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與 ‘지속가능한 정당’되어야/이덕연 연세대 헌법학 교수
헤어짐과 만남, 모임과 흩어짐. 깊어가는 가을에 이합집산의 짝짜꿍이가 한창이다. 바닷가 모래 이야기가 아니다. 뒷산 숲길에 나뒹구는 낙엽 얘기도 아니다. 사람들 얘기다. 그런데 그 사람들이 편가르기 장난을 노는 동네 꼬마녀석들이 아니다. 쉽게 삐치고 바로 깔깔대며 풋사랑을 하는 철부지 연인도 아니다. 최고의 정치엘리트인 국회의원, 그것도 대통령과 함께 국정운영을 주도하는 여당, 열린우리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얘기다.
이런저런 이유를 대지만, 현재의 정치판이 계속되는 한 정권 재창출의 꿈을 접을 수밖에 없다는 절망적인 상황인식과 전망 때문이다. 창당일이 2003년 11월11일이니 딱 3년만이고,17대 총선 압승으로 창당 5개월만에 152석의 과반다수당이 된 때로 치면 대략 2년 반만의 급반전이다.
10% 초반의 수준인 대통령 지지율이나 재보궐선거 0대 40 참패의 기록을 보면, 현 상황에서 당체제 보수와 체질개선을 통해 자체적으로 추동력을 보완하고, 새 동력원을 개발할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
어쨌든 ‘재창당파’와 ‘통합신당파’간에 나날이 심해지는 분란은 별 어려움 없이 내다보였던 모습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정치평론가들을 꽤나 머쓱하게 만들었을 예정된 사태라고 할 수 있다.
이승만과 자유당, 박정희와 공화당, 전두환과 민정당, 노태우와 민자당, 김영삼과 신한국당, 김대중과 민주당. 한결같이 대통령과 여당이 함께 명멸했던 여당사(與黨史)에 비추어 보면 전혀 이례적인 현상은 아니다. 다만 참여정부 출범에서 찾았고 또 기대했던 각별한 정치사적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보면 아쉽고 안타까울 뿐이다.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정치이념과 정책노선에 대한 구구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적어도 진보 성향의 정치세력이 최초로 집권한 것 자체와, 젊고 도덕적 정당성에서 우위에 있던 민주화운동 인사들이 단숨에 여당 주도세력으로 제도권에 대거 진입한 것은 우리 정치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사건의 하나였다.
숱한 우여곡절 속에 세기를 넘어, 지천명(知天命)의 중반에 이른 우리 헌정사에서 처음으로 보수와 진보 진영이 함께 참여하는 명실상부한 정치를 펼칠 수 있는 필요조건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가슴 설레면서 건 기대가 적지 않았다. 열린우리당이 제1의 강령으로 제시한 것도 ‘새로운 정치’였다.
군부 권위주의 정권을 논외로 한다면, 사실상 우리나라에서 여당과 야당이 ‘정치시장’에서 공정한 자유경쟁을 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다.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국회와 여당이 독자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제 역할을 하는 파트너로서 ‘견제와 균형’의 관계를 만들어 나간 것도 참여정부에서 비로소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민주정치 발전을 위해서 지금 가장 절실한 것은 ‘사라지는 대통령’과 관계없이 여당이 ‘지속가능한 정당’으로 남는 것이다. 국정운영의 성패 경험과 그 책임을 공유하면서 재집권 희망을 살려 나가고, 실권의 쓰라림까지도 함께 나눌 수 있는 여당, 당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정치철학과 이념, 주요 정강정책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는 여당의 존재 자체이다.
찰스 디킨스는 소설 ‘피크빅 신문’에서 바람에 벗겨져 굴러다니는 모자를 잡기 위해서는 비상한 판단력이 필요하다면서 그 방법을 친절하게 일러준다.
“너무 성급하면 모자가 있는 곳을 지나쳐서 넘어지게 되고, 너무 천천히 가면 모자는 저만치 날아가 버린다. 최선의 방법은 추적의 대상인 모자와 가능한 한 일직선상에 머무르면서,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때를 기다리다가, 서서히 다가가서 잽싸게 손을 뻗쳐서, 모자챙을 잡아채어 머리에 꽉 눌러쓴다. 그러는 과정 중에 계속 웃는 것이 좋다. 구경꾼들과 마찬가지로 모자를 잡기 위한 모든 일에 똑같이 재미를 느끼는 것처럼.”
생물인 정치에서도 빠름과 느림, 움직임과 머무름의 조화, 그것이 관건이다.
이덕연 연세대 헌법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