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우리말의 이름, 우리나라의 이름/윤희원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
우리가 쓰는 글자의 이름은 한글이다. 한글이란 이름이 붙기 전에는, 훈민정음이었다. 그러면 우리가 쓰는 말의 이름은 무엇일까? ‘한국어’일까?
지금이야 그렇다 치고,‘한국’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나 대한제국 시절이 아닌 시대의 우리말의 이름은 무엇일까? 우리가 지금 쓰는 말을 역사를 거슬러 따라가 보면 삼국시대 이전까지 연결이 된다고 한다. 그러면, 우리말의 조상을 왕조별로 나누어서 고조선어, 고구려어, 통일신라어, 고려어, 조선어로 부르면 될까? 학창 시절에 우리말의 역사를 배우면서 들어 보았던 ‘한어(韓語)’가 우리말의 원래 이름일까?
왕조별로 우리말의 이름이 달라진다면, 아주 먼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는 우리말의 역사를 다루는 학문 분야는 뭐라고 불러야 할까?
일반적으로 우리말의 문법을 ‘국어문법’이라 하고, 우리말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를 ‘국어학’이라 한다. 우리말의 역사를 ‘국어사’라고 하며,‘고대 국어’,‘중세국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국어란 한 국가의 언어를 일컫는 보통 명사이다.‘미국의 국어는 영어이다.’와 같이 어느 나라의 언어에나 두루 쓰인다.
즉, 우리가 조상대대로 쓰고 있는 ‘우리말’의 이름은 아니다. 우리의 문학을 ‘국문학’이라 하고, 우리의 역사를 ‘국사’라고 하는 것도 같은 방식의 명명이다. 일부의 주장(그리고 우려)처럼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국어로 채택하면 ‘국어사’는 영어의 역사가 될진대, 우리 고유의 언어를 일컫기 위해서는 뭐라고 해야 할까? 이런 걱정 때문인지 최근에는 ‘국어국문학과’를 ‘한국어한국문학과’로 개명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학과에서 ‘한국’이 아니었던 시기의 언어와 문학도 넓고 깊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의 우리말은 그렇다 치고, 대한민국, 즉 한국이 아닌 북한 지역에서 지금 쓰고 있는 말은 그럼 어떻게 부를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니까 조선어일까? (그렇다면 조선 시대의 말은?) 또, 중국이나 CIS지역의 우리 동포들이 쓰는, 이른바 고려말은 대체로 북한 지역의 방언에 사용자의 출신 지역의 방언과 TV에서 배운 우리 표준어까지 섞여 있는데, 도대체 그 말의 이름은 무엇일까?
한편,1910년 8월29일부터 1948년 8월14일 사이에는 우리말의 이름이 무엇이었을까? 당시에 나온 사전이나 교과서 등은 ‘조선어’라고 했지만, 조선이란 나라는 일찍이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꾼 후였다.
여기서 잠깐! 1910년 8월29일부터 1948년 8월15일 사이에는 우리나라의 이름이 무엇이었을까? 36년이라는 계산이 어디서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막연히 일제시대라고 배웠고 지금은 강점기라고 부르는 시기, 정확하게는 일본에 강제 점령당했던 34년 340일 동안, 그리고 3년의 신탁 통치 기간에 우리나라의 국호는 무엇이었을까? 일본이 마음대로 병합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니, 대한민국 정부 수립 때까지는 대한제국이었을까? (위조 시비가 있더라도 일단은 고종 황제가 합의를 했다고 하니, 설마 일본이었을까?) 임시 정부가 수립된 시점부터는 대한민국이었을까? 만약 그렇다면,1948년 7월17일,1948년 8월15일을 제헌절, 정부수립 기념일이라고 하는 것은 옳은 일일까? 임시 정부로부터 생각한다면, 지금 대통령은 몇 대 대통령이라야 할까? 도대체 올해는 우리 정부가 수립된 지 몇 년째일까?
국기를 달고 기념식을 하는 8·15. 광복절은 1945년 8월15일을 기념하는 것일까, 아니면 1948년 8월15일을 기념하는 것일까? 일본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는 점은 물론 광복이요, 독립이겠으되, 신탁 통치를 받던 시절은 어떻게 되나?
남들이 좋다는 대학에서,30년 가까이 국록을 먹으면서, 아직까지도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있는 것이 몹시 부끄러운 8월이다.
윤희원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