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시각] 아프간 피랍사태를 바라보는 눈/강동형 공공정책부장
우리는 누구나 사회 현상을 자신의 생각, 자신이 경험적으로 쌓아올린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 보니 각자가 처한 환경이 다르고 사물을 보는 창의 모양이 다르다. 친구 사이에도, 부부간에도 사물을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우리는 종종 사회 현상에 대해 판단이 서지 않으면 타인의 이야기와 글을 통해 생각을 가다듬기도 한다.
경험한 세계와 시공간이 다르고, 주어진 문화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아마도 지구상의 인구 수만큼이나 ‘서로 다른 눈’이 존재한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사회학자 칼 만하임은 ‘존재의 지식 구속성’이라는 말로 정의하고 있다.
아프간 피랍 사태를 바라보는 주변 사람들의 모습에서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눈의 다양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봉사활동 겸 선교활동을 갔다가 탈레반에 납치된 분당 샘물교회 교인들은 분명 옳은 일을 하기 위해 그곳에 갔다. 이를 두고 정부에서 여행을 삼가달라는 지역으로 떠나면서 브이(V)자를 그리며 기념 사진을 찍고, 생각 없이 갔다가 화를 자초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다.
누리꾼들의 이야기는 논외로 치더라도 이러한 시각을 주변에서도 많이 접하게 된다.
가톨릭 신자인 한 친구는 “좋은 일을 하러 갔더라도 화를 자초한 측면이 있어 사실 동정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교회에 다니는 한 친구는 “납치된 가족들을 생각하면 잠이 오지 않는다.”면서 “이들의 무사 귀환을 위해 기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나라 교회의 해외선교, 봉사활동 방식에 일침을 가했다. 진정한 봉사와 선교가 아니라 위험지역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온 것을 훈장처럼 여기는 세태라는 것이다.
한 목사님은 “하나님의 뜻”이라고 했다. 그는 “이들이 살해될 수도 있지만 이는 순교이며, 하루에 한시간씩 기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이 살해되면 자신도 이들의 뒤를 이어 선교에 나설 각오가 돼 있다는 다짐도 했다.
종교를 가지지 않은 한 친구는 “아마 저들이 살아온다 해도 비판을 받을 것이다. 돈을 주고 이들을 구해낸다고 하는데 그 돈은 누구 돈이냐. 샘물교회에 갚으라고 해야 한다.”고 흥분했다.
또 다른 친구는 “전투부대를 파견해 인질을 살해한 탈레반을 뿌리뽑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의 목소리 하나하나가 일리 있어 보인다. 그런데도 뭔가 부족하고 안타까운 느낌이 든다.
진실은 분명 있을 텐데 주변사람들의 이야기만으로는 무엇이 진실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생각을 조금만 가다듬으면 아프간 피랍사태를 바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일이 어렵지 않다. 사람을 납치하는 일은 나쁘다. 그리고 목숨을 빼앗는 일은 용서할 수 없는 야만적인 행위다.
아프간에 가게 된 동기가 어디에 있든 억류된 사람들은 생과 사를 넘나드는 경계에서 일주일 이상을 보내고 있다. 가족들은 애타게 이들의 무사 귀환을 바라고 있다. 어디 가족뿐이겠는가. 협상을 하는 정부관계자나 우리 사회의 양식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들의 종교가 불교이거나 기독교이거나 관계없이 이들의 안전을 바라고 또 바랄 것이다.
특히 종교인이라면 더더욱 그러할 것이라 생각한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사랑과 봉사, 불교의 보시공덕, 이슬람교의 선이 궁극적으로는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흐려진 눈을 밝혀주고, 답답한 가슴을 시원하게 적셔줄 한 줄기 소나기 같은 소식이 기다려진다. 피랍자들의 무사귀환을 빈다.
강동형 공공정책부장 yunb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