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제니
    2025-10-20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02
  • [부고]

    ●김희문(에코제니스 대표)씨 모친상 21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2)3410-6906●이영직(예비역 육군 준장·전 로템 부사장)씨 별세 경식(기아자동차 수출기획팀 대리)씨 부친상 이승원(나우아이비캐피탈 대표)오석훈(새마을금고연합회 파트장)씨 빙부상 20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2일 오전 8시 (02)3010-2295●윤만철(전 한국전력공사 부처장)성철(전 대생개발 총무이사)혜자(일본 선교사)씨 부친상 이양배(행복한교회 목사)류영기(일본 선교사)씨 빙부상 김복희(반석영광교회 원로목사)씨 시부상 윤상은(반석영광교회 목사)상현(한국경제TV)씨 조부상 이종립(삼성전자 책임연구원)씨 외조부상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9시 (02)3010-2231●함용민(자영업)씨 모친상 현필주(자영업)정태호(연예정보신문 대표)조경호(회사원)씨 빙모상 21일 경희의료원, 발인 23일 오후 1시 (02)958-9546●박대열(전 고려증권 영업부장)흥렬(한텍 전무)성열(덕원건설 상무)수열(울산방송 광고사업국장)중열(동남유화 차장)씨 부친상 21일 울산 우리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52)269-0119●이연순(영남대 섬유패션학부 교수)씨 상부 한세현(수의사)윤경(영남대 강사)민경(위덕대 교수)씨 부친상 배장호(영남대의료원 의사)씨 빙부상 21일 영남대의료원, 발인 23일 오전 6시(053)620-4241●지민석(그린그래스호텔 전무)씨 별세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6시 (02)3010-2232●백승도(승민비젼 대표)승혁(사업)승영(전 아시아나 싱가포르지점장)승모(관세청 고객지원센터 팀장)씨 모친상 윤정세(엠피알비젼 대표)씨 빙모상 21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3일 오전 8시 (02)3010-2292●김영진(전 프로야구 LG 트윈스 매니저)씨 상배 21일 대전 을지대학병원, 발인 24일 오전 (042)611-3979●이두진(씨앤피아쿠아 대리)희승(보건복지부 콜센터)연승(성남시 공무원)씨 부친상 정승원(넥스트리인터넷 대표)류춘록(타임페이스 이사)씨 빙부상 21일 강북삼성병원, 발인 23일 오전 5시30분 (02)2001-1096
  • 팝스타 어셔 ‘사이언톨로지교’ 신도 되나?

    팝스타 어셔 ‘사이언톨로지교’ 신도 되나?

    팝스타 어셔(Usher)가 신흥종교인 사이언톨로지(Scientology)교 입문 훈련을 받고 있다는 소문에 현지 팬들이 술렁이고 있다. 미국 연예매체 ‘왈레그’(waleg.com)와 ‘2snaps.tv’ 등은 지난 20일 “세계적인 섹시스타 어셔가 사이언톨로지교에 입문할 것 같다.”고 보도했다. 사이언톨로지교는 배우 톰 크루즈가 심취해 있는 것으로 유명한 신흥종교. 매체들은 어셔 측근의 말을 익명으로 인용해 “어셔는 그것(사이언톨로지교)에 매우 흥미를 느끼고 있으며 현재 정식 입문을 위한 훈련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 “그는 사이언톨로지 뉴욕 지부에 거액을 후원했으며 자신의 아이도 사이언톨로지 신도로 키울 것을 신중히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소문에 알려지자 팬들 사이에는 “별상관 없다.”는 의견과 “걱정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네티즌들은 기사 댓글을 통해 “어차피 인터넷에 사이언톨로지에 대한 정보가 넘친다.”며 “새로운 문화에 관심을 갖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반대 의견의 네티즌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촬영 거부까지 당했던 톰 크루즈의 예를 들면서 “위험한 관심”이라며 우려했다. 한편 어셔측은 ‘사이언톨로지 입문설’에 대해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있다. 사이언톨로지교는 1952년 SF소설가 론 허버드(Ron Hubbard)가 창시한 종교로 과학기술을 통한 정신치료, 영혼윤회등을 신봉한다. 세계적으로 800만명의 신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명인들 중에는 톰 크루즈, 존 트라볼타, 제니퍼 로페즈 등이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해외언론 “日지문날인, 외국인 기피증 부추겨”

    해외언론 “日지문날인, 외국인 기피증 부추겨”

