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재판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공황장애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장윤정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애니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 커밍아웃
    2025-09-0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4,121
  • “놀이 교육” 30대 여교사, 11살 제자에 성폭행…美 충격

    “놀이 교육” 30대 여교사, 11살 제자에 성폭행…美 충격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30대 여교사가 11세 남학생 제자를 성폭행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일리노이주 지역방송 WCIA-TV와 폭스뉴스 제휴 ‘폭스32 시카고’ 보도에 따르면 일리노이주 디케이터 공립학교 대체교사(substitute teacher)였던 앨리 바드필드(34)는 지난 7일(현지시간) 재판에서 자신에게 적용된 약탈적 아동 성폭행 혐의를 인정했다. 해당 혐의 적용시 최대 6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으나, 바드필드 측과 검사는 형량 거래(plea deal)에 따라 40년으로 형량 상한을 합의한 상태다. 바드필드에 대한 선고는 다음 달 25일 이뤄진다. 기혼 여성으로 알려진 바드필드는 2023년부터 2024년 4월까지 대체교사(정교사 휴직시 자리를 대체하는 일종의 기간제 교사)로 재직하면서, 6학년 학생이던 11살 남제자를 성폭행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놀이 교육’ 명목으로 학생을 집으로 유인한 뒤 최소 두 차례 성폭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사의 범행은 교사의 집을 방문한 뒤로 달라진 아들의 행동에 의심을 품은 어머니가 휴대전화를 확인하면서 발각됐다. 어머니는 아들의 휴대전화에서 교사와 노골적인 성적 메시지, 노출 사진을 교환한 것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이 과정에서 교사가 피해 아동에게 700달러(약 95만원)를 송금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후 피해 아동은 어머니에게 2024년 3월 29일 교사의 집에서도 성폭행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애초 교사는 피해 아동이 먼저 자신에게 성적으로 접근했다며 범행을 부인했으나, 이후 법정에서 유죄를 인정했다. 교사의 추악한 학대 범죄가 드러나자 학교 측은 즉각 교사를 파면했으며, 사법당국과 경찰은 피해 아동 및 가족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 경찰 관계자는 “신뢰할 수 있는 위치의 인물이 저지른 범죄라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이라며 “피해 아동과 가족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 파타야서 한국인 자해 난동, 과다출혈 병원 이송… 전 여친 감금했던 20대男

    파타야서 한국인 자해 난동, 과다출혈 병원 이송… 전 여친 감금했던 20대男

    태국 파타야에서 한국인 남성이 흥분한 상태로 전 여자친구를 찾던 중 자해 난동을 벌인 사건이 일어났다. 남성은 약 두 달 전 현지인인 전 여자친구를 감금했다가 체포됐으나, 보석으로 풀려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1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카오소드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쯤 현지 경찰은 센트럴 파타야 로드에 있는 한 마사지 업소에서 남성이 기물을 파손했다는 신고를 받았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마사지 업소 정문 유리문이 깨져 있었고 가게 앞 바닥에는 핏자국이 흥건했다. 용의자는 인근 네일숍으로 도주, 전 여자친구가 지내는 방 안에서 피를 흘리며 누워 있는 것을 경찰이 발견했다. 경찰과 구조대는 과다출혈로 심각하게 쇠약해져 있던 남성에게 응급처치를 한 뒤 인근 병원으로 옮겼다. 최초 신고자는 50대 여성으로, 마사지 업소에서 일하던 그는 잠을 자던 중 유리창이 깨지는 소리에 깜짝 놀라 나왔다가 유리문을 발로 차 심하게 다친 남성을 발견했다. 경찰 조사 결과 용의자는 한국 국적의 27세 김모씨로 확인됐다. 앞서 김씨는 지난 6월 16일 전 여자친구인 28세 태국인 여성을 네일숍 건물 내 방에 감금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네일숍을 운영하는 피해자는 김씨가 자신의 휴대전화를 뺏고 거의 24시간 동안 방에 가뒀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피해자가 중국인 남성과 새로운 관계를 갖는 것에 질투심을 느껴 이같은 범행을 저질렀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의 소지품에서는 15발이 장전된 시그사우어 권총 한 정이 발견돼 경찰은 그에게 무기 소지 혐의도 적용한 바 있다. 체포된 김씨는 이후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기다릴 수 있게 보석으로 풀려났다. 그러나 그는 다시 피해자를 괴롭히기 시작했고, 결국 이번 폭력 사건으로 이어졌다고 매체는 전했다.
  • 승진 바라는 직원 성추행 혐의, 정부산하기관 직원 법정구속

    승진 바라는 직원 성추행 혐의, 정부산하기관 직원 법정구속

    승진을 바라는 부하직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정부산하기관 직원이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법조계에 따르면 대전지법 천안지원 형사1단독 공성봉 부장판사는 12일 강제추행 혐의로 불구속기소 된 A 씨(51)에 대해 징역 6개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충남 천안에 있는 정부산하기관에서 근무하던 A씨는 지난 2023년 5월쯤 회식 중 직원 B씨 신체를 만지는 등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회식은 승진에 실패한 B씨 등 2명을 위로하기 위해 마련됐고, 4명이 참석했다. A씨는 추행한 적이 없다며 범행을 부인했다. 공성봉 부장판사는 “당시 참석자들이 추행을 목격하지는 못했지만, A씨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자료가 제출되지 않은 점을 비춰보면 피해자 진술 신빙성을 배척할 만한 것은 아니다”며 “피해자는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며 엄벌을 탄원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해 형을 정했다”고 판시했다.
  • “‘청담동 술자리 의혹’ 제기자들, 한동훈에 총 8000만원 배상해야”

    “‘청담동 술자리 의혹’ 제기자들, 한동훈에 총 8000만원 배상해야”

