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으로 빚은 ‘빛과 그림자 건축’
일본 열도를 구성하는 4개의 섬 가운데 가장 크기가 작은 섬이 바로 시코쿠. 나오시마는 시코쿠에 딸린 섬 가운데 하나다. 원래 철과 구리 제련소가 있는 작은 섬이었으나, 2004년 건축물을 땅속에 넣은 지중(地中)미술관이 세워지며 일본을 대표하는 예술의 섬으로 자리매김했다.
●고졸학력에 건축가의 길 걷기 시작
일본 오사카의 한적한 주택가에 빛의 교회라는 매우 독특한 건축물이 있다. 1989년 지어졌다. 건물 지붕 첨탑에 십자가를 세운 일반적인 교회와는 거리가 멀다. 제단이 있는 전면부의 벽이 십자가 모양으로 뚫려 있다. 콘크리트 박스 같은 교회는 빛으로 이뤄진 십자가로 아름답고 엄숙한 공간이 된다.
지중 미술관이나 빛의 교회 모두 자연 그대로의 빛과 그림자를 이용해 예술성을 가미한 세계적인 건축물로 이름이 났다. 이러한 작품들이, 고교 시절 프로 자격증을 따 2년 정도 링에 올랐던 권투 선수의 손에서, 고졸 학력에 독학으로 건축을 공부한 사람의 손에서 빚어졌다니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을까.
일본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다다오(68)의 자서전인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김광현 감수, 이규원 옮김, 안그라픽스 펴냄)가 출간됐다.
일본 권투계 스타였던 하라다가 스파링하는 모습을 보고는 자신이 권투에 재능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즉시 글러브를 벗어 버렸다는 그는 이후 어렸을 때부터 흥미를 가졌던 ‘물건 만들기’를 시작한다.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가구, 인테리어,건축 등의 작업을 하다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 흥미를 느껴 독학을 시작했다.
일본 근대 건축의 영웅 단게 겐조의 작품을 보기 위해 일본을 일주했고, 스물넷 때 해외 여행이 자유화되자 6개월 동안 유럽 등을 돌아다니며 건축 예술을 탐닉했다. 그는 1960년대 말 오사카에 작은 사무실을 열며 본격적으로 건축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도시에 저항하는 게릴라의 파격적 작품
데뷔작부터 심상치 않았다. 소형주택 스미요시 나가야는 출입구 외에는 창문이 전혀 없고 천장과 벽을 모두 노출 콘크리트로 마감했다. 또 건물을 3등분해 가운데 공간을 지붕 없는 중정으로 만드는 등 상식을 깬 파격으로 호평과 악평을 동시에 받았다.
그의 건축은 자연과의 조화 외에도 “어떤 형태든 자유자재로, 만들고 싶은 공간을 더 원초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며 선택한 노출 콘크리트 공법을 통해 절제와 단순미 등 일본 미의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건축을 둘러싼 환경도 사회도 크게 변했지만 건축을 향한 나의 근본 자세는 ‘도시에 저항하는 게릴라’라는 초심을 그대로 간직한 채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자연의 일부로 존재하는 생활이야말로 주거의 본질이다.”, “도시의 풍요는 그곳에 흘러든 인간 역사의 풍요이며 그 시간이 아로새겨진 공간의 풍요이다. 인간이 모여 사는 그런 장소가 상품으로 소비되어서는 안 된다.”는 언급에서 그만의 철학이 오롯이 묻어 난다.
●눈앞의 힘겨운 현실 직시하고 극복한 삶
안도는 건축가로서 살아온 반생을 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얼마 남지 않은 기대를 품고 애오라지 그림자 속을 걷고 하나를 거머쥐면 이내 다음 목표를 향해 걷기 시작하고, 그렇게 작은 희망의 빛을 이어나가며 필사적으로 살아온 인생이었다. 자기 삶에서 빛을 구하고자 한다면 먼저 눈앞에 있는 힘겨운 현실이라는 ‘그림자’를 제대로 직시하고 그것을 뛰어넘고 용기 있게 전진할 일이다. 빛과 그림자. 이것이 건축 세계에서 40년을 살아오면서 체험으로 배운 나 나름의 인생관이다.”
이렇듯 이 책은 화려한 성공 스토리가 아니라 오늘날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메시지에 가깝다.
안도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학력주의가 뿌리 깊은 일본 사회에서 대학 교육을 받지 않고 독학으로 건축의 길을 걸어온 반생은 순풍에 돛 단 배하고는 거리가 먼 어려움의 연속이었다.”면서 “쓰러졌다가 일어서기를 거듭해 온 이 무뚝뚝한 자전을 읽고 한국에서 단 한 사람이라도 인생에 용기를 가져준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2만원.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