    일본을 방문하는 16살 이상 외국인에 대한 지문날인과 얼굴 사진 촬영을 의무화하는 출입국관리법이 20일(오늘) 시행되면서 이를 비판하는 해외언론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BBC와 데일리텔레그래프 그리고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 등 유력일간지들은 이 소식을 발빠르게 전하며 곳곳에서 커지는 우려의 목소리를 실었다. BBC는 “미국이후로 이런식으로 외국인들을 확인하는 두번째 나라가 일본이 되었다.”며 “그러나 오직 외국인 방문자들만 대상이 되는 미국과 달리 일본은 자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매번 확인받아야 한다.”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일본 정부는 테러와 범죄 예방을 위해 시행한다고 밝히고 있다.”며 “그러나 지금까지 일본에서 외국인에 의해 일어난 테러는 없었고 도쿄 지하철 독가스테러는 일본인이 일으킨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같은 입국관리제도는 외국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외국인기피증’(xenophobia)을 부추기는 셈”이라며 “동시에 일본내에서 외국인들이 테러리스트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고 한 인권위원회의 관계자의 말을 빌려 전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과 워싱턴포스트도 달라진 입국심사제도를 상세히 다루며 이를 바라보는 외국인들의 시각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일본에 거주하는 호주 학생 레베카 밀러(Rebecca Miller)는 “일본정부가 나의 사적인 정보를 가진다는 것이 싫다.”며 “그들이 나의 생체정보를 가질 권리가 없다고 본다.”고 꼬집었다. 또 항의시위에 참석한 브리튼 제니퍼 우카와(Briton Jennifer Ukawa·69)는 “내 남편과 내 두 딸은 일본국적을 가지고 도쿄에서 일하고 있다.”며 “지난 69년도부터 일본에서 살아왔지만 매번 입국심사를 받아야 한다니 모욕적인 느낌”이라고 심정을 밝혔다. 한편 일본의 외국인 입국자수는 지난해 약 810만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한국인이 237만명으로 가장 많다. 사진=BBC뉴스 인터넷판 캡쳐 서울신문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호주 선수들 “무리뉴를 대표팀 감독으로”

    호주 선수들 “무리뉴를 대표팀 감독으로”

    호주 축구 대표팀 선수들이 대표팀 감독으로 주제 무리뉴 전 첼시 감독을 원하고 있다는 현지 언론보도가 나왔다. 호주대표팀은 거의 확정된 것으로 보였던 딕 아드보카트(제니트) 감독과의 계약이 무산되면서 시간이 촉박해진 상황. 현재 호주축구협회(FFA)는 2010 남아공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앞두고 잇달아 유명 감독들과 접촉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호주 최대 통신사 AAP는 20일 “대표선수들이 무리뉴 전 첼시 감독을 원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골키퍼 마크 슈워처(34·미들즈브러)는 “만약 경제적인 문제만 없다면 곧바로 무리뉴 감독을 잡아야 할 것”이라는 희망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 “무리뉴 감독이야말로 이시대 최고의 감독 중 하나” 라면서 “다만 그의 연봉 때문에 바로 다음 감독으로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 월드컵 본선에서 일본을 상대로 골을 기록했던 공격수 존 알로이시(31·알라베스)도 팀 동료의 이같은 발언에 동의하면서 자국 축구협회의 결단을 촉구했다. 알로이시는 “대표팀 감독선임은 매우 급한 문제”라며 “우리에게는 겨우 두달여 시간이 남아있을 뿐이다. 어떤 외국인 감독이 오든 리그 경기를 볼 수 있는 기회는 고작 1주 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와 같은 다급한 상황에서 팀을 구성할 수 있으려면 무리뉴 감독과 같은 ‘카리스마형’ 감독이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선수들의 희망과 달리 호주대표팀의 롭 반 코치는 “우리는 팀에 걸맞는 감독을 원하며 그 사람이 바로 클린스만 감독”이라며 위르겐 클린스만 전 독일 감독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호주축구협회는 감독 물색에 최선을 다하면서 동시에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딕 아드보카트 감독에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AMA 2007 열려… 에이브릴 라빈등 참가

    AMA 2007 열려… 에이브릴 라빈등 참가

    ‘2007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American Music Awards : AMA) 시상식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로스앤젤리스 노키아 극장에서 열렸다.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는 1974년부터 시작되어 올해 35회를 맞는 대중음악 시상식으로 철저히 상업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팬들의 직접투표를 통해 수상자가 결정되는 만큼 미국 대중음악의 트랜드를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시상식이다. 올해 시상식에서도 ‘남자 팝/록’ 부문의 저스틴 팀버레이크(Justin Timberlake)를 비롯해 제니퍼 로페즈(Jennifer Lopez, 라틴), 밴드 린킨파크(Linkin Park, 얼터너티브 록) 등 열성팬이 많은 뮤지션들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인터넷 투표를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평가하는 ‘인터내셔널’ 부문에서는 얼마전 내한 공연을 가진 비욘세(Beyonce)가 이름을 올렸고, 밴드 ‘도트리’(Daughtry)는 신인상과 ‘어덜트 컨템포러리’ 부문, ‘올해의 팝/록 음반’ 부문 등에 이름을 올려 3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한편 에이브릴 라빈(Avril Lavigne)은 수상자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지만 뛰어난 패션감각과 열정적인 공연으로 주목을 받았다. 다음은 2007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수상자 명단. POP/ROCK Favorite Male Artist : Justin Timberlake Favorite Female Artist : Fergie Favorite Band, Duo or Group : Nickelback Favorite Album : Daughtry / Daughtry COUNTRY Favorite Male Artist : Tim McGraw Favorite Female Artist : Carrie Underwood Favorite Band, Duo or Group : Rascal Flatts Favorite Album : Carrie Underwood / Some Hearts SOUL/RHYTHM & BLUES Favorite Male Artist : Akon Favorite Female Artist : Rihanna Favorite Album : Justin Timberlake / FutureSex/LoveSounds RAP/HIP-HOP Favorite Band, Duo or Group : Bone Thugs-N-Harmony Favorite Male Artist : T.I. Favorite Album : T.I. / T.I. vs. T.I.P. ADULT CONTEMPORARY Favorite Artist : Daughtry LATIN MUSIC Favorite Artist : Jennifer Lopez ALTERNATIVE ROCK MUSIC Favorite Artist : Linkin Park CONTEMPORARY INSPIRATIONAL Favorite Artist : Casting Crowns SOUNDTRACKS Favorite Album : High Musical 2 FAVORITE BREAKTHROUGH ARTIST Daughtry INTERNATIONAL STAR OF THE YEAR Beyoncé T-MOBILE AWARD Carrie Underwood 사진=에이브릴 라빈 (hollyscoop.com) 서울신문 나우뉴스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높이 더 높이”… 초고층 주상복합 봇물