    한동훈, 손배소 1심서 일부 승소김의겸·더탐사 관계자들 공동 7000만원첼리스트 전 남친 1000만원 배상 명령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이른바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한 김의겸(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새만금개발청장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 1심에서 일부 승소했다. 한 전 대표가 소송을 낸 지 약 2년 8개월 만에 나온 판결이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4부(부장 정하정)는 13일 한 전 대표가 김 청장과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등 7명을 상대로 제기한 10억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김 청장과 더탐사 관계자들이 공동으로 7000만원을 배상하고, 최초 제보자로 알려진 첼리스트 박모씨의 전 남자친구 이모씨는 1000만원을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청담동 술자리 의혹은 2022년 7월 19~20일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한 전 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법무법인 김앤장 변호사 30여명과 청담동의 고급 술집에서 심야 술자리를 가졌다는 내용이다. 김 청장은 국회의원 재직 당시 국정감사에서 해당 의혹을 제기하며 술자리에 있었다는 첼리스트 박씨가 전 남자친구 이씨와 통화한 내용을 공개했다. 박씨는 당시 이씨와의 통화에서 ‘술자리에서 윤 대통령과 한 장관을 봤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해당 녹취를 더탐사에 제보했다. 그러나 박씨는 ‘귀가가 늦은 이유를 남자친구에게 둘러대려 거짓말한 것’이라며 의혹은 허위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더탐사는 관련 의혹을 보도했고, 한 전 대표는 같은 해 12월 김 청장과 더탐사를 허위사실 유포 등 혐의로 고소하고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냈다. 한편 김 청장 등은 해당 의혹과 관련해 지난해 9월 명예훼손 혐의로 형사 재판에 넘겨졌다. 김 청장과 강 전 대표, 이씨 등은 2022년 10월 24일부터 2023년 1월 9일까지 총 19회 유튜브를 통해 술자리 의혹이 사실인 것처럼 허위 내용을 방송해 윤 전 대통령과 한 전 대표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를 받는다.
  • [사설] 초유의 前대통령 부부 동시 구속… 부끄럽고 또 부끄럽다

    [사설] 초유의 前대통령 부부 동시 구속… 부끄럽고 또 부끄럽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구속됐다. 윤 전 대통령은 이미 수감된 상태다. 전직 대통령 부인이 구속된 것도, 전직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구속된 것도 헌정사상 처음이다. 어쩌다 전직 국가원수 부부가 이런 수준의 불명예 기록을 남기는 나라가 됐는지 부끄럽고 참담하기만 하다. 앞서 민중기 특검은 김 여사를 소환조사한 다음날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재판부는 영장 발부 사유로 “증거를 인멸할 염려”를 들었다. 영장에 적시된 혐의는 도이치모터스 주가를 조작한 자본시장법 위반, 명태균씨 청탁으로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한 정치자금법 위반, 건진법사를 매개로 금품을 수수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등 3개다. 그런데 특검이 조사하는 혐의는 삼부토건 주가조작과 코바나컨텐츠 뇌물성 협찬, 채해병 사망 사건 및 세관마약 사건 구명 로비, 양평 공흥지구 인허가 개입 등 무려 16개에 이른다. 김 여사의 구속으로 특검 수사는 더욱 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법원의 구속 결정에는 김 여사의 증거인멸 우려가 주요 근거로 작용했다. 압수수색을 당한 서희건설은 김 여사가 2022년 5월 나토 순방에서 착용했던 문제의 반클리프 아펠 목걸이를 제공했다고 어제 특검에 자수했다. 김 여사가 목걸이를 받아 갔다가 몇 년 뒤 반환했다면서 진품 실물도 특검에 제출했다. 김 여사는 지금까지 그 목걸이를 빌렸다고 했다가 모조품이라고 했다가 말바꾸기 변명으로 일관했다. 오빠의 장모 집에서 확보된 목걸이 가품은 그가 수사에 대비해 미리 바꿔치기 했던 것으로 특검은 판단하고 있다. 구차스러운 증거 인멸 시도까지 했다면 기가 막힌다. 이러고서 특검 포토라인에 서서 “저같이 아무것도 아닌 사람” 운운했으니 국민 공분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윤 전 대통령 재임 동안 빚어진 국정 난맥의 상당 부분은 그와 관련한 의혹에서 비롯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람 잘 날이 없다가 결국 윤 전 대통령의 불법 계엄으로 국정 파탄에까지 이르렀다. 그의 불법행위를 잘 알면서도 묵인하고 방조한 윤 전 대통령도 무거운 책임을 피할 수 없다. 김 여사는 대선 전 허위 이력서 문제로 국민에 사과하면서 “남편이 대통령이 되더라도 아내의 역할에만 충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혐의 내용들을 보면 약속을 지키려는 시늉조차 없이 대통령 취임 전부터 부적절한 처신을 이어갔다. 이제부터 그가 할 일은 하나뿐이다. 지난 잘못을 반성하면서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것이다. 특검은 법 앞에 성역은 없다는 원칙에 따라 의혹을 남김없이 파헤쳐 법의 심판대에 올려야 한다.
  • ‘12·12’ 김오랑 중령, 전사 46년 만에 국가배상 판결

    ‘12·12’ 김오랑 중령, 전사 46년 만에 국가배상 판결

    1979년 12·12 사태 당시 신군부 총탄에 맞아 전사한 김오랑(육사 25기) 중령의 유족에게 국가가 손해를 배상하라는 1심 판단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911단독 유창훈 부장판사는 12일 김 중령의 누나인 김쾌평씨 등 유족 10명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약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국가는 원고 10명에게 총 약 3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배상 결정된 금액은 유족별로 각각 다르게 인정됐다. 12·12 사태 때 정병주 육군 특전사령관의 비서실장이었던 김 중령은 12월 13일 0시 20분쯤 정 사령관을 보호하기 위해 쿠데타군과 총격전을 벌이다 현장에서 사망했다. 지난 2023년 11월 개봉한 영화 ‘서울의 봄’에서 배우 정해인이 연기한 오진호 소령의 실제 모델로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시 신군부 측은 “김 중령이 먼저 사격했다”고 주장하며 김 중령의 사망을 순직으로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 군 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는 “신군부 측이 총기를 난사하며 정 전 사령관을 체포하려 하자 김 중령이 이를 저지하려다 피살됐다”며 이를 전사로 정정했다. 관련법에 따르면 순직은 직무 수행 중 사망한 경우를 의미하고 전사는 적과의 교전 또는 적의 행위로 인한 사망, 무장폭동·반란 또는 그 밖의 치안교란을 방지하려다 사망한 경우를 뜻한다. 김 중령의 모친은 아들을 잃은 뒤 2년 만에 숨졌고 부인 백영옥씨도 사건 직후 충격을 받아 실명한 뒤 1991년 숨졌다. 이후 누나 김씨와 조카들 등 남은 유족 10명이 지난해 6월 소송을 제기했다.
  • 158년 전 제국 땅 밟는 푸틴… 우크라 내 옛 러시아 땅 되찾을까 [글로벌 인사이트]

