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을 들고 사막을 산책하다/이자벨 자리 지음
●사막을 사랑한 테오도르 모노의 삶
“사막은 그 자체로 감동적이다.깨끗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기에 더욱 아름답다.음란해 보일 정도다.사막은 자신의 알몸을 그대로 보여준다.사막은 스스로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게 만드는 풍경이다.” ‘현대의 마지막 박물학자’로 불린 프랑스의 지성 테오도르 모노의 사막예찬은 한 편의 잠언시 같다.그는 낙타를 타고 여행하는 사막의 순례자처럼 사막을 성소(聖所)로 삼았고 유목민의 삶을 존중했으며 그들의 자유정신을 높이 평가했다.
‘수첩을 들고 사막을 산책하다’(이자벨 자리 지음,이재형 옮김,들녘 펴냄)는 위대한 현자로 칭송받는 테오도르 모노의 삶을 다룬 평전이다.책은 그가 남긴 글,자연주의 운동,박물학적 성취 등을 통해 생명존중과 평화의 정신을 전파한 한 인본주의자의 삶을 복원해낸다.
테오도르 모노가 사막의 삶을 살게 된 것은 우연한 계기에 의해서였다.프랑스가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거느리던 시절,스무 살의 그는 아프리카 모리타니에 어류 연구 목적으로 파견된다.그때 처음으로 아프리카를 여행하면서 사하라 사막을 발견했고,그것은 이내 그의 운명을 갈랐다.사막의 아름다운 풍경은 지적 흥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훗날 한 포럼에서 그는 이렇게 고백했다.“나는 내 삶을 아프리카에서 보냈고,거기서 많은 것을 해보고 싶은 유혹을 느꼈습니다.나는 사막을 따라가며 화석과 식물 등 모든 것을 다 주웠지요.그러다 보니 처음엔 동물학자였지만 식물학자가 되고 지질학자도 되고 인류학자도 되고 고고학자도 된 것입니다.”
●낙타 발자국만 봐도 암수 가려내는 유목민
테오도르 모노는 유목민들이 사막의 땅에 어떻게 적응해 왔는가를 박물학자의 눈으로 살핀다.책은 먼저 사막사회가 고도로 계급화된 사회임을 밝힌다.사하라 지역 예컨대 모리타니엔 아직도 계급이 남아 있다.이 계급 피라미드의 상층부엔 유목민인 전사가 있고 이어 가축사육사이기도 한 이슬람교 도사들이 존재한다.그 아래론 하인집단과 면천(免賤)된 노예들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하라틴 계급이 있고,마지막으로 노예들이 최하층을 구성한다.그러나 사막의 유목민들은 어느 계급에 속해 있든 놀라운 적응력을 보인다.무엇보다 사막에서 형태를 식별하고 방향을 알아내는 기술이 뛰어나다.유목민들은 폐쇄된 장소에서도 동서남북의 방향을 알며,한번 돌아다닌 코스는 결코 잊지 않는다.그들은 흔적학(痕迹學)의 대가다.낙타 발자국을 보면 그곳을 지나간 낙타가 암놈인지 수놈인지 나이가 몇 살인지 알며,짐은 얼마나 실었는지까지 짐작한다.
●“유목민 정착 강요해서는 안돼”
메아리(안장을 얹은 낙타)를 타고 사막을 여행하면서 테오도르 모노는 유목민의 자유로운 삶을 한없이 사랑하게 됐다.하지만 유목생활의 소멸과 함께 그들의 자유 또한 사라져가고 있다.니제르 같은 나라에선 유목생활부가 존재할 정도로 유목생활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지만,말리 같은 데선 정부가 정착화를 권유하고 심지어 폭력적인 수단까지 동원한다.유목민의 정착화는 당사자들의 동의 아래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한다는 게 테오도르 모노의 생각이다.
테오도르 모노가 사막에서 발견한 평화의 이상은 현대문명이라는 현실과는 너무 동떨어진 것이었다.그런 만큼 그는 현실과 끝없는 투쟁을 벌였다.자유로운 학문의 세계에서조차 이단자 취급을 받았지만,평생 폭력과 전쟁을 거부하는 ‘지적 시위’를 통해 인류 문명의 오만을 고발했다.
그는 기독교의 인간중심주의로 인해 희생되는 동물을 보호하는 데에도 앞장섰다.“사자는 새끼들에게 영양을 죽이는 법을 가르쳐주지만 같은 사자를 죽이는 법은 가르치지 않는다.”는 비유를 들며 인간의 야만과 폭력을 질타한다.또 핵을 “인간의 생명을 담보로 죽음을 향해 계속 전진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핵개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생명존중·평화 앞장선 ‘행동하는 지성’
‘사하라에 미친 사람’이란 말을 들을 정도로 사막에 대한 열정을 보여준 테오도르 모노는 동물학대와 핵전쟁을 반대하는 환경보호론자이자 평화주의자였을 뿐 아니라 종족차별 반대,민족우애운동,알제리 지지운동 등을 몸소 실천한 ‘행동하는 지성’이었다.
2000년 9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생명존중과 평화의 정신은 오늘도 살아 숨쉰다.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한 권의 수첩을 들고 사막을 산책하는 키 작은 구도자의 모습을 기억하고 있다.98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