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일침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20대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톱밥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박수진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 송지은
    2025-09-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642
  • 정의화 “예산, 법안 처리 수단 안 돼”

    정의화 국회의장은 3일 새해 예산안과 쟁점 법안에 대한 여야의 연계 처리와 관련, “국회의원은 거수기가 되고 국회 상임위원회는 겉도는 부분이 많다. 대신 여야 지도부에 의한 주고받기식 거래 정치는 일상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의장은 이날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법정시한(2일 밤 12시)을 넘겨 예산안이 통과된 직후 “이것이 현재 우리 의회 민주주의의 현실이고 자화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저를 포함한 모두가 자성하고 그 책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정 의장은 “국회는 상임위 중심으로 예산과 법안을 논의하고 적법한 절차를 거쳐 예산안과 법안을 의결해야 한다”며 “국회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이 독립적인 헌법기관으로서 법안을 충실히 심의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신성한 국민 세금으로 조성된 예산을 법안 통과를 위한 수단으로 삼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법률에 명시된 법제사법위원회 숙려 기간도 지켜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 의장은 예산안과 법안에 대한 여야의 연계 처리 방침에 반대하며 예산안은 2일, 법안은 8일 별도 처리하는 절충안을 제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난해 12년 만에 처음으로 예산안을 법정시한 내에 처리했던 국회는 결국 1년 만에 또다시 헌법을 어기는 오점을 남겼다. 정 의장은 “지금 국회는 국회의원과 상임위가 보이지 않고 여야 정당 지도부만 보이는 형국”이라고 지적한 뒤 “법률에 명시된 대로 예산을 통과시키는 전통이 뿌리내리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 박지원 “반기문측서 ´허수아비 대통령 하라는거냐´고 하더라”

    박지원 “반기문측서 ´허수아비 대통령 하라는거냐´고 하더라”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은 18일 최근 친박(친 박근혜) 일각에서 이원집정부제 개헌을 주장하면서 ‘반기문 대통령-친박 총리’ 조합을 거론한 데 대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아주 관계가 깊은 분이 ‘최규하 대통령처럼 허수아비 대통령을 하라는 것이냐. 우리는 하면 제대로 한다’고 기분 나빠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반 총장과 관계가 깊은 분을 만난 분에게 들은 이야기”라며 “주변에서는 여전히 ‘반기문 대망론’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반 총장이) 새정치연합에서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 있는 이야기를 반 총장과 관계 깊은 분이 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덧붙였다.  ‘반기문 대망론‘과 관련, “모든 결정은 반 총장 스스로 임기를 마친 후 자동적으로 정리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한때는 주변인사들이 새정치연합과 활발하게 이야기를 했고, 저와도 그런 얘기를 나눴다”고 소개했다. 또한 “반기문 대통령 만들기에 나섰다고 하는 분들로부터 ‘반 총장이 임기 말에 반드시 평양을 방북, 김정은과 회담을 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김대중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통해 은둔의 지도자인 김정일 위원장을 세계무대에 데뷔시킨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얘기를 들은 바 있다”이고 전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투명한 듯 해도 더러워” 대체 무슨 뜻?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투명한 듯 해도 더러워” 대체 무슨 뜻?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투명한 듯 해도 더러워” 대체 무슨 뜻?아이유 제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판사 측이 아이유 ‘제제’ 가사 선정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지난 5일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판한 도서출판 동녘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제는 다섯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입니다. ‘왜 아이들은 철들어야만 하나요?’라는 제제의 말에서 수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제제에게 밍기뉴는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이구요”라며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내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녘은 “그런데 밍기뉴 관점에서 만든 노래가 제제는 교활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기도 하구요. 그런 작가의 의도가 있는 작품을 이렇게 평가하다니요”라며 “물론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다섯살 제제를 성적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부분입니다. 표현의 자유도 대중들의 공인하에 이뤄지는 것입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제제에다가 망사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라뇨... 핀업걸은 굉장히 상업적이고 성적인 요소가 다분합니다. 그리고 제제가 순수하면서도 심한 행동을 많이 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 것도 결국은 심각한 학대에 따른 반발심과 애정결핍에 따른 것”이라며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학대라고 하는 후천적 요인에서 나온 것이죠. 이를 두고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이 듭니다”고 말했다.앞서 아이유는 한 인터뷰에서 “‘제제(zeze)’는 소설 속 라임오렌지나무인 밍기뉴의 관점에서 만들었고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문제가 된 ‘제제(zeze)’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잎사귀에 입을 맞춰 장난치면 못써 나무를 아프게 하면 못써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여기서 제일 어린잎을 가져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알 길이 없어.” 이 부분은 5살 아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묘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이 됐다. 실제 아이유의 4집 앨범 ‘챗셔(chat-shire) 재킷에는 망사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제제가 등장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 대체 무슨 뜻?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 대체 무슨 뜻?

