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미술의 ‘얼굴’ 관객을 유혹
한국 현대미술의 얼굴은 어떻게 생겼을까?
동시대 한국 현대미술의 스펙트럼을 한자리에서 보여 주는 전시들이 발길을 유혹하고 있다.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는 한국의 현대미술이 구비구비 어떻게 흘러왔는지 압축해 보여 주는 대형전시 ‘오늘의 한국미술-미술의 표정’전이 한창 관객을 맞고 있다. 내친 김에 남현동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분관으로도 발길을 옮겨 보자. 회화, 조각, 사진, 설치, 영상 등 한국 현대미술의 변천사를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는 작품들로 ‘내 마음의 보물’전을 열어 놓고 있다.
#‘오늘의 한국미술-미술의 표정’전
예술의전당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전시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46명이 200여 점의 작품을 내놓았다. 아무런 정보가 없는 밋밋한 종이 위에 담긴 이미지들이 어떻게 ‘예술’의 이름을 얻고, 또 보는 이들을 위무하는지 ‘미술의 원리’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자리이다.
이번 전시에는 원로 화가 변시지(82)에서부터 한창 주목받는 젊은 작가 경성현(29)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국내 현대작가들이 참여했다. 최만린, 강요배, 이소영, 민병헌, 구본창, 도성욱, 이동기, 주태석, 함진, 홍경택, 박소영, 정연두, 박은선 박지숙 등 폭넓은 팬층을 거느린 작가들이 총망라됐다.
해외에서 활약하는 작가들도 작품을 많이 내놨다. 황란ㆍ김신일ㆍ윤희섭(미국), 방혜자ㆍ이효성(프랑스), 박성태(중국), 성상원(브라질) 등 해외무대에서 뛰고 있는 작가들도 다수 포함됐다.
회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전시의 의미는 더 커진다. 조각, 사진, 설치, 비디오아트 등 다양하다. 전시 공간을 짜는 데에도 기획의도를 십분 반영했다. 시각예술의 기본에 입각해 ‘형태’ ‘빛과 색채’ ‘움직임’ ‘공간’ 등 4가지 테마에 맞춰 공간을 나눴다.“작가들을 일일이 설득해 전시 주제에 맞도록 작품을 받았다.”는 게 기획 관계자들의 말이다.
만 5세부터 초등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한 2시간짜리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나는야 화가’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한가람미술관에서 7월6일까지.(02)580-1300.
#‘내 마음의 보물’전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분관에도 다양한 장르의 국내 작품들을 통해 한국 미술의 현주소를 보여 주는 기획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남서울 분관은 옛 벨기에 영사관 건물을 개조한 전시공간. 도상봉, 최영림, 오승우, 강익중, 배병우, 김상유, 이이남, 이길우 등 33명의 작품 51점을 만날 수 있다.
달 항아리, 고궁, 불상, 전통 수묵화 등 전통 문화유산에서 영감을 얻은 현대 미술 작품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전시작들의 공통점은 이들 모두 전통 문화유산이 직접적인 소재나 영감이 됐다는 대목. 도자기, 고건축물, 회화 등 부문별로 전시공간이 구성됐다. 예컨대 강익중의 달항아리나 도상봉의 항아리 그림은 ‘도자기’ 섹션에, 배병우의 종묘 사진이나 강정헌과 정진용의 숭례문 그림은 ‘고건축물’ 섹션에서 일목요연하게 감상할 수 있다.8월3일까지.(02)2124-8941.
황수정기자 sj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