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듯 다른 쇼팽 치는 두남자, 윤디 리 - 김원
슈만, 쇼팽 등 낭만주의 음악을 다른 느낌으로 맛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탁월한 테크닉을 바탕으로 한 정열적인 연주로 유럽 무대에서 사랑받는 피아니스트 김원이 10일부터 6개 도시를 돌며 국내 첫 독주회를 갖는 데 이어 실력과 함께 ‘꽃미남 피아니스트’로 인기가 높은 중국의 윤디 리가 6년 만에 독주회를 여는 것. 쇼팽의 ‘안단테 스피아나토와 화려한 대 폴로네이즈’를 공통분모로 하고 있어 두 사람이 이를 어떻게 표현할지 기대를 갖게 한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 서정 - 쇼팽콩쿠르 1위 中 윤디 리 내한 독주회
“혼자 무대에 오르는 독주회는 나만의 색깔을 입힌 연주를 보여줄 수 있다는 특별함이 있죠. 한국 관객을 위해 연주하는 것은 늘 즐겁지만 이번 리사이틀은 정말 오랜만이라 더 기대됩니다. 많은 분들과 아름다운 음악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중국의 스타 피아니스트 윤디 리(27)는 6년 만에 갖는 내한 독주회를 앞두고 이메일로 기대감을 드러냈다.
윤디 리는 2000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14회 쇼팽 국제콩쿠르에서 15년간 공석이었던 1위에 최연소로 우승하면서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그와 쇼팽을 떨어뜨려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아는 듯 그는 이번에도 쇼팽을 중심으로 슈만-리스트의 ‘헌정’,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등을 연주한다. 여기에 중국 현대 작곡가인 지안총왕의 ‘5개의 운남 민요’를 추가했다.
많은 인터뷰에서 중국 문화를 소개하고 싶다는 의견을 비쳤던 그는 결국 당초 프로그램에 있던 모차르트 소나타 대신 운남 민요를 택했다. “운남 지방은 중국에서 가장 이국적인 동네”라면서 “새로운 음악을 들려드릴 수 있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존경하는 연주자를 묻자 그는 “호로비츠, 루빈스타인 등이 모두 나에게는 우상과 같다.”고 말했다. “그들이 지닌 각자의 연주 스타일, 그들의 연주 자체를 높게 평가하며 음악가로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이끈 분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매우 존경한다.”고 강조한 그는 “이런 연주자들의 영향으로 지금 내가 속한 세대나 그 다음 세대의 피아니스트들은 이전과 다른, 어쩌면 더 업그레이드된 연주 스타일을 지닐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하겠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긴 어렵습니다. 새로운 세대와 새로운 관객에게 영감을 주는 연주를 펼치는 것이 나의 근본적이고 총괄적인 목표인 것은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윤디리 리사이틀은 15일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과 18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 정열 - 해외 유학파 김원 10일 첫 고국 독주회
“공연마다 관객이 편하게 듣고 즐길 수 있는 시간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특히 이번 독주회는 찬찬히 경력을 쌓아가고 있는 30대 연주자의 모습을 알리는 계기도 되길 바랍니다.”
유럽에서 활동 중인 피아니스트 김원(37)은 첫 고국 독주회에 이같은 의미를 부여했다.
김원은 같은 길을 가고 있는 김석(72) 경희대 명예교수의 아들로, 일곱 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 예원학교 재학 중 미국으로 건너가 줄리어드 음대 예비학교를 수석 졸업했다.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수학한 그는 1995년 마리아 카날스 국제콩쿠르 1위, 차이콥스키 국제콩쿠르에서 ‘20세기 작품 최우수 연주자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연주자로 올라섰다.
지난달에는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 라흐마니노프의 ‘회화적 연습곡’,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슈카의 세 악장’ 등을 담은 독집앨범(소니BMG)을 발표했다. 이번 공연에서는 이중 라흐마니노프, 스트라빈스키에 슈만과 쇼팽을 선사할 예정.
“이번에는 제가 좋아하고 잘 표현할 수 있는 곡을 택했어요. 러시아 음악이 걸러내지 않은 본능적인 감정 표현으로 강인함을 드러낸다면, 독일을 포함한 서유럽 음악은 좀 더 철학적인 내면에 의미를 두는 듯하죠. 이런 표현을 담아 학구적이고 진지한 클래식 음악을 들려드리고자 합니다.”
10대에 유학을 떠나 줄곧 해외에서 음악 활동을 한 그는 “어린 후배들이 유학을 오는 환경은 확실히 나아졌다.”고 평가했다. “요즘은 20대 연주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져 상대적으로 30대 연주자들이 조명을 덜 받는 듯하다.”는 그는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중견 연주자들에게도 관심을 많이 가져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공연은 10일 부산, 11일 대구, 12일 전주, 17일 수원, 19일 대전에 이어 2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일정이 빠듯해 지치기는 하겠지만 점차 더 발전하고 나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