패를 떠올리게 한다. 감시와 견제가 사라진 권력은 결국 스스로를 파괴한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다. 이런 권력 사유화를 막기 위해 2014년 대통령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인척, 고위 참모를 감찰하는 특별감찰관 제도가 도입됐다. 그러나 초대 감찰관 사퇴 이후 9년째 공석이다. 김건희 여사 의혹처럼 민감한 사안 앞에서 제도가 작동하지 않은 이유다. 이재명 대통령은 복원을 약속했다. 그 약속이 지켜져야만 권력 주변 부패를 막는 최소한의 울타리가 마련된다. 역사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한 나라가 어떤 운명을 맞는지 이미 증명했다. 반복의 고리를 끊는 것은 우리 몫이다. 오일만 논설위원
  • 안중근 유묵, 광복 80주년 맞춰 귀환

    안중근 유묵, 광복 80주년 맞춰 귀환

    “큰 소리로 길게 탄식하며 일본(의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 1910년 3월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사형을 앞두고 옥중에서 쓴 유묵 ‘장탄일성 선조일본’(長歎一聲 先吊日本)이 광복 80주년에 맞춰 귀환했다. 경기도와 경기도광복회지부는 20년 전 민간 탐사팀이 일본에서 최초 발견한 안 의사의 유묵 2점 가운데 1점을 일본 측 소장자의 반환 의사에 따라 최근 한국으로 들여왔다고 14일 밝혔다. 유묵 2점은 ‘장탄일성 선조일본’과 ‘독립’(獨立)이다. 이 중 이번에 귀환한 ‘장탄일성 선조일본’은 안 의사가 중국 뤼순 감옥과 재판부를 관장하던 일본 관동도독부의 고위 관료에게 건넨 작품으로, 이후 그 후손이 보관해 왔다. 앞서 국내에선 한 번도 선보인 적이 없는 이 유묵에는 죽음을 앞두고도 흔들림 없었던 안 의사의 기개와 역사관, 세계관이 담겼다. 폭 41.5㎝ 길이 135.5㎝ 명주 천에 쓰인 유묵은 기존에 공개된 다른 유묵에 견주면 항일정신을 숨김없이 드러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또 하관에 ‘1910년 3월 동양지사 대한국인 안중근 뤼순옥중 서’라는 문구를 남겼는데, 안 의사가 자신을 ‘동양지사’라고 칭한 유묵이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귀환을 추진 중인 또 다른 유묵 ‘독립’은 안 의사가 뤼순 감옥 일본인 교도관에게 건넨 것으로 “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죽는다”는 굳센 신념을 두 글자로 응축한 대표작이다. 현재 교도관 후손으로부터 위탁받은 일본 교토 류코쿠대학이 보관 중이며 국내 전시가 몇 차례 진행된 바 있다. 안 의사는 1910년 2월 14일 사형 선고를 받은 뒤 같은 해 3월 26일 순국 전까지 200여편의 유묵을 남겼다고 알려졌다. 이 중 국내에서 확인된 건 60여점으로 그중 31점이 보물로 지정됐다. 경기도는 “이번 유묵 두 점은 항일정신이 직접 투영된 작품으로서 국보급으로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며 “‘독립’ 유묵의 귀환도 반드시 이뤄 내겠다”고 말했다.
  • [세종로의 아침] 한미 정상회담의 또 다른 과제