    158년 전 제국 땅 밟는 푸틴… 우크라 내 옛 러시아 땅 되찾을까 [글로벌 인사이트]

    러 제국, 헐값에 판 알래스카1867년 720만 달러에 美에 넘긴 땅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 장소로푸틴, 전쟁범죄 혐의로 ICC 수배 중美 영토 내에선 체포될 우려도 없어우크라 영토 일부 원하는 러美, 돈바스 등 양도 대가 휴전 중재러, 추가 피해없이 영토 확보 가능성젤렌스키 빼놓고 협상 타결할 수도“우크라·유럽 소외될 우려 더 커져” 부동산으로 큰 돈을 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누구보다 땅의 가치를 잘 알고 있다. 오는 15일(현지시간) 158년 전 러시아가 미국에 헐값에 매각한 알래스카에서 그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일부 영토를 양도하는 대가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하게 된 건 우연이 아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알래스카는 러시아제국의 황제 알렉산드르 2세가 1867년 미국에 720만 달러에 판 땅”이라며 “국경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땅은 국정 운영의 화폐가 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고 짚었다. 푸틴 대통령이 ‘옛 러시아제국 땅’을 밟으면서 러시아의 옛 영토를 되찾는 모습을 보여 줄 수도 있게 됐다는 것이다. 당초 푸틴 대통령은 협상 장소로 제3국인 아랍에미리트(UAE)를 원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를 협상 장소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대통령 외교정책 보좌관은 한술 더 떠 트럼프 대통령에게 2차 미러 회담 장소로 ‘모스크바 답방’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을 위해 양국 기업 간 협력 논의가 계속돼 왔던 만큼 대러 제재 해제 이후 경제 협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알래스카는 푸틴 대통령이 방문하기에 모스크바에서 알래스카 최대 도시인 앵커리지까지 비행기로 약 9시간 걸릴 정도로 가깝고 안전한 곳이다. 로마 규약 당사국이 아닌 미국의 49번째 주인 알래스카에서는 2023년부터 전쟁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수배 중인 푸틴 대통령이 체포될 우려가 없다. 반면 유럽과의 거리는 더 멀어졌다. 제성훈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 전쟁 당사자 격이었던 미국의 지위를 중재자로 재설정하는 데 성공했다”면서도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소외될 우려는 커졌다”고 평가했다. CNN은 “통상 적국과의 정상회담 준비는 최소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리지만, 아직 장소조차 안 정해졌다”면서 “협상 직전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특사가 푸틴 대통령에게 건넨 제안이 ‘우크라이나 영토 양도’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고 짚었다. 위트코프 특사는 현재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돈바스 지역(도네츠크, 루한스크)과 2014년 러시아가 불법 병합한 크림반도를 양도하는 대가로 즉각 휴전에 돌입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입장에서 미국의 제안은 ‘꽃놀이패’나 다름없다. 확보가 시간문제일 뿐인 해당 영토를 평화 협상으로 추가 피해 없이 확보할 수 있어서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동부전선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도네츠크 거점 도시 네 곳(포크롭스크, 코스티안티니브카, 크라마토르스크, 슬로비안스크)이 향후 몇 주 안에 러시아에 포위될 위기라고 미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평가했다. 러시아는 이번 협상에 응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예고한 징벌적 관세 부과 시한인 지난 8일을 그냥 넘기게 됐다. 한국, 유럽 등 미국의 우방은 거세게 압박해 대미투자를 이끌어 낸 트럼프 대통령이 적국엔 관대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동의 없이 협상이 타결되리란 우려도 있다. 우크라이나 영토를 러시아에 양도하는 건 위헌이므로 의회 표결 또는 국민투표를 통해 동의를 얻어야 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회담 소식을 발표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하는 3자 회담 가능성은 배제한 상태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공 이후 8년 만인 2022년 또다시 영토를 침공당한 우크라이나는 ‘영토를 양보하면 침공을 멈추겠다’는 러시아의 말을 믿긴 어려운 입장이다. 흡사 1938년 네빌 체임벌린 당시 영국 총리가 나치 독일에 영토 일부를 내주며 평화를 약속했던 뮌헨협정이 실패로 돌아간 것처럼, 러시아가 휴전 기간 전열을 가다듬고 다시 침공에 나설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언제든 알래스카로 갈 준비가 됐다”면서도 “미국의 안보 보장, 무기 지원 없이 영토 양도는 불가하다”고 밝혔다. 미국의 중재안은 지난 6월 러시아가 제시한 휴전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크렘린은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외에도 자포리자, 헤르손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주권을 인정받길 원한다. 또 우크라이나의 비무장화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금지, 미국 등 외국의 군사 개입 금지, 새 선거 실시를 요구해 왔다. 이에 대한 러시아 측 입장 변화는 없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의 평화를 미국 땅에서 직접 이끌어 냈다’는 장면 연출을 위해 무리수를 뒀다는 비판이 나온다. 2000년 취임한 푸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는 건 이번이 여섯 번째다. 푸틴 대통령은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 재임 시절 네 차례(2001·2003·2005·2007년) 방미해 주로 테러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2010년 이후 방미하는 건 2015년 유엔 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을 만난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미국이 원하는 것을 얻은 경우는 거의 없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전통적으로 외교는 상향식으로 이루어지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 자신만이 회담에서 결정적인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서 “첫 임기 때 북한과 그랬던 것처럼 톱다운식(하향식) 정상 외교의 결과가 공허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에게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 조국 부부 특별 사면에… 조민 “비 와도 마음은 맑음”

