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물으면 “날씨가” 朴대표 동문서답
“집에서 울고, 밖에서 웃는다.”
최근 잇단 ‘박정희 때리기’를 둘러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대응에 대해 한 측근은 26일 이렇게 표현했다. 가슴아픈 사(私)는 마음속에 묻어두고,‘공(公)’에는 의연하게 대처한다는 게 요지다. 특히 공적으론 정면 돌파가 아니라 ‘원칙’을 강조하는 선에서 ‘로키(Low Key)’로 가고 있다.
박 대표는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는 편이다. 스스로 박 전 대통령과의 추억을 거론하거나 소소한 일화라도 말하는 일이 거의 없다.
그런 박 대표가 전날 염창동 당사를 방문한 캘빈 유 주한 싱가포르 대사에게 건넨 인사말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박 대표는 이날 대사와 인사를 나눈 뒤 “1979년에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만나신 외국 지도자가 당시 싱가포르의 리콴유 총리 내외였다. 두 분은 굉장히 친분이 깊었다.”고 말했다. 평소 같으면 누군가가 “아버지가 그때 많이 도와줬다.”며 박 전 대통령과의 인연을 부각시킨다 해도 별로 반가워하지 않고 “아, 그런가요.”라고 답했을 박 대표가 ‘자발적으로’ 아버지 얘기를 꺼냈다는 것 자체가 흥미롭게 읽혔다. 더구나 최근 들어 3공 시절의 공과(功過)가 기록된 문건이 잇따라 공개되고,10·26 사건을 다룬 영화 ‘그때 그 사람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 박 대표에게 시선이 집중되고 있지만, 거의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도 시사점이 컸다. 며칠 전 당직자들에게 “제가 누구의 딸이라는 것은 잊어달라.”고 부탁한 것과 비교해서도 동떨어진 화법이라는 평가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필요할 때만 아버지를 찾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민감한 사안이라고 생각해 동문서답으로 질문 공격을 피해가는 것은 박 대표의 최근 특이할 만한 어법으로 꼽히고 있다.
‘광화문’ 친필 휘호를 교체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으면 “추운데 왜 밖에 나와 계세요.”,“글쎄요, 그것은 정부에 물어보세요.”라고 어물쩍 넘어간다. 불편한 심기를 직접 표현할 수도 없다 보니 ‘우회전술’로 나오고 있다는 해석이다.
박 대표는 최근 영화 ‘그때 그 사람들’의 시사회가 열렸다는 전여옥 대변인의 보고를 받고서도 “네, 알았어요.”라고만 했을 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한 일본 통신기자의 질문을 받고 “동생이 영화 제작자를 상대로 소송을 한다고 해서 저도 동의를 했다. 영화는 직접 보지 않았지만, 죽음을 희화화했다고 하더라. 어떤 죽음이라도 코미디 소재로 삼는 것은 안 된다.”고 불편한 심기를 ‘생명존중론’으로 대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연기자 anne0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