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깨끗한 손으로 사정의 칼 휘둘러야/조준현 성신여대 교수
검찰은 도청사건을 지시하고 이를 방조하였다는 혐의로 임동원, 신건 두 전임국정원장을 최근 구속했다. 도청테이프 녹음내용을 토대로 홍석현 전 주미대사를 소환 조사한 후 귀가시켰다. 이 과정에서 조사받았던 이수일 전 국정원 차장이 조사를 받은 후 그만 괴로움을 이기지 못해 자살했다.
자살을 통하여 도청사건이 정치적, 지역적으로 그리고 한국의 정치문화에 얼마나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인지를 알게 된다. 특히 전임 국정원장 두명의 구속은 당시 김대중정부가 안기부를 국정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다시는 정치사찰을 하지 않고 정도를 걷는 정보기관으로 탈바꿈시키겠다고 다짐한 바도 있어 김대중 정부의 도덕성은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검찰의 구속은 왜 김대중 대통령 재직시의 국정원의 도청만 문제삼느냐는 등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검찰의 이번 조치 자체가 부당하다거나 애초부터 수사착수가 잘못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국가기관이 조직적으로 도청하여 사생활을 침해하면서 정보를 수집한 후 그 정보를 이용하여 언론, 법조계, 재계, 야당, 시민단체 인사들을 통제하게 되면 과연 그러한 정부가 민주적 정당성을 가진 정부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제 막바지에 이른 것 같은 검찰의 도청수사는 도청수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는 국가기관의 범죄를 척결할 수 없고, 테이프에 녹음된 범죄사실을 도저히 수사할 수 없는 것 아니냐 하는 점에서 일응 이해가 되기도 한다. 어차피 정치적 성격의 사건을 떠맡은 검찰로서는 사건을 어떤 형태로든 마무리할 수밖에 없다. 마무리 방향으로서는 첫째 공소시효가 남은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도청 지시를 한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둘째 공소시효가 지났다고 해도 도청은 조직적으로 계속해서 자행된 범죄행위이며 각 정부마다 따로 떼어서 볼 수 없는 면도 있다. 따라서 김영삼 정부 때 행해진 도청도 수사해야 한다. 셋째 국가조직에 있어서 정보기관은 일반행정기관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곳인데 불법도청 여부를 떠나 직무상 비밀이 누설되고 직원들이 책임을 전가하며, 대통령의 아들에게 도청결과가 보고되고 하는 일이 다시 생겨서는 안 되며 이점에서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 수사기법상 부하직원에게 불기소의 이익을 주면서 자백을 유도하는 것은 나라를 위하여 소탐대실의 과오를 범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넷째 도청의 결과 1997년 대선자금제공이나 일부 공직자에 대한 금품제공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해도 도청테이프 내용을 수사단서로 삼아 수사에 착수해서는 안 된다. 국가는 이미 이러한 범죄에 관해 수사하거나 처벌할 수 있는 도덕적 정당성을 상실했다고 본다. 국가가 압도적 전제자가 되려 했기 때문에 또 다른 국가기관인 검찰이 이를 이용하여 압제자의 역할을 승계해서는 안 된다.
법감정상 고위공직자가 구속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상황에서 테이프 내용에 나온 사실을 확인하여 처벌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국가기관이 불법도청을 하여 얻은 정보를 가지고 수사에 착수한다면 수사에 있어서 적법절차라든지 인권보장이라는 이념을 무시하는 것이다. 정부는 목적의 정당성과 함께 수단의 상당성 내지 도덕성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도청 테이프의 내용을 알면서 언론기관이나 시민들은 내용에 충격과 허탈을 이기지 못할 수 있지만, 정부는 깨끗한 손으로 사정의 칼을 휘둘러야 한다. 진실 앞에서 이를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을 넘어서는 정부의 도덕성 때문에 우리는 그렇게 가야 한다.
조준현 성신여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