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현 美대사 위장전입
홍석현 주미대사의 재산이 730억원으로 행정부 고위공직자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 대사는 지난 2월 재산공개 당시 274억 7200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던 동생 홍석조 광주고검장을 2위로 밀어냈다. 이들 두 형제의 신고 재산은 1000억원을 넘었다. 하지만, 홍 대사는 과거 청와대 비서실장 보좌관 시절 위장전입을 통해 경기 이천시 소재 부동산 등을 구입한 것을 시인, 향후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펴낸 관보에 따르면 홍 대사의 재산등록액수는 지난 2월 15일 현재 기준으로 730억 4250만원에 달했다. 홍 대사의 재산내용을 보면 본인 463억 3963만원, 배우자 82억 4251만원, 장남 47억 3492만원, 차남 72억 6375만원, 장녀 64억 6166만원이었다. 그러나 모친의 재산내역은 고지를 거부했다.
홍 대사의 재산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은 항목은 주식 등 유가증권으로 본인과 배우자, 자녀 소유분을 모두 합치면 전체 재산의 84%나 됐다. 본인과 가족명의로 삼성전자, 보광훼밀리마트, 삼성코닝정밀유리, 삼성SDI 등 삼성관련 주식이 많았다. 또 중앙일보, 중앙엠앰비, 스포츠서울21, 조인스닷컴,YB파트너스 등의 주식도 대거 보유하고 있었다.
또 경기도 이천시 율면 월포리와 양주시 옥정동, 남양주시 조안면, 충남 태안군 등 수도권 일대와 주요 개발지역 등에 부동산을 집중적으로 보유했다.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 소유였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리 별장도 포함됐다. 본인명의로 국민은행 등에 40억원이 예금돼 있는 등 현금 보유도 상당했다. 조각품과 사진, 그림 등 예술품도 많았다. 홍 대사는 워싱턴 현지에서 특파원과 간담회를 갖고 일부 부동산에 대한 위장전입 사례를 깨끗이 인정한 뒤 “국민께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편 청와대 김만수 대변인은 홍 대사의 위장전입 등 재산 논란과 관련,“이미 검증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파악했었고 주미대사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결격 사유나 부적격 요인으로 보지 않았다.”고 밝혔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