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청담·도곡 등 고밀도지구 10곳 하반기부터 재건축 길 열리나
압구정 등 서울시내 10개 고밀도 아파트지구 100여개 아파트단지에 대한 정비계획이 올해 안에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부터 재건축이 활발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잠실, 여의도, 청담·도곡 등 10개 고밀도 아파트지구의 정비계획을 늦어도 연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반포·서초 등 제외… 5만 7000가구 대상
시 관계자는 “시내 13개 고밀도 아파트지구 가운데 지난해 결정 고시된 반포, 서초지구 등을 제외한 10개 지구의 개발기본계획안 용역이 최근 완료돼 주민 공람을 거쳤다.”면서 “앞으로 시의회 의견 청취, 시 도시계획위 심의 등을 거쳐 올해 안에 최종 결정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완공된 지 20년이 안 된 송파구 잠실동 아시아선수촌지구는 계획 대상에서 제외됐다.
대상 지구의 규모는 101개단지 642동 5만 7410여가구나 된다. 이들 지구의 기본용적률은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230%,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으로 상향된 지역은 200%로 각각 결정됐다. 대신 도로나 공원, 학교 용지 등 공공용지를 내놓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해 모두 최대 250%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시는 기본계획안의 주민공람을 거친 10개 지구 가운데 주민 의견 검토가 끝난 청담·도곡, 여의도, 이수, 가락, 원효, 이촌, 잠실 등 7개 지구는 시의회 의견 청취를 위해 오는 13일 제157회 임시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시 의회에서 보완사항이 없으면 7월 시 도계위 심의를 거쳐 8월쯤 최종 결정고시가 떨어진다. 주민 검토가 진행중인 서빙고, 암사·명일, 압구정 등 3개 지구 역시 검토가 끝나면 재공람 등을 거쳐 올해 안에 결정고시가 날 예정이다.
●재건축 성사 여부는 지켜봐야
그러나 이번 건은 지구 개발의 큰 틀인 정비계획만 새로 마련된 것이다. 정비계획 결정이 곧 ‘재건축 가능’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재건축의 주체는 서울시가 아니라 지역 주민이다. 주민 대다수가 재건축으로 이익을 볼 수 있다고 판단할 때 조합 결성 등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최근 강화된 안전진단을 통과할 수 있느냐도 관건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국 관계자는 “고밀도지구 재건축의 큰 길만 열린 셈”이라고 설명했다.
강남구와 지역 주민들이 압구정 현대아파트 자리에 추진중인 60층 초고층 재건축안 역시 정비계획 상으로는 가능하다. 높이 제한이 없는 제3종 주거지역인 만큼, 용적률 250%만으로도 채산성은 충분히 있다. 그러나 시에서 ‘60층 불가’ 입장을 고수하는 한 초고층 재건축안은 건축 허가를 받기 쉽지 않다.‘상당수의 아파트들이 리모델링으로 선회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