    “높이 더 높이”… 초고층 주상복합 봇물

    초고층 랜드마크 아파트 분양이 이어지고 있다. 초고층 아파트는 상업지구에 지어진다. 또 고급 마감재를 사용하고 입주자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는 편이다. 차별화된 외관, 내진(耐震) 및 안전 등에 대한 설계로 3.3㎡(1평)당 건축비가 일반 아파트보다 다소 많이 들어간다. 때문에 분양가 상한제가 본격 시행되면 일반 아파트보다 건축비가 많이 드는 초고층 아파트는 공급이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 뚝섬에는 51층 들어서 13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 내년 상반기까지 공급되는 30층 이상 초고층 아파트는 뚝섬 상업용지 등을 포함해 전국 16개 단지 1만 4349가구다. 대림산업은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서울숲 인근 뚝섬 상업지역 3구역 1만 8314㎡ 부지에 지상 51층 아파트 2개동(棟)과 35층 오피스 빌딩 1개 동을 짓는다. 일반 오피스 빌딩에는 업무시설 공연장 등 문화·판매시설이 들어선다. 아파트는 330㎡(100평형) 단일 평형이다.196가구를 선보인다. 대림산업측은 “세계적인 건축설계회사인 NBBJ사 등이 참여하고 고층 아파트로는 처음 건물 외관을 유선형으로 디자인했다.”면서 “내부 공간 배치와 마감 수준도 고객이 원하는 맞춤 아파트로 지을 것”이라고 소개했다.3.3㎡당 4000만원 선에서 분양가 승인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근 뚝섬 상업지역 1구역에서는 한화건설이 부지 1만 7491㎡(5291평)에 지하 7층∼지상 45층 아파트 230가구와 공연·전시장, 쇼핑시설, 스포츠시설 등을 짓는다. 아파트는 213∼376㎡(70∼114평형) 등으로 이뤄진다. 두산건설도 성수동에 지상 49층짜리 아파트 4개동을 선보인다. 총 567가구 중 일반분양은 200가구.198㎡(60평형) 이상 중대형으로 구성된다. 두산건설측은 “한강과 서울숲 모두 조망이 가능하고 성수대교가 인접해 있어 강남 접근성도 뛰어나다.”면서 “주변에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사업이 진행 중이고 왕십리 뉴타운 개발지와도 가까워 앞으로 가치가 더욱 오를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해운대엔 아시아 최고 지상 300m 건립 두산건설은 다음달 부산 해운대 우동 블루시티 지역에서 국내 최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인 두산 위브더제니스를 분양한다.70∼80층 3개동 1788가구로 구성된다. 지상 300여m로 주거용으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다고 두산건설측은 설명했다. 월드건설은 이달 중 울산시 북구 매곡동에 최고 36층짜리 아파트가 포함된 2686가구의 월드메르디앙 월드시티에 대한 일반분양 청약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지난 12일 1순위 청약 접수를 한 대전 중구 목동 포스코 더은 최고 30층짜리 아파트로 지어진다. 한편 충남 천안역 서부광장 인근에서는 최고 48층짜리가 나온다.RED홀딩스는 이달 중 천안시 와촌동 천안역 서부광장 인근에 복합단지 브이-프로젝트를 분양한다. 이 아파트는 최고 48층 3개동 규모로 124∼217㎡(37∼65평형) 총 628가구로 이뤄진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 [13일 TV 하이라이트]

    ●와신상담(EBS 오후 8시50분) 서시는 단장을 마친 후 아어를 뵈러 간다. 아어는 그제서야 범려가 구한 사람이 절세 미인이란 것을 알게 된다. 아어는 서시를 범려의 짝으로 맺어주려 하지만, 범려는 국난이 닥친 지금 그럴 마음의 여유가 없다. 구천은 범려, 문종을 만나 월나라를 부탁한다. 하지만 범려는 구천을 따라 나선다.   ●그 여자가 무서워(SBS 오후 7시20분) 영림이 나설 무렵, 백 회장이 불러서는 잠시 기다려 달라며 동시에 자신이 이 그룹의 회장이라고 말을 건네고, 영림은 당당하게 자신을 소개한다. 이어 그녀는 그를 따라 회장실로 간다. 그동안 백 회장은 은애에게 전화를 걸어 제니퍼에 대해 알고 있느냐며 정진이 초대해서 왔다는 말을 들려준다.   ●아현동 마님(MBC 오후 7시45분) 무작정 시향네 집 앞에서 기다리는 길라는 성종을 배웅하는 시향을 발견한다. 문득 시향은 길라가 타고 있는 차를 쳐다보지만 처음 보는 차라 이내 시선을 거둔다. 한편, 시향은 화려한 예물에 입을 다물지 못하는 시향모와 동생들을 보고 착잡하기만 하다. 쓰레기를 버리러 나온 제라는 길라와 마주친다.   ●아름다운 시절(KBS1 오전 7시50분) 7년 만에 집으로 돌아온 향숙과 딸 다정의 등장에 모두들 놀라고, 아버지의 임종을 보지 못한 향숙은 때늦은 눈물을 흘린다. 그러나 어머니 순애는 향숙에게 눈물을 흘릴 자격도 없다면서 당장 집에서 나가라고 호통을 친다. 한편, 재범은 가족들 몰래 서울 병원에 사표를 내고 춘천으로 내려온다.   ●클래식 오디세이(KBS2 밤 12시45분) 바이올린계의 큰 축을 이루었던 러시아 악파의 전설의 명 바이올리니스트 레오니트 코간. 그는 떠났지만 그의 매력적인 음색을 그대로 물려받은 제자 세르게이 크라브첸코가 그 찬란했던 기억을 전해준다. 크라브첸코는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에 입상하고 러시아를 대표하는 실력을 인정받은 음악가다.   ●급변하는 세계 전력시장(YTN 오전 11시30분)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실현되고 있는 현장 두바이. 이곳은 세계전력 선진국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전력산업을 미래산업으로 인식하고 고품질의 전력산업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과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선진국 사례도 함께 살펴본다.
  • 김동진의 제니트 러 정상 등극

