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노근리 결론 바꿀 근거 못돼”
6·25 전쟁 당시 미군이 피란민에게 발포를 허용했다는 내용을 담은 존 무초 주한 미국 대사의 서한과 관련, 미 정부는 이 방침이 승인 및 집행된 바 없으며, 따라서 2001년 발표된 노근리 조사보고서의 결론을 바꿀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정부 당국자가 30일 밝혔다. 미 정부는 이같은 입장을 지난 9월말 우리 정부에 전해왔으며, 정부는 미국 정부의 해석이 “대체로 이치에 닿는다.”는 판단을 내렸다. 무초 대사의 서한은 1950년 7월25일 대구 소재 한국정부 청사에서 한국정부 관계자와 주한미대사관, 한국 경찰청, 미 8군이 참여한 회의가 열린 뒤 다음날 딘 러스크 미 국무부 차관보에게 보낸 개인서한.AP통신은 지난 5월 “주민들의 남쪽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며 만일 난민들이 미군 방어선 북쪽에서 출현할 경우 그들은 경고사격을 받을 것이며 그래도 계속 전진하면 총격을 당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긴 서한전문을 소개하며 미국이 노근리 사건의 진실을 은폐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정부는 미측에 당시 조사기록을 재검토해 주도록 요청했다. 미 당국은 무초 대사의 서한과 관련, 지난 2001년 조사시 이미 살펴봤던 문건이라고 밝히고, 그러나 “서한이 승인된 정책이나 일선에 전달된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2001년 결과 보고시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이어 “무초 대사는 당시 회의에 논의된 정책 초안에 대한 무초 대사의 인상을 담은 것으로, 워커 8군 사령관은 사격을 허락하는 취지의 정책제안을 승인하지 않았고, 일선 군인들에게 하달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정책 제안’이란 단어가 들어간 미 정부 답신 내용을 볼 때, 지난 1950년 7월25일 회의에서 ‘피란민 사격’문제가 최소한 테이블위에 올랐던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김수정기자 crysta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