    조국 부부 특별 사면에… 조민 “비 와도 마음은 맑음”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고 수감 중인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가 지난 11일 이재명 정부 첫 특별사면·복권 대상에 포함된 가운데, 딸 조민씨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근황을 공개하며 간접적으로 심경을 드러냈다. 12일 조씨는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인스타그램에 근황을 올렸다. 조씨는 이날 부산의 한 휴양시설에서 휴가를 즐기는 사진을 여러 장 게시하며 “비 와도 마음은 맑음”이라고 썼다. 조 전 대표 부부 사면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진 않았지만, 소식을 반기는 심경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에도 조씨는 게시물을 연달아 올렸다. 조 전 대표 부부의 사면 소식이 발표된 지 약 3시간 만인 오후 7시쯤 부산에서 조모와 식사를 마친 뒤 찍은 사진을 올렸다. 광안리 바닷가 등에서 찍은 사진을 여러 장 게재하며 “8월 11일은 저희 결혼 1주년”이라며 “맞벌이라 주말에 1박으로 미리 부산에 다녀왔다”고 했다. 조씨는 지난해 11월 자신의 화장품 브랜드 ‘세로랩스’를 세우고 사업 확장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쪼민 minchobe’ 채널도 운영하며 사업가 겸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이다. 조씨를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사업을 하느라 정신없이 바쁜 생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씨는 조 전 대표 부부와 공모해 서울대 의학전문대학원 입시에 동양대 총장 표창장 등의 허위 서류를 제출한 이른바 ‘입시 비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지난 4월 항소심에서 원심과 같은 벌금 1000만원을 선고받고 형이 확정됐다. 당시 조씨는 “뜻하지 않게 마음에 상처받은 분들께 사과드리고 학생이 아닌 사회인으로서 이전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로 지난해 12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이 확정돼 서울구치소에서 약 7개월간 수감 생활을 했다. 정 전 교수는 딸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을 확정받고 복역 3년 3개월 만인 2023년 9월 가석방됐고, 아들 입시 비리 혐의로 추가 기소돼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확정됐다.
  • [단독] ‘임신중지 약 합법화’… 국정과제 추진한다

    [단독] ‘임신중지 약 합법화’… 국정과제 추진한다

    정부, 법·제도 개선안 국정위에 보고산부인과→여성의학과 명칭 변경 정부가 ‘미프진’ 등 임신중지(중절) 약물 합법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한다. 2019년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입법 공백 속에서 불법 유통되던 약물이 제도권에 편입되면 여성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임신중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종교계의 반발이 커 법 개정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12일 국회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러한 임신중지 관련 법·제도 개선 계획을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으며, 이르면 다음주 국무회의에 상정되는 세부 국정과제에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임신중지 약은 임신 10주 이내 초기 단계에서 사용하는 약물을 뜻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5년 필수 의약품으로 지정했다. 100여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불법이며, 수년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 허가를 받지 못했다. 현행 모자보건법은 임신중지 방법을 ‘수술’로 한정하고 유전 질환·성폭력·근친 임신 등 제한적 사유에서만 임신 24주 이내 낙태를 허용한다. 약물 사용에 관한 규정은 없다. 법적으로 임신중지가 더는 범죄가 아니지만 이를 보장할 공적 시스템이 부재해 여성의 판단과 결정에 기반한 안전한 임신중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병원에서 처방받을 수 없어 상당수 여성이 온라인 불법 거래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741건이 적발됐으며 성분이 불분명한 제품도 적지 않았다. 이로 인해 건강 피해 위험이 크고 불법 유통업자들의 배만 불리는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임신중지 약물 합법화를 담은 모자보건법 개정안이 발의돼 있으며 국정과제 발표를 계기로 입법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2대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이수진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개정안은 사유 제한 없이 인공 임신중지를 허용하고 수술뿐 아니라 약물 사용도 가능하도록 했다. 인공 임신중지에 건강보험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 조항도 포함했다. 그러나 종교계와 일부 의료계의 반대는 여전하다. 21대 국회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제출됐지만 종교계 반발 속에 논의가 진전되지 못한 채 폐기됐다. 대한의사협회는 “임신중절 의약품은 대량 출혈과 극심한 복통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불완전 유산 때는 추가 처치가 필요하다”며 반대 입장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문위원도 21대 국회 당시 “WHO는 임신 9주 이내의 안전성과 효과만 권고하고 있어 임신 주수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에도 관련 정책이 부재한 것은 여성 인권의 침해”라며 “임신중지 의약품을 도입해 필수 의약품으로 지정하라”고 정부에 권고했다. 한편 정부는 산부인과 명칭을 ‘여성의학과’로 변경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임신·출산 중심 진료과라는 인식 탓에 청소년을 비롯한 미혼 여성이 주위 시선을 우려, 방문을 꺼리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다. 2002년 마취과가 ‘마취통증의학과’로 개명해 진료 범위를 넓힌 사례처럼 유사한 효과가 기대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2022년)에 따르면 청소년 응답자의 22.1%가 월경 이상 증상이 있어도 ‘임신 등 주변의 오해’를 우려해 산부인과 진료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 “김영선 공천 정해놨던 느낌”…명태균 의뢰 여론조사 PNR 대표 법정 증언