    아이유 제제, 해석 논란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 대체 무슨 뜻? 아이유 제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판사 측이 아이유 ‘제제’ 가사 선정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지난 5일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판한 도서출판 동녘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제는 다섯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입니다. ‘왜 아이들은 철들어야만 하나요?’라는 제제의 말에서 수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제제에게 밍기뉴는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이구요”라며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내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녘은 “그런데 밍기뉴 관점에서 만든 노래가 제제는 교활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기도 하구요. 그런 작가의 의도가 있는 작품을 이렇게 평가하다니요”라며 “물론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다섯살 제제를 성적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부분입니다. 표현의 자유도 대중들의 공인하에 이뤄지는 것입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제제에다가 망사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라뇨... 핀업걸은 굉장히 상업적이고 성적인 요소가 다분합니다. 그리고 제제가 순수하면서도 심한 행동을 많이 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 것도 결국은 심각한 학대에 따른 반발심과 애정결핍에 따른 것”이라며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학대라고 하는 후천적 요인에서 나온 것이죠. 이를 두고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이 듭니다”고 말했다.앞서 아이유는 한 인터뷰에서 “‘제제(zeze)’는 소설 속 라임오렌지나무인 밍기뉴의 관점에서 만들었고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문제가 된 ‘제제(zeze)’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잎사귀에 입을 맞춰 장난치면 못써 나무를 아프게 하면 못써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여기서 제일 어린잎을 가져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알 길이 없어.” 이 부분은 5살 아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묘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이 됐다. 실제 아이유의 4집 앨범 ‘챗셔(chat-shire) 재킷에는 망사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제제가 등장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이유 제제 논란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 대체 무엇?아이유 제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판사 측이 아이유 ‘제제’ 가사 선정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지난 5일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판한 도서출판 동녘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제는 다섯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입니다. ‘왜 아이들은 철들어야만 하나요?’라는 제제의 말에서 수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제제에게 밍기뉴는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이구요”라며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내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녘은 “그런데 밍기뉴 관점에서 만든 노래가 제제는 교활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기도 하구요. 그런 작가의 의도가 있는 작품을 이렇게 평가하다니요”라며 “물론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다섯살 제제를 성적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부분입니다. 표현의 자유도 대중들의 공인하에 이뤄지는 것입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제제에다가 망사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라뇨... 핀업걸은 굉장히 상업적이고 성적인 요소가 다분합니다. 그리고 제제가 순수하면서도 심한 행동을 많이 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 것도 결국은 심각한 학대에 따른 반발심과 애정결핍에 따른 것”이라며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학대라고 하는 후천적 요인에서 나온 것이죠. 이를 두고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이 듭니다”고 말했다.앞서 아이유는 한 인터뷰에서 “‘제제(zeze)’는 소설 속 라임오렌지나무인 밍기뉴의 관점에서 만들었고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문제가 된 ‘제제(zeze)’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잎사귀에 입을 맞춰 장난치면 못써 나무를 아프게 하면 못써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여기서 제일 어린잎을 가져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알 길이 없어.” 이 부분은 5살 아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묘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이 됐다. 실제 아이유의 4집 앨범 ‘챗셔(chat-shire) 재킷에는 망사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제제가 등장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그 안에 뭐가 있는지” 가사 의미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그 안에 뭐가 있는지” 가사 의미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그 안에 뭐가 있는지” 가사 의미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판사 측이 아이유 ‘제제’ 가사 선정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지난 5일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판한 도서출판 동녘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제는 다섯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입니다. ‘왜 아이들은 철들어야만 하나요?’