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문학/주위편견으로 차별받는다
◎「시와 시학」,패럴림픽맞아 특집 다뤄/고정관념 탈피·제도적 지원 등 필요
『꽃이 되게 하소서/나의 색이 바래지 않는다면/한송이 꽃으로 피어나게 하소서/나의 몸이 그대 뜰에 피어나게 하소서/그대의 깨어남과 잠든 모습/그리고/잠든 후까지도/기도를 지키게 하소서/그대 손으로/나를 꺾는다 해도/원망하진 않을 겁니다』(전신마비장애인 김대원의 「한송이 꽃으로 피어나게 하소서」)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되는 제9회 장애인올림픽을 맞아 계간 「시와 시학」은 가을호에 장애인문학의 현주소를 살피는 장애인문학특집을 실었다.「장애인문학 오늘의 현실」이라는 제목을 단 이 특집에는 「장애인문학의 현실과 발전방향」을 논한 한국장애인문인협회 방귀희회장의 글과 김대원 김옥진 김홍렬 조임숙 황지형 등 장애문인 5명의 시가 소개됐다.
「장애인문학」은 통상적으로 장애인이 주체가 되어 하는 문학활동을 뜻한다.그러나 똑같이 문학주체에 따라 나뉜 여성문학 농민문학 노동문학과는 달리 장애인문학은 차별받고 있다고 방귀희회장은 이특집에서 밝히고 있다.장애문인의 작품은 자신의 한풀이로 그칠 것이라는 독자들의 편견과 장애문인들의 문학수준을 의심하는 분위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방회장에 따르면 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한차례씩 문학병을 치른다고 한다.그만큼 장애인과 문학과의 관련은 밀접하다는 것인데 때로는 장애가 심해서 글쓰는 일 외는 다른 일을 할수 없어 문학을 택하는 딱한 경우도 있다.그들 대부분은 장애 때문에 누워서 생활하거나 외출을 하지 못하며 입이나 발가락으로 글을 쓰는 등 정상인보다 몇배나 어려운 조건에서 문학을 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문인이 이제까지 펴낸 작품집은 1백78종에 이르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한 장애문인도 서울신문신춘문예 시조부문에 당선한 김홍렬씨,김래성추리문학상을 수상한 이승영씨등 30명이나 된다.게다가 지난 90년 12월에 장애인문인협회가 결성되고 91년 봄 장애인문학의 대변지 계간 「솟대문학」이 창간되는 등 장애인문학을 활성화시키는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방회장은 우리나라 4백만 장애인을 위해서 일본에서처럼 장애인문학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역설한다.그는 역사상 위대한 작품을 남긴 밀턴,바이런,서머셋 모옴,손자,사마천 등이 장애인이었음을 지적하고 문학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며 명작은 장애인을 가리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그는 마지막으로 장애인문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장애문인에 대한 고정관념 탈피와 제도적 지원,문화공간과 문학수업기회의 제공,그리고 일반문인들과의 격의없는 교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