    “김영선 공천 정해놨던 느낌”…명태균 의뢰 여론조사 PNR 대표 법정 증언

    명태균(55)씨에게 의뢰받아 윤석열 전 대통령 등 주요 정치인 여론조사를 시행한 여론조사업체 대표가 “(2022년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김영선 전 의원 전략공천이 정해져 있었듯 했다”는 취지의 증언을 했다. 윤 전 대통령이 공천 발표 전날인 2022년 5월 9일 명씨와의 통화에서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 좀 해줘라 했는데 당에서 말이 많다”고 말한 것에서 보듯, 윤 전 대통령 부부 등 입김이 일찌감치 공천에 영향을 미쳤고 사실상 결과가 정해져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지점이다. 12일 창원지법 형사4부(재판장 김인택)는 명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 등 5명에 대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공판을 열었다. 이날 공판에는 명씨 의뢰로 윤석열 전 대통령 등 주요 정치인 여론조사를 했던 여론조사업체 피플네트웍스(PNR) 서명원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김영선 전 의원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씨 의뢰로 2022년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창원의창 선거구 여론조사를 한 것을 두고 “조사 내용이 평범하지 않았다”며 “경선 과정에서는 당내 후보 지지도가 중요한데 당시 김 전 후보와 민주당 후보의 1대 1 대결 조사를 맡겼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내 공천 후보 간 경쟁력을 비교하는 게 아니고 민주당 후보와 지지도가 10% 차이가 난다고 해서 그걸 근거로 후보자를 추천한다는 것은 아닌 듯했다”며 “제 느낌에는 일단 전략공천은 정해놨는데 나중을 위해 백데이터를 만들어 놓는 게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명태균이 이준석 당시 당 대표를 만나 전략공천을 부탁했고 이준석이 민주당 후보보다 10% 앞서는 결과를 가져오면 힘써보겠다고 했다’는 말을 강씨에게 들었다”고 증언했다. 미래한국연구소 측이 의뢰해 진행된 여론조사 비용 지급에 ‘김건희 여사’가 관계돼 있었다는 취지의 증언도 있었다. 미등록 여론조사 업체였던 미래한국연구소는 공표용 여론조사는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공표용 여론조사를 할 때면 PNR에 의뢰해 진행했다. 다만 미수금 문제가 불거지자 서 대표와 미래한국연구소는 ‘각서’를 쓰기에 이르렀다. 지난해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각서에는 ‘미래한국연구소에서는 당시 윤석열 대통령 후보의 부인인 김건희에게 돈을 받을 게 있으며 대선 중이라서 받는 게 어려우니 대선 이후 김건희에게 돈을 받아 미수금을 모두 변제한다고 약속하며 해당 금액 6215만원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고 적혀 있다. ‘만약 해당 내용이 허위이면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기로 약속한다’거나 ‘2022년 12월 31일까지 미수금 변제가 안 될 경우 PNR은 미래한국연구소에 대해 사기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통보함’이라는 내용도 있었다. 각서 아래 서명란에는 미래한국연구소 실무자였던 강혜경씨와 서 대표 지장이 각각 찍혀 있었다. 검찰은 서 대표에게 각서 내용을 언급하며 ‘미수금을 어디서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느냐’고 물었고 서 대표는 “강혜경씨를 압박하면 강씨가 김태열 전 미래한국연구소장이나 명씨에게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짐작했다”고 증언했다. 검찰은 각서에 ‘당시 윤 대통령 후보 부인인 김건희씨에게 돈 받을 게 있으며’라고 적힌 경위도 물었다. 서 대표는 “강씨에게 비용을 누가 줄 건지 다그쳤을 때 ‘김건희 쪽’이라고 이야기했었다”고 답했다. 이 사건 다음 공판은 25일 열릴 예정이다.
  •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 홍남표 전 창원시장·조명래 전 부시장 재판행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 홍남표 전 창원시장·조명래 전 부시장 재판행

    2022년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홍남표 전 경남 창원시장과 조명래 전 창원시 제2부시장이 재판에 넘겨졌다. 창원지검은 홍 전 시장과 조 전 부시장, 선거캠프 관계자 A, B씨를 각각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고 12일 밝혔다. 또 이들에게 선거 자금 명목으로 정치자금을 기부한 C씨 등 12명을 같은 혐의로 약식 기소했다. 홍 전 시장 등 4명은 2022년 창원시장 선거 당시 공모해 C씨 등 12명에게 선거자금 명목으로 3억 5300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는다. B씨는 홍 전 시장 선거를 돕고자 선거 사무실 운영비와 활동비 명목으로 4200만원을 대신 지출하고 홍 전 시장은 이를 기부받은 혐의도 있다. B씨는 또 조 전 부시장의 국회의원 선거운동을 위한 모임 관련 사무실 보증금과 월세 등 명목으로 2956만원을 대신 지출하고 조 전 부시장은 이를 기부받은 혐의도 받는다. 이와 함께 검찰은 B씨와 조 전 부시장이 조 전 부시장 오피스텔 월세와 중개 수수료 등 1037만원을 주고받은 혐의도 있다고 봤다. 홍 전 시장은 2022년 6·1지방선거 국민의힘 당내 경선 과정에서 후보를 매수한 혐의로 지난 4월 3일 대법원에서 당선무효형을 확정받고 직을 상실했다. 조 전 부시장은 3년 임기를 마치고 지난달 말 퇴임했다. 조 전 부시장은 홍 전 시장 선거 캠프에서 핵심 관계자로 활동했다. 홍 전 시장 당선 직후에는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취임 후에는 창원시 제2부시장직을 맡았다.
  • “집에 있나 찾아보세요”…99만원까지 치솟은 ‘추억의 물건’

    “집에 있나 찾아보세요”…99만원까지 치솟은 ‘추억의 물건’

    1990년대 큰 인기를 끌었던 장난감 다마고치가 젊은 층 사이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반다이남코코리아에서 선보인 ‘다마고치 파라다이스’는 출시 직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반다이남코코리아 온라인 쇼핑몰인 ‘반다이남코코리아몰’에서 모든 모델이 품절됐다. 지난달 15일 서울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열린 팝업스토어는 개장 전부터 수백명이 줄을 섰으며 첫날에만 600여개가 판매됐다. 이후에도 하루 평균 300여개씩 팔렸고 15일 만에 준비된 모든 물량이 완판됐다. 품절 대란이 이어지자 웃돈을 주고 구매하겠다는 사람이 늘며 재판매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에 따르면 2019년에 출시된 ‘다마고치 썸 메르헨 핑크’는 정가 5만4900원보다 7배 이상 비싼 40만9000원에 거래된다. 같은 해 발매된 ‘다마고치 썸 매지컬 퍼플’도 32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는 다마고치 한정판 제품이 80만원에 판매되기도 했다. 지난 10일 중고 거래 플랫폼 중고나라에는 “다마고치 미츠 산리오 구해요! 색상 상관없어요”라며 99만9999원에 구매하겠다는 글이 올라와 화제를 모았다. 1996년 일본 완구 기업 반다이남코에서 출시한 다마고치는 휴대용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알에서 태어난 캐릭터를 먹이고 놀아주며 기르는 방식으로 다양한 진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최근에는 캐릭터를 키우는 것뿐만 아니라 케이스, 스티커 등으로 기기를 꾸며 소셜미디어(SNS)에 공유하는 문화가 유행했다. 그룹 에스파의 멤버 카리나는 팬 소통 플랫폼을 통해 다마고치 성장 과정을 공유했으며, 그룹 스트레이키즈와 그룹 샤이니의 키는 다마고치와 협업해 굿즈로 출시하기도 했다.
  • ‘전처 딸 파양’ 김병만 측 “패륜 행위”라더니…“상처받지 않길”

    ‘전처 딸 파양’ 김병만 측 “패륜 행위”라더니…“상처받지 않길”