라는 제제의 말에서 수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제제에게 밍기뉴는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이구요”라며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내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녘은 “그런데 밍기뉴 관점에서 만든 노래가 제제는 교활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기도 하구요. 그런 작가의 의도가 있는 작품을 이렇게 평가하다니요”라며 “물론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다섯살 제제를 성적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부분입니다. 표현의 자유도 대중들의 공인하에 이뤄지는 것입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제제에다가 망사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라뇨... 핀업걸은 굉장히 상업적이고 성적인 요소가 다분합니다. 그리고 제제가 순수하면서도 심한 행동을 많이 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 것도 결국은 심각한 학대에 따른 반발심과 애정결핍에 따른 것”이라며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학대라고 하는 후천적 요인에서 나온 것이죠. 이를 두고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이 듭니다”고 말했다.앞서 아이유는 한 인터뷰에서 “‘제제(zeze)’는 소설 속 라임오렌지나무인 밍기뉴의 관점에서 만들었고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문제가 된 ‘제제(zeze)’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잎사귀에 입을 맞춰 장난치면 못써 나무를 아프게 하면 못써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여기서 제일 어린잎을 가져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알 길이 없어.” 이 부분은 5살 아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묘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이 됐다. 실제 아이유의 4집 앨범 ‘챗셔(chat-shire) 재킷에는 망사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제제가 등장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는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는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논란 “어딘가는 더러워" 가사 의미는 대체 무엇? 아이유 제제,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출판사 측이 아이유 ‘제제’ 가사 선정성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지난 5일 소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출판한 도서출판 동녘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는 글을 게재했다. 이어 “제제는 다섯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입니다. ‘왜 아이들은 철들어야만 하나요?’라는 제제의 말에서 수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제제에게 밍기뉴는 따뜻한 위로를 전해주는 유일한 친구이구요”라며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내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녘은 “그런데 밍기뉴 관점에서 만든 노래가 제제는 교활하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는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상처받고 있을 수많은 제제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기도 하구요. 그런 작가의 의도가 있는 작품을 이렇게 평가하다니요”라며 “물론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다섯살 제제를 성적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부분입니다. 표현의 자유도 대중들의 공인하에 이뤄지는 것입니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제제에다가 망사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라뇨... 핀업걸은 굉장히 상업적이고 성적인 요소가 다분합니다. 그리고 제제가 순수하면서도 심한 행동을 많이 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 것도 결국은 심각한 학대에 따른 반발심과 애정결핍에 따른 것”이라며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닌 학대라고 하는 후천적 요인에서 나온 것이죠. 이를 두고 제제를 잔인하고 교활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이 듭니다”고 말했다.앞서 아이유는 한 인터뷰에서 “‘제제(zeze)’는 소설 속 라임오렌지나무인 밍기뉴의 관점에서 만들었고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바 있다.문제가 된 ‘제제(zeze)’ 가사는 다음과 같다.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잎사귀에 입을 맞춰 장난치면 못써 나무를 아프게 하면 못써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여기서 제일 어린잎을 가져가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 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알 길이 없어.” 이 부분은 5살 아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묘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논란이 됐다. 실제 아이유의 4집 앨범 ‘챗셔(chat-shire) 재킷에는 망사스타킹을 신고 핀업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제제가 등장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김제동 1인 시위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일침김제동 1인 시위,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정부가 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김제동 1인 시위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일침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김제동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의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의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사람들의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일침김제동 1인 시위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교과서 국정화 확정,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교과서 국정화 확정,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

