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졸혼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우승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뇌경색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봉준호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 조정석
    2025-08-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8
  • ‘살림남2’ 백일섭 “졸혼 후 달라진 점? 부지런해졌다”

    ‘살림남2’ 백일섭 “졸혼 후 달라진 점? 부지런해졌다”

    배우 백일섭이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에 출연해 싱글라이프를 선보였다. 지난 22일 방송된 KBS2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에서는 백일섭이 졸혼 후의 일상을 공개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최근 아내와 졸혼한 것으로 알려진 백일섭은 달라진 점에 대해 “부지런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에는 집에 있으면 (집안일을 내가 하지 않아도) ‘마누라가 하겠지’ 했는데 지금은 내가 안 하면 할 사람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금 불편하긴 해도 또 습관이 되니까 괜찮더라”고 덧붙였다. 그는 식사를 마친 뒤 반찬 정리와 설거지는 물론, 청소까지 깨끗하게 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KBS2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 방송 캡처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 ‘살림남2’ 백일섭 “내 나이 72, 졸혼한 진짜 이유는...”

    ‘살림남2’ 백일섭 “내 나이 72, 졸혼한 진짜 이유는...”

    배우 백일섭(72)이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에 출연해 결혼 40여년 만에 졸혼 선언을 한 진짜 이유를 공개한다. 22일 첫 방송되는 KBS2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에서는 백일섭, 정원관, 일라이의 서로 다른 살림살이 모습이 공개된다. 본 촬영에 앞서 제작진과 인터뷰 시간을 가진 백일섭은 “사모님 가끔 보세요?”라는 물음에 “만난 지 오래 됐어. 1년 넘었지”라며 담담하게 이야기를 이어갔다. 그는 졸혼이라는 쉽지 않은 결정을 내리게 된 이유와 함께 결정 후 아들과 나눈 대화까지 모두 밝혔다는 후문이다. 그런가 하면 공개된 스틸 속에는 백일섭과 이목구비는 물론 분위기까지 꼭 닮은 아들과 손자들의 모습이 담겨 있어 눈길을 사로잡는다. 그런 가운데 손자를 바라보는 백일섭의 애정 어린 눈빛은 ‘손자 바보’의 면모를 물씬 느끼게 한다. 한편, KBS2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는 이날 오후 8시 55분에 방송된다. 사진제공=KBS2 ‘살림하는 남자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 살림남2 백일섭-정원관-일라이, 출연진 재정비 “신혼부터 졸혼까지”

    살림남2 백일섭-정원관-일라이, 출연진 재정비 “신혼부터 졸혼까지”

    ‘살림남2’에 백일섭 정원관 일라이가 출연한다. KBS2TV 예능 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에 백일섭,정원관, 일라이가 캐스팅을 확정하며, 졸혼-만혼-조혼의 색다른 볼거리를 선사한다. 오는 22일 오후 첫 방송될 개성 넘치는 스타 연예인들의 리얼 살림기 KBS 2TV ‘살림하는 남자들’(이하 살림남)가 시즌2의 베일을 벗었다. ‘살림남 시즌2’를 이끌 3인의 살림남에는 최근 졸혼을 선언하며 화제를 모은 백일섭, 50대에 딸 바보 된 만혼의 정원관, 시즌1을 통해 닭살 돋는 조혼신혼을 과시한 일라이가 낙점되며 50대에서 20대에 이르는 색깔 있는 살림남의 모습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푸근한 미소가 매력적인 꽃할배 백일섭은 결혼생활 40여년 만에 ‘졸혼’이라는 과감한 선택을 해 화제의 중심에 선 바 있다. 이에 혼밥과 혼술을 즐기는 ‘혼밥 백선생’의 면모를 보이며 자유로운 70대의 싱글 라이프를 낱낱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80~90년대 영원한 오빠였던 소방차의 핵심 멤버 정원관은 지난 2013년 17살 어린 신부와 결혼, 누이 뻘 장모님과 53세에 14개월인 손자뻘 딸아이를 둔 늦깎이 아빠로 젊은 아빠가 되기 위한 고군분투 살림기를 리얼하게 보여줄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26세에 이미 한 아이의 아빠가 된 ‘유키스’의 멤버 일라이는 유일하게 ‘살림남 시즌1’에서 ‘시즌2’로 합류한 멤버로 타인의 시선을 고려하지 않는 용감한 애정행각과 타의 추종을 불허나는 사랑꾼의 면모로 센세이셔널한 화제를 모은바 있다. 이에 졸혼 할배 백일섭과 만혼 중년 정원관, 파릇파릇 조혼 사랑꾼 일라이가 펼칠 모습이 ‘살림남 시즌2’의 기대감을 수직 상승시키고 있다. 백일섭 정원관 일라이가 출연하는 ‘살림남2’는 수요일 오후 8시 55분으로 편성을 옮겨 22일 첫 방송될 예정이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 10년 뒤 동거가 대세…고소득층일수록 ‘졸혼’

