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삶의 여백에 담은 깊은 울림
방혜자| 저도 도불전渡佛展을 열어 항공 요금을 마련해서 파리로 떠났는데, 처음 3년간은 부모님의 도움과 적은 장학금을 받아서 생활했습니다. 그 후에는 나라의 형편이 어려울 때였고 부모님께도 죄송해서 그림이 세 점 팔리는 것을 계기로 그 반액을 부모님께 보내 드리고 독립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한때는 다락방에 살면서 애들도 돌봐 주며 그림을 그렸습니다. 겨우 빵 한 쪽에 계란 한 알, 채소죽 같은 걸로 요기를 하며 생활했어요. 캔버스가 없으면 치마를 찢어서 사용하기도 하고요. 그러다 소품이라도 하나 팔리면 당장 먹을 거보단 물감과 캔버스 같은 재료를 잔뜩 사들이곤 했어요. 물감이 떨어지는 것은 더 견디기 힘들었으니까요.
이인호| 네, 선생님 말씀처럼 당시는 유학길을 떠난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모험이었지요. 우리나라는 몹시 가난하고 힘이 약했을 뿐 아니라, 다른 나라와 문화적 차이도 컸어요. 제 경우는 첫해 웰슬리 대학의 기숙사비와 등록금이 합해서 1,900불이었는데, 당시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갖고 나갈 수 있는 돈이 50불이었어요. 그리고 한 달에 송금할 수 있는 한도가 140불이었고요. 국민당 연간 소득이 100불이 못 되는 시점이었으니 딸의 유학을 위해 집에서 돈을 송금한다는 것은 어차피 상상도 하기 어려운 일이었어요. 당시 편도 비행기 값이 600불이었으니 지금 집 한 채 값 정도 되었을 거예요. 제트기도 아니고 프로펠러 비행기를 타고 일본, 하와이, LA, 시카고를 거쳐 뉴욕으로 가는 먼 길을 통해 보스턴으로 갔지요. 며칠을 날아가도 구름만 보일 뿐 끝이 없을 듯했어요. 지금 생각하면 어떻게 어머니께서 어린 딸을 보내셨을까, 참 큰 용기가 필요하셨겠다 생각을 합니다.
방혜자| 저도 대학을 나오자마자 1961년 봄에 비행기를 타고 사흘 동안이나 걸려서 동경, 홍콩, 싱가포르, 뉴델리, 이스탄불, 로마 등을 경유하여 파리에 도착했어요. 아버지께서는 교육열이 남달리 대단하셨습니다. 제가 유학을 가겠다고 말씀드렸을 때 쾌히 승낙을 하시고 우리나라의 심오한 자연을 보고 가야 된다고 하시면서 저를 설악산에 데리고 가셨습니다. 일주일 동안 그렇게도 아름다운 산, 바위, 돌, 폭포를 보여 주시고 “이제 비행기를 타도 되겠다.”고 하셨습니다. 어머니께서도 친구 분들이 저렇게 몸이 약한 애를 어떻게 외국유학을 보내느냐고 하실 때마다 “얘 속에는 영감 셋이 들어 앉아 있어서 걱정이 없다.”고 말씀하셨어요. (웃음)
<대화-삶의 여백에 담은 깊은 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