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벅 평전/피터 콘 지음
‘펄벅평전’(피터 콘 지음, 이한음 옮김, 은행나무 펴냄)을 읽으면서 펄 벅(Pearl S. Buck)의 노벨문학상 수상소설인 ‘대지’의 또 다른 주인공을 보았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펄 벅의 80 평생은 소설의 주인공 왕룽일가의 일대기만큼이나 파란만장하고 거친 것이었다. 왕룽일가는 펄 벅이 평생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서 살며 만난 평범한 중국인들의 전형이었고, 그의 몸속 깊이 체화된 채 삶의 지도를 그려나가는 유전자 같은 것이었다.
오래 전 ‘대지’를 감동적으로 읽으며 책의 저자가 미국인이라는 점에 놀랐고, 어떻게 한 외국인 여자가 격변기 중국의 모습, 그것도 표피가 아닌 속살의 모습을 그토록 사실적으로 그렸을까 하는 의문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었다. 이번 평전은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이요, 작가로서의 명성에 가려진 사회운동가 펄 벅의 또 다른 모습에 대한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펄 벅의 삶은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그는 1892년 미국에서 태어나자마자 선교사인 부모와 함께 중국에 건너와 40여년간 거대한 대륙에서 펼쳐지는 격변기의 풍랑을 몸소 체득하게 된다. 그러나 1934년 일본의 침략으로 외국인에 대한 적대감이 치솟으면서 쫓겨나다시피 미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두 나라를 모두 사랑하고 가슴에 품었지만 한 평생 어느 쪽에도 소속되지 못한 채 아웃사이더로 살아간 ‘파란 눈의 동양인’이었으며, 그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문화적 이중초점’이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대지’의 주인공들, 즉 평범한 중국인들은 그의 인생, 특히 작품활동과 사회운동에 강력한 유전자로서 작용했다. 관습처럼 행해지던 여아살해를 피해 살아남으면 전족의 아픔이 기다리고 있었고, 성장하면 남편과 아들에게 단순한 일꾼이요 종 노릇을 넘기 어려웠던 중국 여성들의 고난은 그를 훗날 맹렬한 여성운동가로 인도한다. 또 광신에 가까울 정도로 가족을 팽개친 채 전도에만 열중하는 아버지와 그로 인해 평생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던 어머니, 지체아인 딸, 인종차별적인 개신교 선교사들의 모습도 그의 머리에 그대로 각인된다.
미국에 돌아온 그는 작품활동과 함께 왕성한 인권운동을 펼친다. 일곱명의 아이를 직접 입양해 길렀고, 미국 내 소수민족의 인권 개선, 버려진 아이들을 돕기 위한 여러 기구들을 설립 운영했다.1950년에 설립한 웰컴하우스,1964년에 세운 펄벅재단이 이같은 활동의 중심이 됐다. 특히 펄벅재단(후일 ‘펄벅인터내셔널’로 바뀜)은 아시아 10여 나라에서 미국인과 동양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2만 5000명에게 의료혜택과 교육기회를 제공해왔다.
또 동서협회 설립, 잡지 ‘아시아’ 발행 등 동서문화 이해와 교류에 적극 나섰으며,1940년대엔 악명높은 중국인 이민배제법 철폐운동,2차대전 때는 일본계 미국인 억류정책에 대한 강력한 항의운동을 펼쳤다. 이는 그가 인생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서 살며 동서양간 몰이해의 폭을 조금이나마 좁혀보려는 몸부림이었다. 그같은 인종적 몰이해에서 얼마나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정책과 행위들이 표출됐는지, 그는 몸소 체득해온 터였다.
이같은 활동은 상당수의 미국 보수층 백인들의 반발을 샀다. 적극적인 인권활동은 우파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반공산주의 발언으로 좌파의 불신을 받았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위한 인권운동에 적극 나서면서 FBI의 적대적 관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평전엔 펄 벅의 사회활동 안쪽에 숨은 인간적인 내밀한 삶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특히 중국에서 성장하면서 광신적인 아버지 아래서 겪었던 외로움과 소외감, 조개 속 모래알처럼 불편했던 첫 결혼생활과 이혼, 지체아로 낳은 아이를 키우던 고통 등. 그는 고독하고 자신의 치부를 감추려 노심초사하면서도 당당하고 때로는 독선적일 정도로 일에 몰입한다. 그러면서도 부모와 자식에게 얽매여 있고, 온갖 마음의 상처들을 곱씹으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펄 벅은 이같은 개인적 삶의 내밀한 모습들을 그가 죽기 직전 낸 자서전에서도 거의 보여주지 않았다. 그의 자서전 ‘나의 세계’에선 자신의 부모는 물론, 첫번째 및 두번째 남편인 로싱 벅과 리처드 월시의 이름조차 언급되어 있지 않다.
저자는 이 책을 ‘문화일대기’라고 지칭한다. 일반인들이 미처 알지 못했거나 왜곡되어 있던 당시 중국과 미국의 분위기와 문화, 인물들이 펄 벅과 함께 실감나게 묘사되어 있어 격변기의 중국과 미국을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수십년 동안 그녀의 집과 활동본부 역할을 한 필라델피아 북부 벅스 카운티에 있는 그린힐스 농장은 지금 펄벅인터내셔널 본부이자 펄벅기념관 겸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펄의 침실엔 비단옷, 도자기, 서예작품 등 중국 물품들이 유리상자에 담겨 있는데, 그중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19세기 중국 여성들의 뭉개진 발을 담던 전족신 한 쌍이다. 펄은 평생 이 ‘아름다운’ 물품을 가까이 두고서 권력이 약자에게 일상적으로 어떤 고통을 가하는지 끊임없이 되새겼다고 한다.
펜실베이니아대 영문과 교수이자 펄벅인터내셔널 위원장인 지은이 피터 콘은 평전 집필에 대해 두가지 의미를 부여한다. 하나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펄 벅의 진면모와 활화산 같았던 그의 생애를 되살려내기 위해, 또 하나는 제니퍼 경 콘이란 딸을 얻게 해준 개인적 빚을 갚기 위해서다. 제니퍼 경 콘은 20년 전 김경림이란 이름으로 영양실조와 온 몸에 염증이 난 상태로 그의 삶 속에 들어왔고, 지금은 대학졸업 후 요리사이자 작가로서 뉴욕시에 있는 한 재단에서 집 없는 사람들을 도우며 살고 있다고 한다.2만 5000원.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