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전동] 교통공학
교통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각종 교통 수단을 포함해 교통체계를 계획하고 설계, 운영하는 전문 기술을 가르친다. 교육 과정은 교통발달사와 도시계획 개론, 교통정책 등 이론에서부터 공업수학, 환경공학, 통계학, 도로공학, 철도교통 공학, 항만교통 공학, 교통인간 공학 등 적용 분야, 측량학 실습, 교통체계 및 교통수요 분석, 교통 최적화기법 등 실습 과목으로 구성돼 있다.
졸업 후 주요 진로는 교통 관련 전문직이다. 중앙정부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의 교통 전문직, 교통개발연구원이나 국토개발연구원, 한국건설연구원, 도로교통안전협회, 교통안전진흥공단 등 연구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
교통시설을 건설하거나 운영하는 한국도로공사나 한국고속철도공단, 지하철공사, 한국토지개발공사, 대한주택공사 등도 관련 전공자를 뽑는다.
이 밖에 교통 관련 컨설팅회사나 일반 기업체에 취업하거나 교통기술사, 도로기술사, 철도기술사 등의 자격증을 딸 기회도 있다.
전공이 개설돼 있는 곳은 서울시립대와 명지대, 관동대(강원), 여수대(전남), 계명대(대구) 등 5개대이다. 대부분 교통공학과 또는 건설교통·토목환경·공학계열에 개설돼 있다. 한국항공대(인천)나 아주대(경기), 한양대(안산), 목원대(충남), 경기대(경기), 공주대(충남) 등에서도 교통시스템 등 비슷한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경쟁률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지만 서울·경기 지역의 경우 2005학년도 입시에서는 기본적으로 3대1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한국항공대는 22.2대1, 명지대는 9.1대1, 아주대는 6.8대1 등 매우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