    10년 뒤에는 결혼보다 동거(사실혼)가 보편적으로 성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소득일수록 법적 혼인 관계를 유지한 채 부부가 각자 삶을 살아가는 ‘졸혼’(卒婚)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곽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는 미혼 남녀 1000명을 조사한 ‘혼인 이혼 인식 보고서’를 25일 발표했다. ‘10년 후 가장 보편적으로 성행할 혼인의 모습’으로 전체 응답자의 46.9%가 동거를 골랐다. 결혼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는 응답은 33.9%였다. ‘졸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더니 남성은 38.5%, 여성은 40.0%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특히 고소득 집단일수록 졸혼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연소득 2000만원 미만의 경우 졸혼에 대한 평가가 남성 49.4점(100점 만점), 여성 50.5점인 반면 연소득 5000만원 이상에서는 각각 58.5점, 69점으로 나타났다. ‘이혼 결정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긍정적인 입장이 여성은 49.4%, 남성은 35.1%로 나타났다. ‘혹시 모를 이혼에 대비해 무엇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남성은 ‘준비하려는 게 없다’(25.5%)는 답이 1위였다. 여성은 ‘비자금 조성’(25.9%)이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11월 10일부터 21일까지 전국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 남성 502명, 여성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 중산층 10명 중 6명 “먹고살기 힘들다“

    우리나라 중산층 10명 중 6명은 자신을 빈곤층으로 생각한다는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연구소는 29일 ‘2017 대한민국 중산층 보고서’에서 중산층 가운데 자신을 빈곤층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이 56.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예컨대 4인 가구는 194만∼580만원의 월 소득을 올리는 계층이 중산층에 속한다.이 기준으로 지난해 우리나라의 중산층은 67.4%다. 조사에 참여한 중산층 중에서 자신이 실제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는 43.3%에 그쳤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실제 중산층에 속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이상적인 기준이 너무 높기 때문이라고 이 연구소는 분석했다. 이들이 답변한 중산층의 이상적인 소득은 월평균 511만원이지만 실제 이들의 월평균 소득은 366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실제 보유한 순자산은 평균 1억8천만원 수준이지만 이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순자산 규모는 6억4천만원에 달했다. 응답자의 37.5%는 은퇴 후 예상 월 소득이 100만원 미만으로,부부 기준 2인 가구 빈곤층 기준(137만원)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노후 예상 월 소득이 빈곤층과 중산층 경계인 100만∼150만원이 될 것으로 응답한 사람도 21.4%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계층별 평균 수면시간을 보면 고소득층 6.5시간, 중산층 6.4시간, 빈곤층 6.2시간 등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길었다. 문화생활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말한 응답자 비율은 빈곤층이 42.7%로 중산층(20.5%)의 배를 넘었고 최근 1년간 여행을 다녀오지 못한 응답자는 빈곤층이 56.5%로 중산층(18.0%)이나 고소득층(8.0%)보다 훨씬 높았다. 4년제 이상 대졸자의 비율은 중산층과 고소득층이 각각 61.5%,77.2%로 높았고 빈곤층은 33.6%에 그쳤다.  중산층의 결혼에 대한 인식을 보면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5.5%가 선택사항이라고 봤고 18%는 필요 없다고 응답했다.  결혼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중산층은 26.5%에 불과했다.결혼관계를 유지한 채 따로 살면서 각자의 사생활을 존중해주는 ‘졸혼’에 대해서도 중산층 응답자의 49%가 찬성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백일섭 졸혼 고백, 70대 싱글라이프 “이혼 아닌 결혼 졸업한 것”

