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건수 감소 속 재혼은 늘어
2003년 이후 줄곧 증가해온 연간 혼인 건수가 지난해 5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결혼이 점점 늦어지면서 지난해 초혼연령이 남자는 31.38세, 여자는 28.32세로 높아졌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혼인통계’에 따르면 혼인 건수는 32만 7700건으로, 2007년 34만 3600건에 비해 4.6% 감소했다. 2003년 30만 3000건, 2004년 30만 9000건, 2005년 31만 4000건, 2006년 33만 1000건에 비하면 적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쌍춘년 효과 등으로 2007년 혼인이 크게 늘어난 때문에 지난해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커졌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인 조(粗)혼인율은 6.6건으로 전년보다 0.4건 줄었다.
남녀 모두 초혼은 5%대의 감소율을 보였지만 재혼은 남자 0.1%, 여자 1.4%가 각각 증가했다. 재혼이 전체 혼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남자 17.5%, 여자 19.2%였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가 31.38세로 전년 대비 0.27세, 여자는 28.32세로 0.23세 높아졌다. 평균 재혼연령도 남자 44.98세, 여자 40.31세로 각각 0.17세와 0.23세 늦어졌다.
전체 혼인에서 차지하는 연령대별 비중은 남자는 30대 전반(30~34세)이 33.8%로 가장 높았고 이어 20대 후반(25~29세) 32.8%, 30대 후반(35~39세) 14.1%, 40대 전반(40~44세) 6.2% 순이었다. 여자는 20대 후반이 47.6%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30대 전반 21.1%, 20대 전반 11.4%, 30대 후반 7.8% 순이었다. 초혼 중 남자가 연상인 부부는 전체의 70.4%로 전년보다 1%포인트 줄었다. 10년 전인 1998년의 78.3%에 비해서는 8%포인트가량 낮아진 것이다. 반면 여자가 연상인 경우는 전체의 13.7%로 0.7%포인트 증가했다. 98년의 9.6%보다 4%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동갑인 경우도 15.9%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나이 차이는 남자가 3~5세 연상인 커플이 27.9%로 가장 많았고 남자 1~2세 연상 26.0%, 동갑 15.9%, 남자 6~9세 연상 10.6%, 여자 1~2세 연상 10.2%, 남자 10세 이상 연상 5.9%, 여자 3~5세 연상 2.8% 순이었다.
외국인과의 혼인은 3만 6204건으로 2000년의 1만 1605건보다는 3배 이상 늘었지만 2006년 이후 3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혼인은 2만 8163건이었다. 이 중 신부의 국적이 중국인 경우가 1만 3203건(46.9%)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8282건(29.4%), 필리핀 1857건(6.6%)이었다.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혼인은 총 8041건으로 신랑의 국적은 일본 2743건(34.1%), 중국 2101건(26.1%), 미국 1347건(16.8%)이었다.
김태균기자 windse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