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긴 사랑 못나눠 미안하다”
“장호야 말을 해봐라. 아들아, 아들아, 장호야, 장호야….”
가슴 북받치는 설움으로 어머니 이창희(59)씨가 아들을 한없이 부르지만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고(故) 윤장호(27·다산부대) 하사는 말이 없었다.
●싸늘한 주검으로 만난 아들
1일 밤 쿠웨이트 무바라크공항 내 미군 공군기지인 제 5원정 항공지원단내 한쪽 편에서는 지난달 27일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기지 앞에서 발생한 폭탄테러로 숨진 윤 하사의 희생을 기리는 추도식이 열렸다. 추도식은 유해를 인수하러 이날 자이툰부대 교대병력을 위한 전세기 편으로 쿠웨이트에 도착한 부모 등 7명의 유족과 류홍규(공군 준장) 합참 인사부장을 단장으로 하는 유해인수단, 윤 하사가 근무했던 다산부대 장병, 송근호 주쿠웨이트 대사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숨진 아들을 직접 맞이하려고 10시간의 비행 끝에 7600여㎞를 달려온 노부부는 아들의 싸늘한 주검 앞에서 속절없이 무너져 내렸다.
●고 윤 하사 어머니 여러번 혼절
윤 하사의 유해는 앞서 28일 밤 아프간 바그람 기지에서 미군 수송기(C-17)편으로 무바라크 공항내 미 공군기지인 제 5원정 항공지원단 내에 마련된 전구영현수집소(TMCT)로 운구됐다.
어머니 이씨는 “장호야, 엄마가 너와 길게 사랑을 나누지 못한 게 정말 미안하다.”면서 “이제 봉우리가 활짝 피는 꽃이 돼야 하는데 꽃도 피워보지 못하고 떨어졌다.”고 울먹였다. 이씨는 또 “장호야, 정말 잘해주지 못해 미안하구나. 용서해줘….”라면서 얼굴을 감쌌다. 이씨는 아들의 유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혼절해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아버지 윤희철(65)씨도 “장호는 입대 후 처음에는 자이툰부대에 지원했다가 떨어져 다시 다산부대를 지원, 파병 길에 나섰다.”면서 “아들은 정말 용감하고 훌륭한 대한민국 최고의 군인”이라고 말했다.
●육군, 윤 병장 1계급 특진
윤 하사의 유해는 1일 저녁 아시아나 전세기편으로 쿠웨이트를 출발해 2일 오전 7시쯤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다. 합참은 윤 하사의 장례를 5일쯤 원소속부대인 특전사부대장(葬)으로 치르는 방안을 유족과 협의하고 있다. 육군은 2일부터 4일까지를 조문기간으로 정하고 많은 장병들이 조문토록 할 방침이다.
이보다 앞선 1일 육군은 지난달 27일 아프가니스탄 무장세력의 폭탄테러로 숨진 윤장호 병장을 하사로 1계급 진급시켰다고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윤 하사의 소속부대 중대장이 1계급 진급 추서를 건의해와 지난달 28일 오후 육군 인사사령부가 심의, 진급 추서 명령을 하달했다.”고 밝혔다.
공동취재단·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