    최근 전처의 딸과 법적 부녀 관계를 끊은 방송인 김병만 측이 당초 “딸의 패륜 행위가 인정된 것”이라고 해명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김병만의 소속사 스카이터틀은 지난 11일 입장문을 내고 “파양 소송 판결문에 ‘패륜 행위가 인정됐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발언은 하지 않았다”면서 “판결문의 해석에서 온 차이이며 이 해석에 대해 혼란을 드린 부분이 있다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가정법원은 지난 8일 김병만이 전처의 딸 A씨를 상대로 낸 친양자 파양 청구 소송에서 양부·친양자 관계를 소멸하는 판결을 내렸다. 김병만은 지난 2011년 B씨와 혼인신고를 했으며 A씨를 친양자로 입양했다. 이후 2020년 B씨와 이혼한 김병만은 두 차례에 걸쳐 A씨에 대한 파양 청구 소송을 냈으나 기각됐고, 세 번째 청구한 끝에 법적 부녀 관계를 청산하게 됐다. 현행 민법은 친양자 파양 요건으로 ▲양친이 친양자를 학대 또는 유기하거나 그 밖에 친양자의 복리를 현저히 해하는 때 ▲친양자의 양친에 대한 패륜 행위로 인해 친양자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 때 등 두 가지만 규정하고 있다. 또 협의에 의한 파양을 인정하지 않으며 재판을 통한 파양만 가능하다. 이에 소속사 측은 언론에 “전처 딸의 무고로 인한 패륜 행위가 인정돼 파양됐다”는 설명을 전했으나, 이에 대해 진화에 나선 것이다. 스카이터틀은 승소 판결을 받은 것에 대해 “현재 만25세를 넘긴 자녀에 대한 복리 차원과 서로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병만씨는 이 판결로 인해 전처의 딸이 더 이상 상처받는 일이 없기만을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무죄→유죄’ 돌변 권도형, 친암호화폐 트럼프의 사면 노리나

    ‘무죄→유죄’ 돌변 권도형, 친암호화폐 트럼프의 사면 노리나

    트럼프 2기 정부가 ‘암호화폐 친화 정책’을 펼치면서 미국으로 송환돼 형사재판을 받는 권도형 테라폼랩스 설립자가 기존 무죄를 주장했던 입장을 바꿔 유죄를 인정할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는 뉴욕 남부지방법원의 폴 엥겔마이어 판사가 12일(현지시간) 권씨의 심리 일정을 정하며 “피고가 유죄 인정 변경을 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권씨는 해외 도피 도중 지난 2023년 3월 몬테네그로에서 위조 여권 사용으로 체포됐다. 한국과 미국이 서로 권씨의 신병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다 최종적으로 체포 1년 9개월 만인 지난해 12월 미국으로 신병이 넘어갔다. 뉴욕 남부연방지검은 2023년 권씨가 몬테네그로에서 검거되자 증권사기, 통신망을 이용한 사기, 상품사기, 시세조종 공모 등 총 8개 혐의로 기소했다. 8개 혐의가 모두 인정되면 권씨는 최대 130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 권씨는 지난해 6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제기한 소송에서 민사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벌금과 불법 수익금 환수금으로 45억 달러(약 6조 2500억원)를 지불하란 명령을 받았다. 2022년 5월 암호화폐 테라·루나 폭락 사태로 400억 달러(약 55조원)가 증발했지만, 권씨는 그동안 무죄를 주장했다. 미국으로 이송된 권씨는 지난 1월 초 판사가 유죄 여부를 묻는 기소인부 심리에 출석해 자신이 받는 범죄 혐의에 대해 모두 무죄라고 밝혔다. 권씨 사건의 본 재판은 내년 2월에야 개시될 예정이었는데, 유죄를 인정하고 사면받으면 훨씬 빨리 자유의 몸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앞서 미 의회는 지난달 스테이블 코인의 규제 틀을 마련하는 ‘지니어스법’(Genius Act)을 통과시켰다. 권씨 재판을 담당하는 엥겔마이어 판사는 지난 6월 재판 전 협의에서 지니어스법의 영향에 대해 질의했고, 권씨 측 변호사는 “당연히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권씨가 내년 이후에야 결론이 나오는 정식 재판 절차를 포기하고 갑자기 유죄 인정으로 입장을 바꿈에 따라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사면을 노린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이 증거 개시 과정에서 6테라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힌 뒤 재판은 내년 초로 연기된 바 있다. 검찰은 지난 1월 첫 재판 전 협의에서 방대한 증거자료와 암호화된 데이터 해독, 권씨 등이 작성한 한국어 통신자료 번역 필요성 등을 들어 충분한 일정을 달라고 요청했고 판사는 이를 수용했다. 권씨는 미국으로 송환된 뒤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를 주장했으며, 약 8개월 동안 보석 없이 구금된 상태다.
  • 사찰 주지 자리 꿰차려고 문서 위조한 승려…벌금 100만원

    사찰 주지 자리 꿰차려고 문서 위조한 승려…벌금 100만원

    문서를 위조해 공석인 사찰의 주지 자리에 오르려고 한 승려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 대구지법 형사10단독 (부장 허정인)은 사문서위조 등의 혐의로 기소된 승려 A(여·56)씨에게 벌금 100만원을 선고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 불교 태고종 소속 승려인 A씨는 2022년 5월 대승종 소속 승려 B씨로부터 전북 남원에 있는 한 사찰의 운영권을 위임받아 업무를 대행하던 중 공석인 주지 자리를 맡기 위해 사찰의 사업자등록 명의를 자신으로 바꾸기 위해 정관 등을 조작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부는 “사찰 명의의 정관을 임의로 작성하고 위조된 정관을 지역 세무서에 제출해 사업자 대표를 본인으로 변경하려 하는 등 사안이 가볍다고 볼 수 없다”며 “다만, 해당 사찰에는 다른 주지가 임명돼 정상화의 길을 걸으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피고인이 동종 범행으로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없는 점 등을 종합했다”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 [단독] 李정부, 임신 중지 약물 합법화 추진…산부인과는 ‘여성의학과’로

