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아(爾雅)’첫 번역 출간
初·哉·首·基·肇·祖·元·胎·落·權輿. 이 단어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뜻은 무엇일까? 정답은 ‘처음(始)’이다.앞에서 열거한 한자 가운데 보통사람들이 ‘처음’의 의미를 쉽게 알수있는 한자는 初,祖,元 정도다.
동양학 전문출판사인 자유문고 이준영 대표가 명성한의원장 최형주씨와 공동으로 6년만에 완역,출간한 ‘이아(爾雅)’에는 오늘날에 와서 흔히 사용되지 않는 옛 한자말이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명쾌하게 소개돼 있다.
흔히 이 책은 중국 최고(最古)의 자전(字典),주석서이며,동양 최고의 자해서로,또 중국대륙의 방언을 하나로 통일한 최초의 한자 표준어 사전으로 불린다.
‘이아’는 천문·지리·음악·기재(器材)·초목·조수(鳥獸)에 대한 고금의 문자를 설명한 것으로,중국 동진시대 곽박(郭璞)이 주(注)를 달고 송나라 형병(刑昺)이 소(疏)를 내어 제자백가들의 나침반으로 여겨온 책이다.
모두 3권 20편으로 구성돼 있는 ‘이아’의 ‘이(爾)’는 ‘가깝다’,‘아(雅)’는 ‘바르다’는 뜻으로 전체적인 의미는 ‘가까운 곳에서 바른 것을 취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애(厓)와 안(岸)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 책의 석구(釋丘·언덕 풀이)편에는 “厓는 물가(水邊)의 뜻이고,厓가 거듭된것이 안(岸)이다”라고 나와 있다.
또 석궁(釋宮·집 풀이)편에는 “실(室,집 혹은 본채)을 중심으로 동서쪽에 있는 곁채를 묘(廟,사당)라 하고,곁채 없이 홀로 선 室을 침(寢)이라 한다. 室이 없으면 ‘사’ 라 하고,사방이 높은 것을 대(臺)라 하며,좁고 길게 굽은 것을 누(樓)라 한다”고 기록돼 있다.
고고학,박물학,건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잡학사전을 방불케 하는 ‘이아’는 후한시대 역사가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에도 나올 정도로 오래된 책이다.
이 때문에 출판사측은 이번 번역출간 작업과정에서 9,000자가량이나 되는 한자를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1만8,000원.
정운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