    교과서 국정화 확정, 김제동 일침 “사람들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냐?”교과서 국정화 확정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에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에 일침

    김제동 1인 시위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에 일침김제동 1인 시위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 무슨 뜻?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 무슨 뜻?

    김제동 1인 시위 “역사는 사람들의 마음…쉽지 않을 것” 일침, 무슨 뜻?김제동 1인 시위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3일 확정고시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이 이에 반대하는 뜻의 1인 시위를 했다. 이날 시사인 주진우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제동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반대한다는 뜻의 문구가 적힌 스케치북을 들고 서 있는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사진 속 김제동이 들고 있는 스케치북에는 “역사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입니다”라면서 “마음까지 국정화하시겠습니까? 쉽지 않으실 겁니다”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2017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中 “역사 직시하라” 일침… 日 “남중국해 우려” 공세

    中 “역사 직시하라” 일침… 日 “남중국해 우려” 공세

    일본과 중국은 1일 한·일·중 3국 정상회의 직후 서울에서 양국 개별 정상회담을 열고 두 나라 사이의 현안을 둘러싼 이견에도 불구,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추구해 나가는 등 관계 개선에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양측이 현상 유지 및 위기관리를 통한 관계 유지에 합의한 것으로 두 나라의 각종 수준의 대화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이날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하면서 과거사 문제 등 갈등 현안에 대해서도 폭넓은 의견을 나눴다고 NHK와 신화통신 등이 보도했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전략적 호혜관계의 총체적인 발전을 확고히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리 총리는 회담 모두에 “양국 총리는 오늘 겨우 첫 정식 회담을 실현할 수 있었다. (3년 반 동안 회담을 열지 못한) 이런 상황이 된 원인은 일본 측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일침을 놓았다. 그는 이어 “역사를 직시하고 거울로 삼는다는 정신에 입각해 정치적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아베 총리는 중국의 남중국해에서 암초 매립과 인공 섬 건설에 대해서 우려를 전달하면서 공세를 편 것으로 알려졌다.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등을 둘러싼 영토문제, 난징(南京) 대학살 관련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중국 정부의 일본 민간인 4명에 대한 스파이 혐의 구속 등 현안에 대해 양측은 의견을 교환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외교소식통들은 전했다. 리 총리는 이날 양국관계 조정과정에서의 긍정적 동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 보다 전향적이고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다. 아베 총리도 “2006년 총리 취임(1차 집권) 뒤 곧바로 중국을 처음 방문하고 전략적 호혜 관계를 제창했다”면서 “이에 입각해 관계를 개선·발전시켜야 한다는 게 나의 확고한 신념”이라고 화답했다. 중국 입장에서는 일본을 지나치게 압박해 미국에 지나치게 기울고, 군비 및 자위대 활동 강화의 빌미를 주지 않겠다는 자세로 보인다. 남사군도 문제로 국제사회에서 중국이 수세로 몰리고 있는 상황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화통신은 회담 직후 논평을 통해 “긍정적 모멘텀을 살리기 위해 일본은 정치적 용기와 역사적 안목을 갖고 더 정직하고 충실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일 정상 회담은 올 4월 아베 총리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회담 이후 반년 만으로 아베 총리와 리 총리와의 회담은 취임 이후 처음이다. 이번 회담은 3년 반 만에 재개된 3국 정상회의 참석차 리 총리와 아베 총리가 서울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이뤄졌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 [경제 블로그]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씌울 필요 없구요”

    [경제 블로그]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씌울 필요 없구요”