    [단독] 李정부, 임신 중지 약물 합법화 추진…산부인과는 ‘여성의학과’로

    이재명 정부가 임신 중지(낙태) 약물 합법화를 추진한다. 임신을 연상시키는 ‘산부인과’ 명칭은 ‘여성의학과’로 바꾸고,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인 HPV(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대상은 남성 청소년까지 넓힌다. 12일 서울신문 취재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보고서에는 여성의 성·재생산 건강권을 위한 세부 과제로 ‘임신 중지 약물 도입’과 ‘임신 중지 법·제도 추진’이 명시됐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임신 중지는 합법도 불법도 아닌 상태다. 2019년 헌법재판소가 형법상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지만 후속 입법이 이뤄지지 않아 6년째 입법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여성들은 불법 유산 유도제를 온라인 등을 통해 구매하거나, 비공식적 경로를 통해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야 하는 실정이다. 정부는 임신 중지가 가능한 주수 등을 명확히 규정한 법안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하고 합법적인 약물 접근성을 보장한다는 구상이다. 산부인과 명칭을 여성의학과로 변경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의료계는 산과와 부인과를 합친 ‘산부인과’라는 이름이 임신과 출산을 떠올리게 해 젊은 여성이나 청소년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실제로 산부인과는 월경장애, 자궁·난소 질환, 여성 암 검진 등 출산과 무관한 여성 질환 전반을 다루고 있다. 2022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월경 이상 증상을 겪은 청소년(13~18세)의 8.7%, 초기 성인(19~39세)의 25.3%만 병원을 찾았다고 답했다. 특히 청소년의 22.1%는 ‘임신 등 주변의 오해’를 산부인과 진료 기피 이유로 꼽았다. 아울러 HPV 백신 무료 접종 대상을 남성 청소년까지 확대한다. HPV는 자궁경부암뿐 아니라 구강암, 항문암 등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큼 성별 구분 없는 예방 접종이 필요하다는 요구에 따른 것이다. 현재 4가 백신(가다실) 무료 접종 대상은 여성 청소년(만 12~17세 이하)과 저소득층 여성(만 18~26세 이하)이다.
  • NewJeans 在活动暂停期间对“性骚扰YouTuber”胜诉...获赔3000万元

    NewJeans 在活动暂停期间对“性骚扰YouTuber”胜诉...获赔3000万元

    尽管女子组合NewJeans目前处于令人遗憾的活动暂停状态,但她们仍然传来了一个具有意义的新闻:她们在与制作针对成员们的性骚扰和恶意内容的YouTuber的损害赔偿诉讼中获得了部分胜诉判决。 据法律界11日消息,首尔西部地方法院民事13单独审判长李亚英(音译)于6月25日对NewJeans成员们针对YouTuber申某提起的1亿韩元规模的损害赔偿请求诉讼作出了部分胜诉判决。 审判长命令申某向Minji、Hanni、Danielle分别支付500万韩元,向Haerin、Hyein分别支付700万韩元。因此,NewJeans将获得总共3100万韩元的赔偿金。 申某在2024年4月至5月期间运营了两个YouTube频道,被指控制作了20多个性骚扰视频,其中包括对NewJeans的热门歌曲《Cookie》进行性扭曲,以及以性行为联想的方式表现成员们手持麦克风的场景。此外,他还发布了针对未成年成员的令人震惊的恶意评论,例如“想让你成为多子多孙的妈妈”。 目前,NewJeans因与所属经纪公司ADOR的法律纠纷而暂停了活动。自去年11月宣布与ADOR解除专属合约以来,ADOR对成员们提起了专属合约有效确认诉讼,并同时申请了维持经纪公司地位及禁止签订广告的临时处分。 法院同意了ADOR的所有临时处分申请,并命令如果成员们在未与ADOR协商的情况下进行独立活动,将需支付每件10亿韩元的违约金。NewJeans与ADOR的专属合约有效确认诉讼的相关调解日期定于本月14日举行。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뉴진스, 활동 중단 속 ‘성희롱 유튜버’에 승소…3000만원 배상 판결 그룹 뉴진스가 활동 중단이라는 아쉬운 상황 속에서도 의미 있는 소식을 전해왔다. 멤버들을 향한 성희롱 및 악성 콘텐츠를 제작한 유튜버와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은 것이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법 민사 13단독 이아영 판사는 지난 6월 25일 뉴진스 멤버들이 유튜버 신 모씨를 상대로 제기한 1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신씨에게 민지, 하니, 다니엘에게 각각 500만 원, 해린, 해인에게 각각 700만 원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이로써 뉴진스는 총 3100만원의 배상금을 지급받게 됐다. 신씨는 2024년 4월부터 5월까지 두 개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뉴진스의 히트곡 ‘Cookie’를 성적으로 왜곡하고, 멤버들이 마이크를 잡는 모습을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의미로 표현하는 등 20여개의 성희롱 영상을 제작한 혐의를 받았다. 또한 미성년자인 멤버들을 향해 “다둥이 엄마로 만들어주고 싶다”는 등 충격적인 악성 댓글을 게시한 사실도 드러났다. 현재 뉴진스는 소속사 어도어와의 법적 분쟁으로 인해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해 11월 어도어와의 전속계약 해지를 선언한 이후, 어도어는 멤버들을 상대로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과 함께 기획사 지위 보전 및 광고 체결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법원은 어도어의 가처분 신청을 모두 인용했으며, 멤버들이 어도어와 협의 없이 독자적인 활동을 할 경우 건당 10억 원의 위약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명령했다. 뉴진스와 어도어의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 관련 조정 기일은 이달 14일 열릴 예정이다.
  • NewJeans 在活动暂停期间对“性骚扰YouTuber”胜诉...获赔3000万元

