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년 5만7천쌍 이혼… 20년전의 4.7배
◎세계가정의 날 맞아 알아본 국내현황/15% 1년만에 헤어져… 재혼율 8.9%/평균가족수 3.7명… 34%가 아파트 희망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전통적인 결혼관과 가족형태가 해체되면서 우리나라 부부들의 이혼율도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이혼하기까지의 평균 동거기간도 다른 나라들보다 짧다.빨리 끓고,빨리 식는 「냄비 현상」이 결혼생활에서도 나타나는 셈이다.
15일은 유엔(국제연합)이 올해 처음으로 제정한 「세계 가정의 날」.통계청이 이날에 맞춰 발표한 「우리나라의 가정 현황」이라는 자료에 따르면 1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이혼하는 부부는 72년 1만2천쌍에서 92년에는 5만7천쌍으로 4.7배가 됐다.평균 21쌍의 부부가 탄생할 때 다른 쪽에서 1쌍의 파경부부가 생겼으나,요즘은 7쌍 대 1쌍으로 좁혀졌다.
1천명을 기준으로 한 이혼율도 0.37에서 1.31%로 높아졌다.아직은 미국 4.73%,영국 2.28%,프랑스 1.67% 일본 1.37%보다 낮다.그러나 전통적 윤리관의 쇠퇴와 핵가족화의 가속화 등으로 조만간 선진국 수준에 접근할 전망이다.
이혼부부의 평균 동거기간은 91년 8.4년으로 미국 9.1년(88년),일본 10.8년(91년),영국 11.6년(90년),프랑스 13.4년(88년),네덜란드 11.1년(90년)보다 훨씬 짧다.「냄비 사랑」이라 불러도 될 듯하다.
이혼까지의 동거기간(91년)을 보면 결혼 4년까지가 36.4%로 가장 많고 5∼9년 27.7%,10∼14년,20.2%,15년 이상 15.7%의 순이다.1년만에 갈라선 부부도 15%였고 20년을 넘게 살다 이혼한 부부도 6.3%나 된다.특히 10년이 넘은 부부의 이혼이 날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혼이 늘어나자 재혼 비율도 72년 5.9%에서 91년에는 8.9%로 높아졌다.이 중 양쪽 모두 재혼도 2.4%에서 3.7%로 늘었다.서구의 결혼 풍속을 닮아가는 것이다.72년에 남 26.7세,여 22.6세이던 초혼 연령도 91년에는 28.1세와 24.9세로 높아졌다.
가임 연령층(15∼49세)인 기혼 부인의 평균 출생아 수는 70년 3.7명에서 90년 2.1명으로,가구당 평균 가족수도 75년 5명에서 90년 3.7명으로 각각 줄었다.가족 형태가 전통적인 대가족제가 무너지고 소가족,핵가족화한 것이다.
20년 동안의 가구 증가율(98.9%)이 인구증가율(38%)을 훨씬 웃도는 것도 이를 반증한다.혼자 사는 가구도 85년 66만1천에서 90년 1백2만2천으로 55%가 늘어,개인주의화 추세를 반영했다.그만큼 주택난도 가중됐다.
가족관의 변모와 사회의 개인주의화 경향은 선호하는 주택유형의 변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79년 6.5%에 불과하던 아파트는 92년 34.2%로 거의 6배가 된 반면,단독주택은 92.5%에서 63.3%로 줄었다.
자녀수가 줄었음에도 가계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70년 7%에서 92년 9.7%로 오히려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