    [세종로의 아침] 한미 정상회담의 또 다른 과제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5일 취임 82일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한다. 집권 2기 들어 더 거침없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청구서’를 들이밀지 우려가 먼저 나온다. 관세 협상 후속 조치와 안보 분야에서 주한미군 주둔을 둘러싼 동맹의 현대화 등 첨예한 의제들이 상견례의 무게를 키우고 있다. 두 정상이 마주 앉아 그나마 미소를 띠며 흥미롭게 대화할 만한 공통적인 관심사도 떠올려 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속마음, 북한과 다시 대화하는 문제를 두고는 다른 어떤 주제보다 활발한 탐색전이 이뤄지지 않을까. 중동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각국과의 관세 협상 등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사에서 북한은 우선순위가 한참 밀려 있을 것이란 관측이 이어진 가운데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꾸준히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언급해 왔다. 노벨평화상 수상을 꿈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과의 협상은 남아 있는 중요한 과업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한 성향이 당장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판문점에서 ‘깜짝’ 북미 회동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자주 그려진다. 이 대통령이야말로 누구보다 북한과의 소통을 고대하는 모습이다. 얼어붙은 남북을 화해·협력 관계로 되돌리겠단 목표를 두고 속도감 있게 긴장 완화 조치에 나서고 있다. 취임 직후 대북 전단 살포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고 전방 지역의 확성기는 모두 창고로 옮겼다. 20년 전 노무현 정부에서 북한과의 평화 분위기를 주도했던 이종석·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국가정보원장과 통일부 장관으로 다시 전면에 나섰다. 그러나 정작 남북의 현실은 오히려 역사를 뒤로 돌린 듯 멀기만 하다. 북한은 ‘적대적 두 국가론’에 따라 철저하게 우리를 외면하고 정부의 완화 조치들을 평가절하한다. 1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우리의 대화 의지를 ‘허망한 개꿈’이라고까지 일축했다. 당장은 북한이 북미·남북 대화로 눈을 돌릴 이유가 없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와 끈끈한 유대를 형성하며 몸집을 불렸고 파병 대가로 무기, 첨단기술 등 군사 분야뿐 아니라 농업, 경제, 관광 등 전방위적으로 촘촘하게 밀착의 과실을 챙기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미가 강력하게 대화를 원하는 호기를 김 위원장이 별 소득 없이 흘려버릴 리도 만무하다. 무엇을 얻어낼 수 있는지 철저한 계산 끝에 최대한 몸집을 불려 대화에 나설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잇따른다. 더 어려운 점은 ‘북한이 언제 또는 어떻게 하면 다시 대화에 나설까’ 하는 궁금증의 답을 더이상 남북 관계에서만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물론 러시아,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이해관계가 켜켜이 얽혀 있는 복잡함과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미러 정상 간 ‘알래스카 담판’처럼 북한과의 대화에서 정작 우리의 목소리가 빠질 수 있다는 걱정이 불확실성까지 더한다. 첫 한미 정상회담에서 당장 날아들 청구서의 압박에 대응하는 것만큼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무엇보다 북한은 물론 누구와든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는 데 우리를 비켜 가선 안 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해 보인다. 이 대통령이 회담에서 북한과 소통하고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을 강조할 가능성도 높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2월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재개 노력을 지지할 것”이라며 올해 안에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공식 추천하는 상황이 있기를 바란다는 기대를 내놓았다. 정부는 북한의 무시와 비아냥에도 일희일비하지 않고 인내심을 갖고 대화의 문을 두드리겠다는 입장이다. 그 문이 열릴 것이란 바람을 얼마나 견고하게 가져갈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한미 정상 테이블이 될 수 있다. 허백윤 정치부 기자(차장급)
  • 4강 앞 만리장성에 무릎 꿇은 남자농구

    ‘굶주린 늑대’ 한국 농구 국가대표팀이 아시아 무대 8강에서 멈춰 섰다. ‘해외파’ 이현중(나가사키 벨카), 여준석(시애틀)이 불러일으킨 황금세대 열풍도 높고 단단한 만리장성을 넘지 못했다. 안준호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14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열린 2025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안컵 중국과의 8강전에서 71-79로 졌다. 2년 전 항저우아시안게임 8강에서도 중국에 무릎을 꿇었던 한국은 설욕전에 실패했다. 한국은 리바운드 싸움에서 37-50으로 밀렸다. 높이 열세, 수비 부담의 영향으로 3점 성공률도 12.5%(24개 중 3개)에 그쳤다. 에이스 이현중이 상대 집중 견제에 시달리면서 22점 7리바운드, 하윤기(수원 kt)도 골밑에서 15점 9리바운드로 분전했다. 이현중은 경기를 마치고 유니폼으로 눈물을 닦아 내면서 다음을 기약했다. 주전 가드 이정현(고양 소노)이 무릎을 다쳐 조기 귀국한 가운데 선발 명단에 포함된 ‘수비의 달인’ 정성우(대구 한국가스공사·8점)가 깜짝 활약했다. 다만 간판 슈터 유기상(창원 LG)이 2점에 그친 게 아쉬웠다. 유기상은 조별리그 3경기에서 59%의 3점 성공률(27개 중 16개)을 기록했는데 토너먼트에선 중국의 압박 수비에 외곽슛 2개를 모두 놓쳤다. 무릎 부상을 안고 뛴 여준석(8점 6리바운드)도 3점 4개를 모두 넣지 못했다. 중국은 에이스인 210㎝ 센터 후진추가 23점 1리바운드, 왕준지가 21점으로 맹활약했다. 221㎝의 유자하오(7점 7리바운드)는 공격 리바운드만 6개를 건져냈다. 한국은 1쿼터 하윤기와 이현중의 내외곽 공격으로 팽팽하게 맞섰다. 하지만 높이 열세에 3쿼터 중반 18점 차로 밀렸다. 이현중의 활약으로 4쿼터에 6점 차까지 추격했지만 하윤기가 5반칙으로 퇴장당하며 위기를 맞았다. 이어 한국은 후진추를 막지 못해 승기를 놓쳤다.
  • DL, 부도 위기 여천NCC에 1500억 긴급 수혈