    김동진(26·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이 러시아 프로축구리그 우승컵을 품에 안았다. 김동진은 11일 열린 프리미어리그 30라운드 최종전 새턴 라멘스코예와의 원정경기에서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전,90분 풀타임을 뛰며 팀의 1-0 승리를 거들었다. 제니트는 18승7무5패 승점 61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17승8무5패 승점 59)를 따돌리며 옛 소련 시절인 1984년 이후 23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지난해 독일월드컵 이후 한국 대표팀 사령탑이었던 딕 아드보카트(네덜란드) 감독을 따라 제니트로 이적한 김동진은 두 시즌 만에 우승컵을 안았고, 아드보카트는 부임 1년6개월 만에 팀 우승을 이끄는 지도력을 발휘했다.최병규기자 cbk91065@seoul.co.kr
  • 스토리온, 스타사업가 성공기

    케이블 채널 스토리온은 8일 오후 11시 스타가십 프로그램 ‘커버스토리’에서 사업가로 변신한 국내외 스타들의 사업성공 노하우를 공개한다. 홍진경, 정원관, 유열 등 국내 연예인들을 비롯해 제니퍼 로페즈,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등 해외스타도 망라할 예정.먼저 결혼 이후 김치 사업을 펼치고 있는 모델 홍진경을 만나본다. 손맛이 뛰어난 어머니의 김치 솜씨가 아깝다는 생각에 사업 아이템을 개발한 그녀는 지금 연간매출액 120억원을 거머쥐는 어엿한 사장님. 정원관 또한 그룹 ‘소방차’ 멤버보다 사업가라는 명칭이 더 어울릴 정도로 다이어트업 시장에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중이다. 이외에도 ‘투잡족’으로 알려진 할리우드 스타들의 사업가적 면모 등 평소 궁금했던 유명인들의 성공비법을 들어볼 수 있다.
  • ‘하늘빛 드레스’의 제니퍼 코넬리는 누구?

    ‘하늘빛 드레스’의 제니퍼 코넬리는 누구?

    아역배우 출신의 제니퍼 코넬리(37 Jennifer Connelly)가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서 열린 ‘2007 글래머 매거진 올해의 여성상 시상식’에 참석한 배우 제니퍼 코넬리는 하늘빛 드레스로 관객들의 눈을 사로 잡았다. 제니퍼는 10대의 어린나이에 ‘라비린스’( Labyrinthㆍ1986)와 ‘백마타고 휘파람불고’(Career Opportunitiesㆍ1991)등에 출연했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2000년 ‘레퀴엠’(Requiem for a Dream)에 에 출연하면서 부터 스타덤에 올랐다. 특히 2001년 영화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에 출연하면서 그녀는 오스카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는 남편이자 배우인 폴 베타니도 함께 참석했다. 사진=할리우드 스쿠프 /나우뉴스팀@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하나로텔레콤 매쿼리은행 품으로

    하나로텔레콤의 새 주인으로 호주 최대 은행인 매쿼리가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로텔레콤 관계자는 6일 “매쿼리가 지분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빠르면 이번 주 중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나로텔레콤은 최대 주주인 AIG-뉴브리지 컨소시엄의 지분(39.36%,9140만 6249주)을 매각하기 위해 지난 5월 골드만삭스를 전략적 자문사로 선정, 매각작업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매쿼리가 회사 경영보다는 다른 통신회사에 매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옴에 따라 기간통신산업에 대한 해외 사모펀드의 인수 및 합병(M&A) 논란이 다시 한번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매쿼리가 제시한 하나로텔레콤의 주당 인수가격은 AIG-뉴브리지 컨소시엄의 희망매각가격 1만 4000원선보다는 다소 낮은 1만 2000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로텔레콤이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등 흑자전환의 청신호를 켠 것이 매각작업에 주효했다. 하나로텔레콤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3분기(7∼9월) 46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분기 매출로는 사상 최대다. 이전까지 최대 매출은 2분기 4617억원이었다. 기록행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3분기 영업이익은 247억원, 순이익은 74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하나로텔레콤 제니스 리 부사장은 “한 개 이상의 국내 전략 투자자를 포함한 복수의 투자자와 관련 협상을 진행 중이며 조만간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 이회창 대선출마 선언 초읽기