    백일섭 졸혼 고백, 70대 싱글라이프 “이혼 아닌 결혼 졸업한 것”

    배우 백일섭이 졸혼을 고백했다. 3일 방송된 TV조선 ‘인생다큐 마이웨이’에서는 백일섭이 출연해 ‘졸혼’한 사연을 털어놓았다. 백일섭은 “36세에 결혼한 후 1남 1녀를 낳았고 40여년 결혼생활을 이어왔다. 그리고 ‘졸혼’했다”고 밝혔다. 백일섭은 “졸혼은 이혼이 아닌 결혼을 졸업했다는 뜻”이라며 일흔이 넘어 시작한 싱글라이프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어 백일섭은 “아들한테 미안하고, 아들 내외에게 심경을 충분히 설명해주기가 어렵다. 아들내외도 나이가 들면 나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는 말로 아들에 대한 애틋함과 미안한 마음을 고백해 뭉클함을 안겼다. 사진=TV조선 연예팀 seoulen@seoul.co.kr
  • [혼자살고 갈라서는 대한민국] 중년 이혼은 매년 쑥쑥

    [혼자살고 갈라서는 대한민국] 중년 이혼은 매년 쑥쑥

    작년 3만여쌍… 신혼 이혼은 감소 전체 건수의 절반 ‘무자녀 이혼’ 결혼을 졸업한다는 ‘졸혼’, 혼인관계를 풀어준다는 ‘해혼’ 등 이혼을 뜻하는 신조어가 속속 생긴다. 이혼을 어색해하던 시대는 지났다는 뜻이다. 최근엔 결혼한 지 20년이 넘어 이별을 선택하는 ‘중년 이혼’이 꾸준히 늘고 있다. 28일 법원행정처가 펴낸 ‘2016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이혼한 부부 10만 9153쌍 중 결혼 기간이 20년이 넘는 부부는 3만 2626쌍(29.9%)이었다. 성격 차 등으로 결혼한 지 5년도 안 돼 이별을 하는 초기 이혼이 대다수일 것이라는 지금까지의 인식은 더이상 사실이 아니다. 중년 이혼 숫자는 2012년 초기 이혼을 처음으로 앞지른 뒤 그 차이가 점차 벌어지고 있다. 중년 이혼은 2011년 2만 8299쌍에서 ▲2012년 3만 234쌍 ▲2013년 3만 2433쌍 ▲2014년 3만 3140쌍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신혼 이혼은 2011년 3만 689쌍에서 지난해 2만 4666쌍으로 줄었다. 미성년 자녀가 한 명도 없는 상태에서 갈라서는 ‘무자녀 이혼’은 지난해 5만 5600쌍으로 2014년에 이어 전체 이혼의 절반을 넘었다. 자녀가 1명인 부부는 25.6%(2만 7798쌍)였고 자녀 2명은 19.6%(2만 1232쌍), 3명 이상은 3.5%(3767쌍) 등이었다. 가장 많은 이혼 사유는 ‘성격 차이’였다. 5만 406쌍(46.2%)의 부부가 성격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헤어졌다. 이 밖에 ▲경제 문제(11.1%) ▲가족 간 불화(7.3%) ▲배우자 부정(7.3%) ▲정신적·육체적 학대(3.8%) 등이 뒤를 이었다. 이혼 사유란에 ‘기타’라고 기입한 부부도 2만 5777쌍이었다. 전체 이혼 건수 자체는 2014년의 11만 5510건보다 줄어 2012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바뀌었다. 이는 2011년 이후 혼인 건수 자체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 [카드뉴스]부부의 새로운 형태 ‘졸혼’

    [카드뉴스]부부의 새로운 형태 ‘졸혼’

    어린이날(5일), 어버이날(8일), 성년의 날(16일)까지 5월은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날이 몰려 있어 흔히 ‘가정의 달’이라고 하는데요.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5월에는 가족과 관련된 또 다른 기념일도 있습니다. 바로 21일 부부의 날입니다. 가정의 달인 5월에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의미에서 이날을 부부의 날로 지정한 것인데요, 하지만 미혼·비혼 가구의 증가와 황혼이혼의 보편화 등 기존의 가족 문화가 바뀌면서 부부의 날에 대한 의미도 다소 흔들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졸혼’이라는 새로운 개념도 생겨났는데요. 졸혼, 과연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로 그칠까요?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