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호담 디자인의 경인년을 기대하며/이경순 누브티스 사장
새해는 호랑이의 해, 경인년이다.
시인 최남선은 ‘조선은 호담국(虎談國)’이라며 설화에서부터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 이야기에 주목했다. 중국의 대문호 루쉰은 한국인을 만나면 호랑이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했을 정도이다.
위기에 처할 때마다 우리 민족에게 나타나는 특유의 끈질김과 용맹함은 우리의 정신 밑바닥에 호랑이 정신이 존재하기 때문이리라. 새해 해맞이를 위해 떠나곤 하는 정동진·호미곶·울산간절곶·왜목마을·해남땅끝·금산보리암·청산일출봉·추암촛대 바위에서 우리가 호담국임을 반추해 보기를 기대한다.
한국은 문화적으로 호랑이 무늬의 종주국을 자처할 수 있다. 중국의 용, 인도의 코끼리, 로마의 늑대처럼 말이다. 중국 하면 용을 떠올리는 것은 그들 황제의 복식 등에 용 문양이 빠지지 않아서이고, 인도 하면 코끼리가 생각나는 것은 그곳에서 창시된 종교인 불교의 상징으로 코끼리를 신성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로마의 늑대는 로마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로물루스와 레무스에게 젖을 줘 키운 동물이다. 우리 설화와 민화에서 빠지지 않는 존재가 호랑이다.
새해야말로 온고지신으로 우리 전래 민화를 연구해 고유의 패턴을 접목시킨 ‘호랑이 브랜드’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시도할 기회인 셈이다.
최근 방한했던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도 호랑이와 까치에서 모티브를 얻어 디자인 한 넥타이와 스카프가 크리스마스 선물로 기획된 바 있다. 한덕수 주미대사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소나무에 앉아 있는 까치와 그 아래에 호랑이가 함께 있는 그림은 소통의 하나됨을 주제로 담고 있다.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 힘 없는 자와 힘 있는 자가 어우러지는 게 진정한 ‘정치 1번지’라고 믿기 때문이다.
패션에서도 호랑이는 독특한 디자인 소재로 사랑받고 있다. 서양에서 호랑이의 레오파드 문양은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 이후부터 패션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장미와 호피, 골드체인과 호피, 레이스와 호피 등으로 응용되더니 이제는 휴대전화, 귀걸이 등에까지 호피 패션으로 세상을 가득 채우고 있다. 호피 패션은 에마 왓슨, 니콜 리치, 린지 로한, 케이트 모스, 패리스 힐튼 등 겨울이면 패셔니스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겨울이 지나도 여름형 호피 패션이 지속될 것이라고 패션 에디터들은 예견한다.
최근 원더걸스의 ‘소핫(so hot)’과 잘 어울리는 섹시 호피 패션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호피의 브라운 색상이 핑크와 보라, 연두색으로 밝고 경쾌하게 다가온다.
2010년 2월12일 호피 문양의 장갑과 스카프, 조끼, 부츠, 카디건, 모자, 귀마개, 두건, 휴대전화를 들고 뉴욕으로 떠나는 행사가 열린다. 경인년, 우리의 호담국 패션을 고유의 브랜드로 자리잡게 하기 위해 우리 패션디자이너들과 문화체육관광부가 기획한 행사이다. 행사는 사흘 동안 뉴욕 문화의 상징 퍼블릭 라이브러리에서 열린다. 현지에서 화보를 찍고 뉴욕 패션의 거물을 초청한다.
2010 뉴욕 패션위크에 한국 패션문화 쇼룸을 여는 이유는 해외에서 한국 디자이너들이 데뷔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제일기획의 세계적인 패션 네트워크도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만의 고유한 호담 디자인을 일상의 예술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경인년을 기대해본다.
이경순 누브티스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