    한나라당에서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출마를 둘러싸고 “대선을 코앞에 두고 적전분열이다.”“이 전 총재의 출마는 이명박 후보가 자초한 것이다.”등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이 50%를 넘고 한나라당의 집권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에서 이 전 총재가 출마를 저울질하는 것은 왜일까. 그의 명분은 좌파정권 종식이다. 이는 이명박 후보와 한나라당의 명분과도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이 전 총재는 이 후보의 대북관에 비판적이다. 특히 그는 한나라당과 이 후보의 신대북정책과 안보의식의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보수노선 중심의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전 총재는 지난달 25일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린 ‘대한민국 사수 국민대회’에서 “정치권에서는 대선에서의 표를 의식해 소위 ‘수구꼴통’으로 몰릴까봐 몸조심을 하고 있다.”며 “대한민국 수호세력은 모두 단결해 자유민주주의 정체성과 나라의 기반을 바로잡는 데 앞장서자.”고 강조한 바 있다. 측근인 이흥주 특보도 “이 후보의 가장 큰 문제는 대북정책”이라며 “이 전 총재는 이 후보와 당에 여러 차례 문제점을 지적했으나 시정되지 않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전 총재의 앞에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걸림돌도 만만치 않다. 우선 2002년 불법 대선자금은 그의 ‘아킬레스건’이다. 당장 한나라당 안에서도 문제 삼고 있다. 검찰은 2002년 대선자금 수사 당시 대선자금과 관련, 용처를 불문에 부쳤지만 이 전 총재의 등장으로 언제든지 메가톤급 변수로 등장할 수도 있다. 원칙과 대쪽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이 전 총재가 2002년 대선 패배 후 선언한 정계 은퇴를 번복해야 하는 점도 적지 않은 부담이다. 이 후보측에서는 “이 전 총재가 경선이 끝나길 기다리다 검증도 거치지 않고 본선에 무임승차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하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보수진영 분열에 대한 책임론이다. 이 전 총재가 출마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여권만 이롭게 하는 적전분열”이라는 당내 일부 시각처럼 보수진영의 분열 책임을 혼자 뒤집어써야 한다. 그의 출마가 보수 진영의 분열을 가져와 여권에 ‘어부지리’ 승리를 가져다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1997년 대선 당시 이인제 후보가 경선에 불복해 독자 출마한 것처럼 이 전 총재도 ‘제2의 이인제’가 될 수도 있다. 이 전 총재도 이 부분 때문에 고뇌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게 측근들의 전언이다. 이 전 총재의 측근인 이 특보는 4일 기자간담회를 가지고 “그 부분(분열 책임론)이 가장 어려운 점이다.”며 “고뇌의 중심권에 있는 과제니까 내가 여러 해석을 할 수 없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 [케이블·위성방송]

    ●CTS기독교TV 05:00 강준민목사의 성숙한 그리스도인 05:30 생명의 말씀 (금란교회(김홍도)) 06:00 명성의 시간 (김삼환) 07:00 생명의 말씀 (남포(박영선)) ●온스타일 06:30 리지 맥과이어 08:30 섹스 & 시티 4(재) 10:00 프렌즈 시즌 6(재) 11:00 스튜디오 60(재) 13:00 제니스디킨슨 모델링에이전시 2(재) ●MBC드라마넷 05:00 태왕사신기(재) 06:05 그래도 좋아(재) 07:10 아현동 마님(재) 09:00 이산(재) 11:40 무한도전 14:00 지피지기 16:20 황금어장 ●어린이TV 06:00 환타루 06:30 학교가 좋아요(재) 07:00 콩닥콩닥 콩콩(재) 07:40 쁘띠와 쫑이(재) 08:00 뽀롱뽀롱 뽀로로 2기(재) 08:30 포코요(재) ●시네마TV 05:00 내츄럴 에너미 07:00 멘 09:00 NG스페셜 해피타임 11:00 무한도전 13:00 무한도전 14:00 무한도전 15:00 세친구 16:00 세친구 ●EBS플러스1 09:30 EBS기본과 특별한(종합) 과학, 사회 11:1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물리Ⅰ, 화학Ⅰ 12:5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생물Ⅰ, 지구과학Ⅰ 14:3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수리영역-수학(나형)(가형) 16:1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언어영역(1)(2) 18:1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외국어영역(1)(2) 20:00 파이널 실전모의고사 수리영역 수학Ⅱ(1)(2) ●EBS플러스2 09:20 중학-사고와 논술3,4 10:50 일일드라마 깡순이(종합) 13:30 EBS 중학1학년 난제공략 7-나(2) 14:00 초등학교 4·6학년 영어(1)(2)(재) 15:00 초등학교 3·4·5·6학년 사회·과학(재) 19:00 동물대탐험 구리구리댕댕(1)(2)(3)(재) 20:20 천사랑 21:20 모여라 딩동댕 ●mbn 05:10 부동산현장(재) 05:40 김구라의 언중유골(재) 05:50 소중한 나눔 무한 행복(재) 06:20 체험! 지구촌 홈스테이 06:50 헐리우드 24시(재) ●Q채널 05:27 인간극장 (알프스 된장 아저씨 2) 07:32 출발! 웃기는 비디오 07:57 TV특종 놀라운 세상 11:02 컬러 오브 워 (히틀러) 16:06 미녀들의 수다
  • 다이아몬드가 가장 잘 어울리는 女스타는?

