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걸어도 걸어도
오래전 사고로 죽은 장남의 기일, 요코하마가의 가족 - 은퇴한 의사이자 무뚝뚝한 성격의 아버지, 긴 세월 동안 가정을 충실히 지킨 어머니, 부모 집에 들어와 살고 싶은 딸과 그녀의 가족, 아버지와 소원한 관계인 차남과 얼마 전 그와 재혼한 여자와 아들 - 이 한자리에 모인다. 여느 가족처럼 그들은 여름의 오후를 떠들썩한 분위기 속에서 보내지만, 입 밖으로 내뱉는 말과 가슴속에 묻어 둔 생각들이 잔잔한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에서 ‘죽음’은 익숙한 주제다. ‘환상의 빛’, ‘원더풀 라이프’, ‘디스턴스’, ‘아무도 모른다’, ‘하나’는 모두 죽음에서 출발하는 이야기였고, 카메라는 남겨진 자들이 일종의 부채의식을 간직한 채 살아가는 모습을 무심한 듯 뒤따르곤 했다. ‘걸어도 걸어도’에도 각기 다른 시간의 층에서 벌어진 죽음들 - 남편의 죽음, 아들의 죽음, 부모의 죽음 - 이 겹쳐 있다. 그런데 이번 작품의 기조는 전작들과 조금 다르다.
이전 작품에서 타인의 슬픔과 발버팀을 응시하던 감독은 자전적인 이야기에 가까운 ‘걸어도 걸어도’에서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감독 어머니의 죽음에서 비롯된 영화는 본질적으로 ‘가족과 기억’에 관한 이야기다. 인위적인 이야기의 틀에 갇힌 가족이 아니라 행복과 고통, 슬픔과 기쁨, 오해와 포용의 결이 아로새겨진 현실적인 가족의 모습이 영화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인공은 자연주의자의 자세로 그 모습을 기억 한가운데 각인시키고 풀어낸다.
후반에 이르기까지 현재의 시점처럼 전개되는 영화는 사실 다시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 기억된 과거를 소환하는 작업이다. 이런 유의 영화에 종종 끼어드는 감상적인 모양새가 배제된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가족 바깥의 존재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 온화한 표정 아래 감춘 냉정한 마음씨, 아무리 노력해도 간극을 좁히기 힘든 인간관계가 가감 없이 묘사된다. 일본인은 보통 감정과 본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고 하지만, 한 가족을 근접 관찰한 결과물은 ‘벌거벗은 초상’이라 불리기에 모자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영화의 결말부에 이르러 현미경식 통찰을 버리고 ‘추억과 회환의 심성’을 택한다. 그는 가족의 부조리와 딜레마를 두고 냉혹한 비판을 가하지 못한다. 망자 앞에선 후회와 안타까움이 우선하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날아든 나비에게서 죽은 자를 떠올리고, 여름 햇살 탓에 뜨거워진 묘비를 시원한 물로 식히며, 죽은 자에게 다해 주지 못한 일들을 한 발 늦게 뉘우친다. ‘걸어도 걸어도’는 카메라로 쓴 진혼곡이다.
‘걸어도 걸어도’의 배급사는 공교롭게도 상실을 경험한 가족의 영화를 연이어 개봉 중이다.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여름의 조각들’, 그리고 ‘걸어도 걸어도’는 부모와 배우자의 죽음에 대처하는 동서양인의 차이와 유사점을 잘 보여 준다. 세 영화는 죽은 자를 추모하고 인식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현실 가족의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뜻깊은 기회를 제공한다. 원제 ‘步いても 步いても’.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