    NewJeans 在活动暂停期间对“性骚扰YouTuber”胜诉...获赔3000万元

    尽管女子组合NewJeans目前处于令人遗憾的活动暂停状态,但她们仍然传来了一个具有意义的新闻:她们在与制作针对成员们的性骚扰和恶意内容的YouTuber的损害赔偿诉讼中获得了部分胜诉判决。 据法律界11日消息,首尔西部地方法院民事13单独审判长李亚英(音译)于6月25日对NewJeans成员们针对YouTuber申某提起的1亿韩元规模的损害赔偿请求诉讼作出了部分胜诉判决。 审判长命令申某向Minji、Hanni、Danielle分别支付500万韩元,向Haerin、Hyein分别支付700万韩元。因此,NewJeans将获得总共3100万韩元的赔偿金。 申某在2024年4月至5月期间运营了两个YouTube频道,被指控制作了20多个性骚扰视频,其中包括对NewJeans的热门歌曲《Cookie》进行性扭曲,以及以性行为联想的方式表现成员们手持麦克风的场景。此外,他还发布了针对未成年成员的令人震惊的恶意评论,例如“想让你成为多子多孙的妈妈”。 目前,NewJeans因与所属经纪公司ADOR的法律纠纷而暂停了活动。自去年11月宣布与ADOR解除专属合约以来,ADOR对成员们提起了专属合约有效确认诉讼,并同时申请了维持经纪公司地位及禁止签订广告的临时处分。 法院同意了ADOR的所有临时处分申请,并命令如果成员们在未与ADOR协商的情况下进行独立活动,将需支付每件10亿韩元的违约金。NewJeans与ADOR的专属合约有效确认诉讼的相关调解日期定于本月14日举行。 周雅雯 通讯员 주아문 통신원 뉴진스, 활동 중단 속 ‘성희롱 유튜버’에 승소…3000만원 배상 판결 그룹 뉴진스가 활동 중단이라는 아쉬운 상황 속에서도 의미 있는 소식을 전해왔다. 멤버들을 향한 성희롱 및 악성 콘텐츠를 제작한 유튜버와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은 것이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서부지법 민사 13단독 이아영 판사는 지난 6월 25일 뉴진스 멤버들이 유튜버 신 모씨를 상대로 제기한 1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신씨에게 민지, 하니, 다니엘에게 각각 500만 원, 해린, 해인에게 각각 700만 원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이로써 뉴진스는 총 3100만원의 배상금을 지급받게 됐다. 신씨는 2024년 4월부터 5월까지 두 개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뉴진스의 히트곡 ‘Cookie’를 성적으로 왜곡하고, 멤버들이 마이크를 잡는 모습을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의미로 표현하는 등 20여개의 성희롱 영상을 제작한 혐의를 받았다. 또한 미성년자인 멤버들을 향해 “다둥이 엄마로 만들어주고 싶다”는 등 충격적인 악성 댓글을 게시한 사실도 드러났다. 현재 뉴진스는 소속사 어도어와의 법적 분쟁으로 인해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해 11월 어도어와의 전속계약 해지를 선언한 이후, 어도어는 멤버들을 상대로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과 함께 기획사 지위 보전 및 광고 체결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법원은 어도어의 가처분 신청을 모두 인용했으며, 멤버들이 어도어와 협의 없이 독자적인 활동을 할 경우 건당 10억 원의 위약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명령했다. 뉴진스와 어도어의 전속계약 유효확인 소송 관련 조정 기일은 이달 14일 열릴 예정이다.
  • ‘공기업 중처법 1호’ 석탄공사 전 사장 무죄

    ‘공기업 중처법 1호’ 석탄공사 전 사장 무죄

    공기업 대표로는 처음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원경환(64) 전 대한석탄공사 사장이 1심 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춘천지법 영월지원 형사1단독 진영현 부장판사는 12일 원 전 사장의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산업재해치사 혐의 사건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원 전 사장을 법정에 서게 한 사건은 2022년 9월 14일 오전 9시 45분쯤 강원 태백에 위치한 석탄공사 장성광업소 갱도에서 발생했다. 당시 부장급 광부 A(45)씨가 장성광업소 지하갱도 내 675m(해발 600m·해수면 아래 75m) 지점에서 석탄과 물이 죽처럼 뒤섞인 ‘죽탄’에 휩쓸려 숨졌고, 검찰은 갱내의 출수(出水) 관리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혐의로 2023년 12월 원 전 사장을 재판에 넘겼다. 광산안전법 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원 전 사장과 함께 기소된 장성광업소 직원 2명에게도 무죄가 내려졌다. 법인격인 대한석탄공사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과 광산안전법 위반 혐의도 인정하지 않았다.
  • 3·15의거 피해자 유족, 국가 상대 손해배상 승소…정신적 피해 배상 인정

    3·15의거 피해자 유족, 국가 상대 손해배상 승소…정신적 피해 배상 인정

    1960년 3·15의거 당시 경찰에게 폭행과 고문을 당한 피해자 유족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민사 소송에서 승소했다. 3·15의거 진상규명 사례 466건 중 정신적 피해 위자료 지급과 관련해 국가 책임이 인정된 첫 사례다. 12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창원지법 마산지원 민사4단독 강세빈 부장판사는 지난 2월 원고인 3·15 피해자 A씨의 유족이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했다. A씨 유족은 국가의 위법하고 부당한 공권력 행사로 인권 침해가 발생했다는 취지로 위자료 1770만원 지급을 청구했다. 법원은 국가가 1166만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원고와 피고 모두 항소하지 않아 지난 3월 확정됐다. 경남 창원시(옛 마산시)에서 한의원을 운영하던 A(당시 52세)씨는 1960년 3·15의거 때 시위에 참석했다가 주모자로 몰려 부인과 함께 체포됐다. 부모가 체포됐다는 소식에 오동동 파출소를 찾았던 A씨 딸도 경찰관에게 폭행당했다. 이후 A씨는 마산경찰서 오동동 파출소에서 구타당하거나 고문받고 허위 자백한 뒤 소요죄로 검찰에 송치됐으나 검찰은 당시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다. A씨와 딸은 2004년과 2010년 국가유공자법에 규정된 4·19혁명 공로자로 등록됐다. A씨와 A씨 부인은 1986년과 1984년에 각각 사망했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22년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 침해가 있었던 사실이 확인된다며 두 사람 피해 사건을 진실 규명 결정했다. 재판부는 “A씨는 시위 참여자라는 이유로 적법한 절차 없이 체포돼 구금되고 고문당하는 등 피해를 보았다고 할 수 있다”며 “이와 같은 대한민국 공무원 행위는 기본적 인권을 보호할 의무를 위반한 행위일 뿐 아니라 헌법에 보장된 신체의 자유와 생명권, 적법 절차에 따라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이므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시했다. 3·15의거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일어난 최초의 유혈 민주화 운동이다. 1960년 3월 15일 이승만 정권이 자행한 부정선거에 항거해 옛 마산시(현 창원시)에서 일어났다. 당시 마산 중앙부두에 떠오른 중학생 김주열 열사의 참혹한 주검은 언론을 통해 알려졌고 이는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3·15의거일은 2010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돼 2011년부터 매년 국가보훈부 주관으로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