    다이아몬드가 가장 잘 어울리는 女스타는?

    다이아몬드의 여왕은 누구? 스타들의 시상식이나 파티에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가장 사랑받는 보석 다이아몬드. 최근 유명 다이아몬드 회사 ‘드비어스’(DeBeers)의 마케팅 자회사인 ‘DTC’가 ‘다이아몬드가 가장 잘 어울리는 스타 베스트 10’을 선정해 눈길을 끌고 있다. 영예의 1위에는 ‘다이아몬드의 여신’이라고도 불리는 안젤리나 졸리(32)가 뽑혔다. 안젤리나 졸리는 평소 강인한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보석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 스타 중 하나다. DTC는 “졸리의 상징인 도톰한 입술과 뚜렷한 얼굴 라인이 다른 스타들 보다 훨씬 다이아몬드를 돋보이게 해준다.”고 평가했다. 2위를 차지한 스타는 다이아몬드 애호가로도 알려진 데미 무어(44). 데미 무어는 레드카펫을 밟을때 마다 다이아몬드를 빼놓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다이아몬드 악세서리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다이아몬드를 적재적소에 코디하는 뛰어난 센스로 높은 순위에 올랐다. 3위에는 ‘천의 얼굴’을 가진 배우 니콜 키드먼(40). DTC는 “니콜키드먼의 하얀 피부와 지적인 이미지가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더욱 높힌다.” 며 “특히 지난 2004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착용한 불가리(Bvlgari)의 그린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매우 멋지게 소화해 냈다.”고 극찬했다. 이밖에 ‘브리짓 존스’ 르네 젤위거(38)와 유명 디자이너 프레드 레이톤(Fred Leighton)으로부터 “가장 심플하면서 아름답게 다이아몬드를 표현하는 스타”라는 평을 얻은 캐서린 제타 존스(38)가 각각 6위와 9위에 올랐다. 다음은 ‘다이아몬드가 가장 잘 어울리는 스타 베스트 10’ 명단 ▲1위 안젤리나 졸리(32) ▲2위 데미 무어(44) ▲3위 니콜 키드먼(40) ▲4위 기네스 펠트로(36) ▲5위 제니퍼 로페즈(38) ▲6위 르네 젤위거(38) ▲7위 샤를리즈 테론(33) ▲8위 할리 베리(40세) ▲9위 캐서린 제타 존스(38) ▲10위 샤론 스톤(50)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yakamoz’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yakamoz’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는 무엇일까? 최근 독일 베를린 대외관계연구소(Institut for foreign relations· ifa)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ABC’(The most beautiful ABC of the world)라는 조사를 통해 세계 60개국의 2500개 단어 중에서 창조성· 묘사성·문화성이 뛰어난 단어를 순위별로 선정했다. 가장 먼저 전문가들의 높은 점수를 얻어 1위를 차지한 단어는 터키의 ‘야카모즈’(yakamoz). 야카모즈는 ‘물속에 비치는 달빛’(the reflection of the moon in the water)이라는 뜻으로 심사위원들은 “한 단어에 여러가지의 단어가 함축되어 있다.” “터키 고유의 정신을 잘 표현했다.” 며 높은 점수를 주었다. 2위로는 중국어로 코고는 소리를 묘사한 ‘후루’(呼噜)라는 의성어가 뽑혔으며 반복해서 발음하면 코고는 소리와 매우 흡사하다는 평을 얻었다. 3위에는 아프리카 우간다(Uganda)의 바간다(Baganda)족이 쓰는 ‘보롱고토’(Volongoto·무질서한)라는 말이 뽑혔다. 이밖에도 ‘비가 그친 후 바로’(directly, after the rain stopped)라는 뜻으로 날씨 상태를 묘사한 노르웨이어 ‘Oppholdsvaer’와 아프리카의 하우사(Hausa)족이 쓰는 ‘마달라’(Madala·신이시여 감사합니다) 등이 순위권 안에 들었다. 이번 조사에 심사관으로 참가한 제니 프레스카(Jenny Freska)는 “세계에서 어떤 단어가 사랑을 많이 받는지 알고싶었다.”며 “이번 조사의 목적은 다른 나라 언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라고 기획의도에 대해 밝혔다. 사진=슈피겔 인터넷판 서울신문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toyobi@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 손·발·목·입술도 젊게 하려면

