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X파일’ 실명 빼고 보도
‘MBC, 지레 움츠러들었나?’ MBC가 그동안 논란을 빚었던 97년 대선 당시 안기부(현 국가정보원)의 불법 도청 테이프 관련 보도를 드디어 21일 내보냈다. 법원으로부터 조건부 허가까지 받았다. 그러나 상당히 맥빠지는 수위에 그쳤다. 홍석현(중앙일보 회장) 주미대사 등이 낸 방송금지가처분 신청에 대해 사실상 기각 판단을 내린 재판부조차 “재판부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엄격하게 보도를 스스로 제한한 것 같다.”면서 “법원의 결정을 충실히 지킨 것으로 판단되며 요구 사항도 충족된 것으로 본다.”고 칭찬할 정도였다. 법원은 뉴스데스크 방송 직전 “테이프 자체의 불법성과 개인의 통신 자유의 비밀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테이프의 원음을 직접 방송하는 행위, 대화 내용의 인용, 실명을 거론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했다.하지만 “나머지 사항은 방송국이 결정할 문제”라고 언급,‘국민의 알 권리’ 등을 위해 방송 자체는 금지할 수 없다는 뜻을 비췄다. 해석에 따라서는 테이프에 담긴 것으로 알려진, 대선 후보들에 대한 자금 지원 등 중요 내용은 내보낼 수 있는 상황. MBC는 오히려 가처분신청 내용을 앞세워 크게 보도하기 시작, 통칭 ‘이상호 X파일’로 알려진 테이프의 개괄적인 내용, 테이프 입수 경위와 보도를 미룬 배경, 불법 도청에 대한 국정원 입장, 홍 대사 반응 등 5개 기사를 약 7분 동안 간략하게 내보내는 데 그쳤다. 같은 시간 KBS가 녹취 내용을 더 상세히 보도했고, 타 언론이 보도한 내용보다 외려 못한 수준이어서 ‘왜 이렇게 보도할 수밖에 없었는지’ 강조하려는 기색이 역력했다. 엄기영 앵커도 법원이 ‘사실상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고 말해 MBC의 위축된 모습을 반영했다. 한편, MBC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이의신청을 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안동환 홍지민기자 sunstor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