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느슨한 보안’ 바이러스 대란 주범
서울 강남의 직장에서 일하는 이지혜(23·여)씨는 지난 12일 아침 출근해서 PC로 작업을 하다가 깜짝 놀랐다.처음에는 e메일이 보내지지 않다가 결국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화면마저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지난 1월의 바이러스 대란이 떠올라 백신을 받기 위해 정보통신부 홈페이지(www.mic.go.kr)에 들어갔다.하지만 이번 블래스터 웜 바이러스에 대한 정통부 자료는 아무리 읽어 봐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다.결국 민간 보안업체에서 겨우 보안 패치(보안 프로그램)를 다운받았다.오전 업무는 이미 공친 상태였다.
이씨는 “애초에 백신을 받지 않은 게 잘못이지만,매번 바이러스 대란에 시달리는 것도 모자라 이해하기도 힘든 정통부 자료 때문에 골머리를 썩여야 한다는 게 분통이 터진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MS 겨냥하고 있는 블래스터 바이러스
블래스터 웜은 윈도 2000,XP,NT 등 MS 윈도 운영체계 사용자들을 겨냥하고 있는 컴퓨터 바이러스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PC가 계속 재부팅되는 현상이 일어나 정상적인 작업을 하지 못하게 된다.특히 블래스터 웜은 패치파일 사이트(www.windowsupdate.com)를 공격하는 기능이 있어서 사용자들이 보안패치를 받는 것조차 어렵게 만든다.블래스터 웜은 코드에는 “빌 게이츠가 왜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나.”,“돈 버는 것을 중단하고 너의 소프트웨어나 고쳐라.”라는 등의 문구가 포함돼 있다.MS를 공격하고자 하는 의도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블래스터 웜은 16일 이후에도 MS 관련 사이트에 공격을 시도할 것으로 보여 ‘바이러스 대란’은 당분간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MS·정통부의 소극적 대응이 피해 키워
MS를 대상으로 하는 바이러스가 계속 등장하는 주된 원인은 MS 프로그램의 시장 장악력이 거의 독보적인 데 주된 원인이 있다.그만큼 해커들의 반감을 많이 사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OS에 비해 MS OS가 허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도 또 다른 원인이다.MS는 계속 보안 패치를 발표하지만 보안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컴퓨터 백신 업체인 하우리 관계자는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해도 MS가 부인하거나 간과하는 경우가 있다.”고 꼬집었다.
주관 부서인 정통부의 대응도 미흡하다.백신 업체 관계자는 “정통부가 사용자들을 고려하기보다는 ‘우리는 빨리 조치했다.’는 식의 전시행정과 관료주의적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발생 하루가 지나도록 두루넷,데이콤 등 대형 ISP(인터넷접속사업자)가 신고를 하지 않는 등 정통부의 보안시스템에도 구멍이 뚫려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보안의식을 강화하고 MS 의존도 낮춰야
연이은 ‘바이러스 대란’을 막는 바람직한 해결책은 사용자들의 보안의식 강화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뒷문을 열고 있으면 아무리 경찰이 경비를 강화하더라도 도둑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말이다.
또 우리나라 사용자들의 과도한 MS 의존도를 낮춰야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진보네트워크 관계자는 “리눅스 등 다른 OS도 사용해야 MS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바이러스로부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면서 “MS는 일반 네티즌들의 참여로 보다 완벽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리눅스처럼 프로그램 소스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