    나이는 얼굴에서만 보이는 게 아니다. 얼굴보다 피지선이 적어 건조해지기 쉬운 손, 발, 목, 입술의 주름은 나이보다 젊어 보이고 싶어 하는 욕망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이런 경향을 반영하듯 올해는 특히 부위별 전용 제품들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손은 제2의 얼굴 요즘 성형외과에는 손 주름까지 없애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핸드크림을 바르는 것은 기본. 마사지로 효과를 높인다. 크림을 듬뿍 바르고 손가락 하나하나를 쭉쭉 잡아 당겨 준다. 한 손을 쫙 편 후 주먹을 쥔 다른 손으로 박수 치듯 약간 아플 정도로 강하게 친다. 원활한 혈액 순환을 도와 손을 젊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비결이다. ●발 뒤꿈치도 나이를 말한다 여름내 하이힐에 시달려 박힌 굳은살을 제거할 때는 마른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발을 물에 불린 상태에서 각질을 제거하면 상처가 날 우려가 있다. 각질 제거 후 물로 씻어내고 발 전용 크림을 바른 뒤 랩으로 1시간 정도 씌워 준다. 족욕도 굳은살 예방에 좋다. 발이 잘 붓는 사람은 식초나 페퍼민트 오일, 발이 찬 사람은 겨자가루나 라벤더 오일을 이용하면 좋다. ●쭈글쭈글한 입술 피지선과 땀샘이 없는 입술은 수분 유지 능력이 적은 대표적인 부위. 일반 피부보다 6배나 빨리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쉽게 트고 잔주름이 생긴다. 립스틱을 바르기 전에 입술 보호제를 꼭 발라준다. 입가에 각질이 잘 일어나면 아이크림과 에센스를 1:1의 비율로 섞어 마사지해 준다. ●팽팽한 목 의외로 손길이 잘 안가 노화가 금방 드러나는 부위는 목이다. 일단 주름이 생기면 굵고 깊게 생긴다. 영양크림이나 목 전용 크림을 바르고 양 손으로 목 아랫부분에서 턱 방향으로 번갈아 쓸어 올리듯 마사지해 준다. ●어떤 제품 쓸까 제니스웰의 ‘링클리페어 넥 트리트먼트’는 이미 생선된 목 주름을 옅게 해준다. 발 전용으로 나온 ‘바세린 인텐시브 레스큐 하이드레이팅 풋 크림’은 발뒤꿈치뿐 아니라 팔꿈치, 무릎에 사용하기에도 좋다. 인터넷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나이스의 ‘뉴퍼미스’ 각질 제거 크림은 무스 타입으로 쭉 짜서 바르면 톡톡 소리가 나며 피부 깊이 침투해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해 준다. 아비노의 ‘스트레스 릴리프 바디로션’은 오트밀의 촉촉함이 피부에 보호막을 입힌 듯한 느낌을 준다. 잇츠스킨은 ‘퍼퓸 핸드크림’을 출시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 도움말:유니레버, 코리아나, 이아이 솔루션즈
  • 대구 건설시행사들 변신 모색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대구지역의 건설 시행사들이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등 변신을 모색하고 있다. 10일 대구시에 따르면 2000년부터 부동산 붐을 타고 대구지역에만 200여개의 시행사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이중 70∼80%의 시행사가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이름뿐인 회사로 전락했다. 나머지 시행사는 생존을 위해 골프사업에 진출하는 등 사업 다각화를 하고 있다. 대구지역 대표적인 시행사 중 하나인 ㈜연우개발은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 18홀의 회원제 골프장 ‘성주 헤븐랜드’를 완공해 최근 개장했다. 또 대구 수성구 범어네거리에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를 선보인 ㈜해피하제도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상송리 115만 5000여㎡에 18홀의 퍼블릭골프장 ‘송라 제니스’를 건설하고 있다.지난해 9월 공사에 들어가 현재 골프장내 조경 및 코스 공사를 마쳤다. 해피하제측은 경북 영천시 북안면 유상리 148만 5000여㎡에도 27홀의 퍼블릭 골프장을 2009년 개장을 목표로 내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SID하우징도 영천시 임고면 일대 165만여㎡에 27홀 규모의 ‘레이폴드 골프장’을 2009년 5월 완공할 계획으로 다음 달부터 공사에 들어간다. 이 골프장은 세계 정상급 프로골퍼인 비제이 싱과 골프장 설계 및 시공감리 등 사업 전반에 관한 컨설팅업무계약을 체결했다. 또 대구의 D건설 등 일부 시행사는 부동산 투자자문회사를 설립하고 베트남과 중국으로까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대구시 관계자는 “지역 시행사들이 지속적이고 안정된 수입원을 찾기 위해 보폭을 넓히고 있다.”며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 이같은 추세는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 美, 이번엔 경관이 총기 난사

    ‘버지니아공대 총격사건’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미국에서 총기 난사사건이 또 터졌다. 이번엔 스무살의 현직 경찰관이 범인이다.7명(범인 포함)이 숨졌다. 범행동기는 헤어진 여자 친구와 관련된 ‘치정’으로 알려졌다. 7일 새벽 2시47분(현지시간) 미국 북부 위스콘신주의 작은 도시 크랜던에서 비번인 한 경찰관이 가정집에 침입, 총기를 난사했다. 이로 인해 집안에 있던 6명이 숨졌다.1명은 중상으로 병원에 옮겼지만 생명이 위독하다. 범인은 크랜던이 속한 포레스티 카운티의 부(副) 보안관인 타일러 피터슨(20). 피터슨은 비번인 일요일 아침 이 집으로 찾아가 총기를 난사했다. 피해자들은 당시 영화를 보며서 피자를 먹는 파티를 위해 모여 있었다. 크랜던 경찰은 “집안에 있던 6명이 총에 맞아 숨져 있었다.”고 밝혔다. 피터슨도 경찰 저격수의 총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희생자들 가운데 3명은 고교생이다. 나머지 3명도 고교를 졸업한 지 3년이 지나지 않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젊은이였다. 범인 피터슨도 같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딸(14)을 잃은 제니 슈탈(39)은 “내가 들은 얘기라곤 질투심에 불타는 한 남자 친구가 미친 듯이 총질을 해댔다는 것뿐”이라고 흐느꼈다. 피터슨과 기술수업을 함께 들었다는 칼리 존슨(16)은 “그는 평범하고 아주 정상적인 사람이었다. 그가 그런 짓을 했다는 걸 아무도 믿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선 이로 인해 한동안 잠잠하던 총기 규제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 할리우드 스타 ‘베를린 사랑’

