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 ‘소프트’에 끌린다
“뉴욕·런던은 지는 해, 토론토·상파울루는 뜨는 해.”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는 입지조건 가운데 건축물이나 문화, 기후 같은 ‘소프트’한 요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파이낸셜 타임스(FT)는 5일 런던에 본부를 둔 컨설팅 업체인 커뮤니케이션 그룹(CG)의 보고서를 인용,“외국인 직접투자의 수혜를 누려온 미국과 유럽의 거대도시들이 상파울루(브라질), 케이프타운(남아공), 도하(카타르) 같은 유망도시들의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보도했다.
신흥시장의 도시들이 빠르게 떠오른 이유는 도시들 사이의 ‘베끼기 효과’ 때문이다. 기업인들이 조세 조건과 임금 수준, 시장에 대한 접근도 등에 투자의 우선 가치를 두고 있긴 하지만, 후발도시들이 선발도시들의 강점을 경쟁적으로 모방함에 따라 도시간 차별성을 찾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그 결과 부차적 조건으로 간주됐던 도시경관이나 문화가 도시경쟁력의 주요 척도로 등장하게 됐다는 것이 보고서의 진단이다.
실제 상파울루와 케이프타운 등은 온화한 기후와 식민지시대의 고풍스러운 건축물, 삼바축제 등의 문화이벤트를 무기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지난해 남아공에 외국인이 투자한 금액은 전년보다 무려 9배나 늘어났다.
슈로더스, 언스트앤영 등 세계적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들과의 인터뷰를 기초로 만들어진 보고서는 “해외투자로 재미를 본 사업가들은 쾌적한 기후와 독특한 문화적 전통, 특출난 건축물과 오락시설 등을 투자지역의 중요한 자산으로 언급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투자유치에 성공한 도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지식경제’에 있다는 통설도 반박했다.
CG의 최고경영자 마이클 헤이먼은 “수없이 언급된 ‘지식경제’ 같은 개념들은 ‘저비용 도시’의 도전에 대한 반작용이었을 뿐, 투자자들의 주의를 끌거나 기대했던 차별점들을 제공하진 못했다.”고 덧붙였다.
국가가 아닌 도시의 ‘브랜드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는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신흥국제도시로 떠오른 아랍에미리트연합의 두바이는 도시의 매력도를 높이려고 ‘똑같은 모양의 건물을 다시 짓는 것을 금지한다.’는 조항을 제외한 모든 건축규제를 철폐했을 정도다.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의 전 CEO 주디스 아이셔우드는 “문화시설들은 시민에게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서 한발 나아가 도시를 위한 경제적 상징물이 되고 있다.”면서 “새로운 시설물 건립에 앞서 그것이 도시와 지역전체에 미치는 경제효과를 따져 보는 일은 필수적인 것이 됐다.”고 말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