    요즘 금융권에선 ‘우산’ 논란이 한창입니다. ‘비 올 때 우산을 뺏으라는 거냐, 씌워 주라는 거냐’라는 논란입니다. 출발은 지난 8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을 향해 “비 올 때 기업들 우산을 뺏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이 알려진 뒤 은행들이 대출을 축소하려 하자 일침을 가한 겁니다. 그런데 최근 금융당국은 ‘좀비기업’(한계기업) 퇴출을 강도 높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부실 기업을 지원하는 은행과 직원에겐 책임을 묻겠다는 ‘초강수’를 두기까지 했습니다. 금융권은 두 달 만에 급선회한 금융당국을 보며 당혹감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이런 불만은 지난 2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진 원장과의 시중은행장 간담회에서도 불거졌습니다. 이날 진 원장은 “옥석 가리기를 통해 한계기업을 신속히 정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한 시중은행장이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말라고 했다가 이제는 구조조정을 하라고 하니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칫 분위기가 가라앉을 것을 우려한 또 다른 시중은행장은 “비에 흠뻑 젖은 데는 (우산을) 씌워 줄 필요가 없지 않으냐”고 진 원장 대신 서둘러 대답했죠. 이에 진 원장과 은행장들 사이에서 박장대소가 터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웃을 일만은 아닙니다. 간담회장을 빠져나오는 진 원장이나 행장들의 표정이 ‘밝아도 밝은 게 아니었던’ 까닭도 여기에 있습니다. 금감원은 이달 시중은행에 ‘기업 구조조정’의 큰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은행들은 당국 지침을 일괄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태도입니다. 간담회에서도 한 시중은행장은 “은행마다 기업 신용등급 평가 방식이 다르니 기업 구조조정은 각 은행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할 경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같은 기업이라도 각 은행 기준에 따라 퇴출 대상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요. 기업 퇴출 과정에서 영세기업들이 연쇄 부도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불과 몇 달 새 금융 당국이 말을 바꾸는 판국인데 훗날 ‘기업들 우산 뺏었다’고 (은행을) 질책할지 누가 알겠느냐”고 반문합니다. 금융당국이 구조조정에 앞서 금융권에 확신부터 심어 주는 게 시급해 보이는 이유입니다. ‘우산 논란’이 재연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말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⑫ 바티칸의 한국 대우