    할리우드 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 맷 데이먼, 가수 제니퍼 로페스 등 슈퍼스타들이 사는 곳은? 뉴욕이 아니라 베를린이다. 할리우드 배우를 비롯, 미국의 예술가들이 새로운 문화도시 베를린으로 옮겨가면서 베를린이 ‘신뉴욕’으로 부상하고 있다. 옵서버 인터넷판은 7일 할리우드 스타들이 활기와 매력이 넘치는 베를린으로 속속 모여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는 동베를린 지역의 아파트 꼭대기층을 사들였다. 톰 크루즈도 조용한 거처를 한 곳 더 마련할 예정이다. 벽에 그림을 그리는 그래피티 예술가나 젊은 화가들도 뉴욕을 떠나 베를린을 찾아오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베를린은 1980년대의 뉴욕 같다.”고 평했다. 싼 집세와 그래피티가 도처에 그려져 있는 도시 분위기 때문이다. 뉴욕은 20년 전 전철의 낙서를 지우기 시작할 때부터 국제적인 예술과 창조성의 중심지로서 빛을 잃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술가들이 베를린으로 이사오면서 유명 미술상 로버트 고프가 뉴욕에 있는 갤러리의 베를린 지점을 여는 등 미술상들도 모여들고 있다.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 국제가족영상축제·유럽영화제 개막

    국제가족영상축제·유럽영화제 개막

    자타가 공인하는 영화팬인 당신, 올해는 부산영화제를 놓쳤다고? 하지만 크게 아쉬워할 것은 없다. 부산 못지않은 수작들을 볼 수 있는 영화제가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최근 재해석되고 있는 가족의 의미나 최신 유럽 영화의 흐름을 짚어보고 싶다면 다음 두 영화제에 주목할 만하다. ●‘오늘, 가족을 본다´ 전세계 31개국 작품 상영 18일부터 6일간 정동, 광화문 일대에서 열리는 제1회 서울국제가족영상축제는 가족영화란 모름지기 온가족이 보는 따뜻한 영화라는 공식에서 벗어난다.‘오늘, 가족을 본다’라는 주제의 이 영화제는 오늘날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가족의 진정한 의미를 살핀다. 이번 영화제는 전세계 31개국에서 온 모두 103편(장편 32편, 단편 71편)의 작품이 상영되며, ‘가족’을 중심 주제로 한 세계의 장편영화들을 소개하는 ‘월드 패밀리 나우’와 한국사회 내 가족을 재조명하는 ‘코리아 패밀리 나우’를 비롯해 ‘세계 단편영화 초청전’,‘부성애 특집’,‘시네마테라피, 가족을 만나다’ 등 모두 7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특히 가족 내 관계에 초점을 맞춘 한국 단편영화 경선 부문에서는 예심을 거친 33편의 본선 진출작이 상영된다. 이번 영화제 개막작은 한국에는 처음 소개되는 스위스의 장 스테판 브롱 감독의 2006년작 ‘내 동생의 결혼식’.20년 전 스위스 가정에 입양된 빈의 결혼식을 맞아 베트남에서 생모가 방문하자, 그녀를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온가족이 어색한 ‘행복’을 연기한다는 내용의 영화다. 한국 가족영화의 현주소를 살펴볼 수 있는 ‘씨네토크’ 섹션도 눈에 띈다.2003년 여름 시즌 3주간 박스 오피스 1위를 석권한 임상수 감독의 ‘바람난 가족’을 비롯해 ‘가족의 탄생’(2006),‘좋지 아니한家’(2007) 등 순차적으로 탄생한 가족영화 3편을 차례로 만나볼 수 있다. ●17일부터 유럽거장 신작등 선보여 올해로 8회째를 맞는 메가박스 유럽영화제(17∼21일)에서는 유럽 거장들의 신작을 선보이는 ‘마스터스 초이스’를 비롯해 ‘하트 투 하트’,‘슈팅스타’ 등 6개 부문에 걸쳐 총 30편의 작품이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개막작으로 선정된 크리스 크라우스 감독의 ‘포미니츠’는 피아노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교도소 수감자 제니와 그의 스승 크뤼거의 감동 휴먼 스토리를 그린 작품으로, 올해 독일 아카데미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화제작. 이밖에 유럽식 로맨틱 코미디를 맛보고 싶다면 ‘러브스토리 인 유럽’ 섹션의 ‘당신은 나의 베스트셀러’와 ‘센스 오브 유머’ 섹션의 ‘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을 주목할 만하다.‘결혼하고도’는 파리 사람들의 독신 생활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지난해 프랑스 흥행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유럽영화제의 한 관계자는 “이번 영화제는 유럽 영화는 무조건 어렵고 예술적이라는 선입견을 깨기 위해 ‘센스 오브 유머’ 섹션을 신설해 유럽식 코미디 영화의 새로운 면모를 소개할 예정”이라며 “평범한 2030여성들을 포함해 영화팬이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영화들로 꾸몄다.”고 밝혔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