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리즘·김선일 ‘참혹한 시간’ 해부
인문사회 계간지 ‘당대비평’이 ‘탈영자들의 기념비’에 이어 올해 두 번째 특별호를 냈다.
‘아부 그라이브에서 김선일까지’라는 제목으로 나온 이 책은 ‘아부 그라이브,미국식 유토피아의 감옥’‘국가의 무책임성과 국제연대이라크 일본인 인질 석방의 의미’‘참혹한 시간김선일이 한국사회에 던진 물음들’‘전쟁,테러리즘,거래되는 인간의 고통’등 모두 4부로 이뤄졌다.
월터 데이비스 오하이오 주립대 교수는 미국사회의 심리적 문제와 이라크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에서 벌어진 미군의 이라크 포로들에 대한 학대가 어떻게 연관돼 있는가를 파헤친다.데이비스 교수는 “멜 깁슨의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의 영화 관객들과 아부 그라이브에서 이라크 포로들을 학대했던 미국 병사들은 공통된 심리가 있는데,그것은 이들 모두 난폭한 행위들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찾아 내면의 공허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는 것”이라고 진단한다.
인천대 강사인 이승원씨는 “미디어가 테러로 발생하는 스펙터클에만 관심을 보일 뿐 테러가 어째서 발생했는지,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고 꼬집는다.
또 ‘당대비평’ 편집위원인 김두식 한동대 교수는 테러리즘을 이슬람 배타주의로 확대시키는 오류에 대해 반박하는 한편 김선일의 죽음을 희화화한 일부 목사들의 연설을 인용하면서 한국 기독교 사회에 비판의 화살을 겨눈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대 한국학 교수의 ‘한국사와 테러리즘:개화기의 테러의식’이란 글도 눈길을 끈다.그는 한국의 근대사를 더듬으며 한국인들이 일제 치하 독립운동가들의 테러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살핀다.
책에는 이밖에 오늘날 가장 주목받는 정신분석 이론가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슬라보예 지젝(슬로베니아 류블라대 연구원),프랑스의 지성 장 보드리야르,팔레스타인 출신 시인이자 소설가 자카리아 모하메드,문학평론가인 도정일 경희대 인문학연구원장 등의 글이 실려 있다.1만 5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