    DL그룹이 부도 위기에 놓인 여천NCC에 15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다만 공동 대주주인 한화그룹과 갈등이 이어지면서 여천NCC의 위기는 계속되고 있다. DL은 자회사인 DL케미칼이 이날 이사회를 열고 여천NCC에 1500억원을 대여하기로 의결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자금은 오는 20일 지급되며, 회사 운영 경비로 쓰일 예정이다. 이번 지원 금액은 여천NCC를 공동 경영하는 한화솔루션의 지원 규모와 같다. 앞서 한화솔루션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1500억원의 자금 지원을 승인했다. 그러나 DL이 에틸렌 단가 협상 등을 놓고 한화와 갈등을 겪으면서 여천NCC의 유동성 위기가 악화했다. 이에 DL케미칼은 지난 11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의하면서 여천NCC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했다. 당시 DL그룹은 “여천NCC의 대주주로서 책임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자금 지원으로 여천NCC는 급한 불은 껐지만 향후 경영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회사 정상화 방안을 두고 대주주인 한화와 DL의 갈등이 격화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인한 실적 부진도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
  • “중국에 빼돌릴까 봐… 美, 수출 AI 칩에 ‘위치추적 장치’ 심었다”

    미국이 중국으로 밀반출될 위험이 있는 첨단 반도체 칩에 ‘위치추적 장치’를 심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 상무부와 연방수사국(FBI)까지 관여돼 있다는 주장도 나왔으나 이들 기관은 논평을 거부했다. 로이터통신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수출 인공지능(AI) 칩이 중국으로 빼돌려질 것을 우려해 특정 화물에 위치추적 장치를 부착했다고 소식통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 당국은 이 장치를 이용해 수출 통제를 위반해 이익을 얻는 인물이나 기업에 대한 사례를 수집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AI 칩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은 2022년부터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중국에 수출하는 첨단 반도체의 성능 등을 통제했다. 이들 추적 장치는 보통 배송되는 서버 포장 내부 또는 서버 자체에 부착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AI 서버 공급망에 관여하는 관계자 5명도 델과 슈퍼마이크로 등이 제조한 서버 화물에 추적 장치가 설치된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해당 서버에는 엔비디아와 AMD가 제조한 칩이 탑재돼 있었다. 다만 AI 칩 재판매상들이 이미 추적 장치의 존재를 인지하고, 화물을 중국 등으로 옮겨 싣는 과정에서 장치를 제거한 경우도 있었다. 한 관계자는 재판매상들이 델과 슈퍼마이크로 서버에서 추적 장치를 제거하는 사진과 영상을 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일부 대형 추적 장치의 크기는 스마트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소식통들은 추적 장치 설치에 주로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관여하고 있으며, 국토안보부 소속인 국토안보수사국(HSI)과 법무부 산하 FBI도 참여한다고 밝혔다. HSI와 FBI는 이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고 상무부도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는 이 사안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엔비디아는 “우리 제품에는 비밀 추적 장치를 설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혔다. 앞서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해외로 수출되는 AI 칩에 위치 추적 기능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최근 중국은 엔비디아의 AI 칩 H20에서 자료를 비밀리에 빼돌릴 수 있는 ‘백도어’ 등 보안 문제가 발견됐다며 압박했으나 엔비디아는 이를 강력 부인했다.
  • 中베이징 ‘로봇 올림픽’… 육상·댄스 등 역량 뽐내

    14일 세계 최대 로봇 생산국인 중국 베이징에서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올림픽’이 개막했다. 21개 종목에 333개 팀이 참가해 로봇의 역량을 과시했다. 오는 17일까지 4일간 베이징 국립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육상, 축구, 농구, 탁구, 사격, 격투, 댄스, 체조, 자재 취급 및 약물 분류 등 26개 종목에서 기량을 뽐낸다. 본경기가 시작되는 15일부터 5개 대륙 16개국에서 온 500대 이상의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지난 11~13일에는 축구 예선이 열렸다. 중국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유니트리(위수커지)의 왕싱싱 최고경영자(CEO)는 인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로봇 올림픽’에 대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라면서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을 로봇이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왕 CEO는 “반년 전만 해도 로봇이 격투를 하려면 1~2년은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인공지능(AI) 기술 덕분에 몇 달 만에 완성됐다”고 강조했다. 유니트리는 2020년 로봇 개를 처음 출시한 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데 왕 CEO는 그 이유에 대해 AI 기술의 발전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28년까지 중국 로봇 시장 규모가 연평균 23% 성장해 1080억 달러(약 149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들어 중국은 자국의 로봇 기술력을 과시하기 위해 로봇 마라톤, 로봇 격투대회 등을 잇따라 열고 있으며 이번 로봇 올림픽은 그동안 축적된 역량을 한꺼번에 보여 주는 장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27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