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질 덫」에 걸린 미의 중동작전/“좁아진 선택”… 부시의 딜레마
◎후세인,「응징결의 약화」 노려 신경전/「카터·레이건 전철」 우려,신중 대응/“국익이 우선” 일부선 강경책 주장
미국정부가 가장 바라지 않던 사태가 전개되고 말았다. 이라크가 서방의 공격을 막는 방패로 외국인을 이용하겠다는 선언과 더불어 미국인을 주축으로 한 이라크와 쿠웨이트외국인 「인질」들을 주요 군사및 민간시설에 분산 배치하기 시작한 것이다.
조지 부시 미대통령과 사담 후세인 이라크대통령은 지금 이들 외국인의 운명이 이라크군의 쿠웨이트 철수를 요구하는 국제 결의를 약화시킬 것인가의 여부를 놓고 투쟁속의 투쟁을 벌이고 있다.
후세인에게 외국인 인질은 유엔의 경제봉쇄조치에 대항하는 무기다. 그는 이라크와 쿠웨이트에 잡혀 있는 미국인 3천명을 비롯한 2만여명의 서방외국인의 안전을 위협하면서 미국과 그 우방들에 대해 페르시아만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라크와 쿠웨이트에는 현재 34개 외국인 약 2백만명이 머물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후세인이 인질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미국등 대이라크 군사제재에 나서고 있는 나라 사람들이다.
부시는 인질들의 운명이 페르시아만 사태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잡혀 있는 미국인에 대한 동정의 여론이 미국의 대이라크 대결의지를 약화시키지 않도록 이의 확산도 막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라크와 쿠웨이트에 자국 국민이 잡혀 있는 영국과 프랑스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이같은 도전에 직면해 있어 이들의 대응책은 상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이번 사태의 초기부터 이라크와 쿠웨이트에 갇힌 외국인들에 대해 「인질」이란 용어를 쓰지 않으려고 비상한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이들의 사정을 2차적인 문제로 간주하기 위해 이라크의 인질위협에 대한 언급을 애써 자제해왔다.
또 국무부는 이 문제가 미국사회에 「인간의 얼굴」로 투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라크와 쿠웨이트에 갇혀 있는 미국인 명단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페르시아만에 전운이 감도는 와중에 부시가 굳이 휴가를 떠난 배경의 일면에도 후세인에게 부시의 진의를,즉 부시는 지미 카터와 달리 인질을 구출해야겠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지도 않고 페르시아만 사태에 무력 개입한 미국의 기본목표도 잊지 않고 있다는 점을 보여 주려는 의도가 깔려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미국이 인질사태에 부딪쳤을 때 부시의 전임자인 카터와 로널드 레이건은 미국인 인질의 생명을 그것보다 큰 정책목표의 하위에 둘 수가 없었다. 카터행정부와 레이건행정부는 인질석방 노력때문에 다같이 정치적 타격을 받았다. 카터는 이란내 미국인외교관을 구출하려다 실패했고 레이건은 레바논내 미국인 석방을 시도하다가 이란콘트라사건에 휘말렸다.
어떤 면에서 카터와 레이건의 딜레마는 단순한 것이었다. 카터와 레이건에게 있어 인질사태는 납치자들이 강요한 것이었으며 중심적인 문제는 인질의 운명이었다. 보다 큰 문제가 있었다면 그것은 미국이 테러리스트나 납치자들과 협상함으로써 인질납치를 조장할지 모른다는 점이었다.
부시의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부시에게 있어 중심적인 문제는 국제질서를 유지하고 미국의 사우디아라비아내 경제이익을 보호하기위해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원점으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부시가 곧 정면으로 부딪칠 문제는 과연 이라크와 쿠웨이트내 미국인의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이같은 큰 목표를 추구할 것이냐다. 이 문제로 인해 부시는 「미국인의 생명은 보살폈지만 국가이익과 관련한 냉정한 정책결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는 적합치 않은 대통령」이라는 소리를 듣게 될지도 모른다.
현시점에서 부시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가운데 매력적인 것은 별로 없다.
부시는 이라크의 인질 이용확대에 대해 유엔의 규탄을 모색하는등 지금처럼 자제하면서 대응해 나가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구출작전 시도는 아주 위험하다. 미국인들이 여러 지역에 산재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전시도가 이라크의 외국인 학대와 전면전 반발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방안으론 미국내 이라크시민및 외교관의 억류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미국관리들은 「후세인의 술책을 답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치 않다」며 이를 배제하고 있다.
결국 사태가 확대되면 부시는 국가이익을 미국인 인질들의 안전보다 선행시키는 최강경책이외엔 선택의 여지가 없을지 모른다.〈워싱턴=김호준특파원〉
□쿠웨이트와 이라크체류 외국인
국가 쿠웨이트 이라크
미국 2,500 600
영국 4,000 500
서독 290 450
프랑스 270 290
이탈리아 150 340
일본 150 230
인도 170,000 10,000
소련 882 7,791
터키 2,500 3,000
이집트 200,000 1,000,000
필리핀 50,000 5,000
파키스탄 90,000 10,000
팔레스타인 350,000 170,000
폴란드 300 2,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