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무원’ 레바논 인터넷으로 소통하다
“거리엔 온통 공습이 임박했다는 흉흉한 소문뿐이다. 남편에게 빨리 집으로 와달라고 전화했다. 죽더라도 그의 품 안이라면 고통 역시 덜할 테니까….” 레바논의 젊은이들이 컴퓨터 키보드 앞으로 모여들고 있다. 그들이 목격하는 고통과 참상, 분노와 좌절감을 지구촌 이웃들과 공유하기 위해서다.20일 넘게 이어진 이스라엘의 해상봉쇄와 무차별 폭격으로 레바논을 외부세계와 이어주던 물리적 통로들은 대부분 막혔다. 인터넷만이 이 고립무원의 땅에 남겨진 유일한 소통공간이 됐다. AP통신은 이스라엘의 침공 이후 블로그와 이메일, 웹사이트 게시판 등을 통해 일상의 불안과 전쟁에 대한 견해를 표현하는 레바논인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고 6일 보도했다. 레바논의 인터넷 열기는 이번이 두번째다. 지난해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 암살과 뒤이은 ‘백향목 혁명’ 과정에서 인터넷은 ‘사이버 공론장’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수많은 개인 블로그들이 생겨났고 포털 사이트와 언론사 게시판에서 이뤄지는 정치토론은 여론형성을 주도했다. 지난달 12일 시작된 이스라엘의 공격은 한동안 사그라들었던 이 나라의 인터넷 열기에 다시 불을 지폈다. 폭격으로 인한 잦은 정전도 이들의 열정을 막기엔 역부족이다. 밤새 발전기를 돌려 충전한 배터리에 컴퓨터를 연결한 뒤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생생한 전쟁의 일상을 이메일에 담아 국내·외 친지들에 발송하는가 하면, 다른 사람이 쓴 일기와 만평 등을 각종 해외 포털과 언론사 사이트에 퍼나른다. 영문 웹 다이어리를 서비스하고 있는 ‘일렉트로닉 레바논’은 이스라엘 침공 이후 방문자가 47만명을 넘어섰다. 페이지뷰는 무려 225만회에 이른다. 평소 일기를 쓸 시간도, 관심도 없었다는 여성 하나디 살만(38)은 이스라엘 미사일이 피란길에 나선 차량대열에 명중, 어린이 등 15명이 숨진 사건을 접한 뒤 이 사이트의 웹 다이어리를 통해 현지의 참상을 적극 알리고 있다. 그는 “비로소 현실에 무언가를 기여하고 있음을 느낀다.”면서 “인터넷의 존재를 신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현실의 참담함에 대응하는 방법이 인터넷 글쓰기밖에 없다는 사실에 무력함과 자괴감을 호소하는 네티즌도 있다. 이스라엘 지상군의 공격을 받은 남부도시 티레의 한 네티즌은 2일자 일기에서 “내가 본 모든 것을 남김 없이 적고 싶지만 현실을 드러낼 적절한 언어들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