    [김성호 기자의 종교만화경] ⑫ 바티칸의 한국 대우

     바티칸 라디오가 지난 9일 오후 5시부터 한국어 웹사이트 서비스를 시작했다. 한국 신자와 재외 동포들도 바티칸 소식을 한국어로 발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됐다. 569돌 한글날을 맞아 바티칸이 배려한 큰 선물이 아닐 수 없다. 한국 천주교계는 당연히 크게 환영하는 눈치다. 그런데 희희낙락의 환영 한켠에 볼멘 소리가 적지않다. 한국천주교에 대한 바티칸의 대우 탓이다.• 9일부터 바티칸라디오 한국어 웹사이트 서비스 교황과 교황청, 교회 생활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는 바티칸 라디오 웹사이트는 ‘교황의 목소리(Voix du Pape)’라 불린다. 그동안 37개국 언어, 13개 문자로 발행돼왔다. 아시아에선 중국어·일본어·힌두어·타밀어·말라얄람어·아랍어가 배정돼있었고 이번에 스와힐리어·현대히브리어와 함께 한국어가 추가된 것이다. 지난해 프란치스코 방한을 계기로 한국 주교회의와 바티칸 방송국간 협의가 진행돼온 끝의 성과다. 한국천주교 관계자들은 “그동안 한국어 뉴스 서비스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고 한국천주교계가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던 점에 비춰볼 때 늦은 감이 없지 않다”고 귀띔한다. 그 ‘만시지탄(晩時之歎)’의 볼멘 소리는 충분히 이유있어 보인다. 위상에 걸맞지 않은 홀대에 대한 ‘이유있는 불만’이랄까. 그리고 그 큰 이유는 바로 한국천주교의 위상이다. 국내 천주교 신자 수는 지난해말 현재 556만971명을 기록했다. 총인구 5241만9447명의 10.6%가 천주교 신자인 셈이다. 아시아에선 국민 10명중 8명이 천주교 신자인 필리핀과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에 이어 다섯 번째로 많다. 한국천주교 관계자들은 “한국 교회가 교황청에 보내는 납부금과 헌금은 세계 8번째로 많고 아시아에선 1위”라고 공공연하게 말한다. 한국천주교의 고위관계자들은 그런 저변의 불만에 대해 차분한 어조로 진화에 나서곤 한다.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천주교는 묵묵히 역할과 소임을 다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천주교에서 목숨처럼 중시하는 순명(順命)의 다짐인 셈이다.•홀대 불만 이전에 ‘섬기는 사람이 되라’는 일침이 커 보이는 이유는?그 순명의 다짐 때문일까. 두 명의 교황이 한국을 다녀갔다. 1984년 한국 순교자 103위를 성인으로 인정하는 시성식(諡聖式)을 여의도에서 직접 주재한 요한 바오로 2세와 지난해 8월 한국사회에 큰 울림을 던진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다. 교황이 한 나라를 거푸 방한하기란 여간 드문 게 아니다. 어찌보면 한국천주교에 대한 바티칸의 홀대와 그에대한 불만이 두 교황의 방한으로 적지않게 사그라들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한 사안이 불거질 때마다 불만의 목소리는 어김없이 터져나온다. 새 추기경 임명에 한국 교회가 배제됐을 때나, 한국을 향한 바티칸의 쓴소리가 있을 때 처럼. 홀대에 대한 이유있는 불만도 좋고 ‘제 역할과 소임을 다한다’는 순명의 다짐도 좋다. 하지만 그 불만의 진동에 던져지는 지적의 목소리가 훨씬 더 커보인다. ‘과연 우리는 올바르게 살고 있는가’라는 물음 말이다. 신자 위에 군림하는 성직자의 권위주의며 교회의 세속화는 그 물음의 근거로 들먹거려진다. 그래서일까. 지난 3월 바티칸을 방문한 한국 주교들에게 프란치스코 교황이 정색하고 던진 일침이 유난히 커 보였다. “섬김을 받는 사람이 아니라 섬기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  김성호 선임기자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 [씨줄날줄] 왜곡된 노벨경제학상/오일만 논설위원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디턴 미 프린스턴대 교수가 돌연 논쟁의 한복판에 등장했다. 지난 12일 그가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되자 국내 일부 언론들은 ‘성장론자의 승리’라고 해석하면서 “불평등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불평등 해소가 시급하다고 주장하는 분배론자들을 향한 성장론자의 반박으로 해석되면서 논쟁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학계가 바라보는 시각은 이렇다. 디턴 교수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불평등이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궁극적으로 민주주의마저 악화시킨다’고 주장한 인물이다. 그가 노벨경제학상 선정 직후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지나친 불평등은 공공서비스를 붕괴시키고, 민주주의를 약화시키는 등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일침을 가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위대한 탈출·The Great Escape) 에필로그에서 그의 주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미국의 경우 현재와 같은 극단적인 소득과 부는 100년 이상 본 적이 없다. 부의 엄청난 집중 현상은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창조적 파괴의 숨통을 막아 민주주의와 성장의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명확한 논지를 주장하는 그가 국내에서 ‘불평등 옹호론자’로 둔갑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위대한 탈출’의 한국 번역판이 지난해 나오면서 ‘불평등은 어떻게 성장을 촉발시키나’라는 부제를 달았다. 책의 원제가 ‘건강과 부, 불평등의 근원’이란 점을 고려하면 ‘분배보다 분배의 파이를 키워야 한다’는 신자유주의적 관점이 투영됐다는 주장도 나온다. 가관인 것은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입증한 피케티 교수의 대항마로 디턴 교수를 내세웠다는 점이다. 하지만 디턴 교수는 1929년부터 2012년 사이 미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빈곤율이 떨어지지 않는 모순을 피케티의 2003년 ‘소득 불평등’ 연구에서 찾았다고 한다. 그렇다고 디턴 교수가 성장 자체를 반대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그는 사실 성장과 분배의 이분법적 시각을 배격하면서 둘의 융합을 주장한다. “경제성장은 절대 빈곤과 물질적 결핍에서 탈출하는 원동력”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불평등(빈부격차) 해소를 중시한다. “계층 이동 사다리를 걷어차는 부자들의 행위를 막아야 올바른 성장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경제학계에서는 이번 논쟁을 성장론자들의 무리한 아전인수(我田引水)로 보는 시각이 많다. 디턴 교수의 방대한 연구 논문이나 저서에서 극히 일부분인 내용을 끄집어내 자신들의 입맛에 맞도록 해석한 흔적이 많다. 아전인수의 단계를 넘어 지록위마(指鹿爲馬·사슴을 말이라 우기다)가 되지 않은 것이 참으로 다행한 노릇이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