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왜 나쁜소문이 빨리 퍼질까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온갖 설이 난무하는 ‘소문공화국’ 대한민국. 과연 나쁜 소문과 좋은 소문 중 어느 쪽이 확산 속도가 더 빠를까. 소문을 퍼트리는 사람의 심리는 어떤 것일까. MBC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MBC 스페셜’은 8일 오후 10시35분 소문 전파와 관련된 심리 실험을 통해 우리 사회 내의 소문 전파 과정을 살펴보는 ‘최민수, 죄민수…그리고 소문’을 방송한다.
제작진은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팀과 함께 소문 전파 실험을 실시했다. 20대와 40~50대 방청객 각 100명을 스튜디오에 초대한 뒤 두 가지 실험을 마련했다. 곽교수팀은 심리학 강의를 하던 도중 방청객에게 사전고지를 하지 않은 채 두 가지 소문을 전파시켰다. ‘어느 연예인이 자살했다.’는 부정적인 소문과 ‘어느 연예인이 아이를 입양했다.’는 긍정적인 소문을 각 그룹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지켜봤다.
실험 결과 20대의 경우 ‘자살했다.’는 소문은 모집단 100명 속에 곧바로 확산돼 81%가 소문을 들었고, 86%가 소문을 전했다. 반면 선행 관련 소문을 들은 이는 18%에 불과했고, 이 소문을 전달한 이들은 4%에 그쳤다. 40~50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나쁜 소문은 84%, 좋은 소문은 16%의 비율로 퍼져 나갔다.
아울러 이 실험에서 불안감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4배가량 소문을 더 많이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작진은 이 과정에서 지난해 4월 발생한 70대 노인 폭행 사건에 대한 검찰의 무혐의 결정에도 9개월째 남양주의 한 산골에서 은둔 중인 배우 최민수를 만나 그의 최근 일상과 심경에 대해 듣는다.
제작진은 “소문은 끊임없는 재생산 과정을 통해 유기체와 같은 생명력을 지니며, 그 중심에는 우리의 편견이 자리잡고 있다.”면서 “신뢰가 바탕이 되는 사회를 위해 소문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를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서울신문 다른 기사 보러가기]
경찰, 아직도 이런 여론몰이하나
관음증 부추기는 건 아닌지
”복지 외면하는 정치세력 미래 없다”
워낭소리 유명세 홍역 “그냥 놔두면 안되나”
강의 팬카페 “범죄자 인권도 보호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