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조서 증거능력 배제 의미
검찰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은 대법원 판결은 형사소송법상의 엄격한 증거주의와 공판중심주의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획기적인 판례다.
이번 판례의 확립으로 수사기관에서 자백과 조서 중심의 수사와 형사재판 관행은 완전히 바뀔 것으로 보인다.
피고인이 검사와 동등한 입장에서 재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번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뇌물죄로 기소된 A씨의 ‘가상 사건’으로 설명하면 이렇다.A씨는 법정에서 혐의를 완강히 부인했다. 그러나 검찰의 피의자 신문조서에는 자백한 것으로 돼있고, 손도장도 찍혀있다.A씨는 “손도장은 내 것이 맞지만, 난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자백하지 않았는데 검사가 적었고, 날인을 할 때 정신이 없어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대법원은 손도장이 찍혀 있으면 피고인이 법정에서 부인해도 검사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해 왔다. 따라서 검찰은 피고인이나 변호인보다 우월적인 위치에서 재판에 참여해왔다. 이에 변호사들은 “조서작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법이나 부당한 수사행위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비판해왔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손도장을 찍었더라도 조서 내용이 수사과정에서 진술한 것과 다르다고 주장하면, 증거로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고 판시했다.
이번 판결로 A씨 사건과 같은 경우 조서의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아 무죄 판결을 받을 수 있다. 검찰이 유죄를 입증하려면 검찰 조서외에 객관적 증거를 제출해야 한다.
이번 판결로 자백 위주의 검찰 수사방식과 재판 방식은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검사는 자백에, 판사는 서면심리에 치중하던 관행도 변화할 수밖에 없다. 확실한 물증과 피의자·증인의 법정진술이 중시되는 공판중심주의가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사당국도 초동 수사부터 증거확보에 주력하고, 이를 위해 과학적 수사기법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
이번 판결에 대해 검찰은 피고인이 조서가 사실대로 작성되지 않았다고 주장해도, 가혹행위 등 검찰 조사과정에서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지지 않으면 법원이 증거로 채택해야 한다고 반박했다.‘다만 신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작성된 조서면 재판 때 진술에도 불구, 증거로 할 수 있다.’는 형사소송법 312조의 단서 규정을 근거로 내세웠다. 대검 조은석 공판송무과장은 “법정에서 검찰 조서를 부인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현재 무죄율이 0.65%에 불과해 큰 틀에선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법원행정처 송무국은 “피의자 진술조서가 진실이라는 것을 검찰이 입증해야 한다.”고 해석했다. 학계도 검찰의 주장이 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대 조국 교수는 “손도장이란 형식을 1단계, 그 내용을 2단계, 가혹행위가 없었다는 단서조항을 3단계로 할 때 이 모든 단계가 인정돼야 증거로 채택된다.”면서 “2단계가 인정되지 않았는데 3단계만 성립됐다고 증거로 삼아야한다는 주장은 논리상 맞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대 신동운 교수는 “일단 법적 서류로 자격이 없다고 판단했는데 그 내용이 믿을만한지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했다. 그는 “대법원은 역사에 남을 획기적 판결을 내렸다.”면서 “조서 중심의 수사·재판방식이 완전히 탈바꿈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은주 박경호기자 eju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