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실견 동호회 ‘반지‘/“애완견 보호에도 관심을”
“지금 하나는 어디서 무얼 하고 있을까.이렇게 매일 하나를 찾아다니는데,하나는 어디에 있는지 연락도 없고….하나야,꼭 언니 품으로 와야 해.”(외로워)
“웃음을 잃어버린지 벌써 5개월.너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무참히 찢겨나가는 전단지처럼….이 세상에 살아 있는 따뜻한 미소가 우리의 만남을 이어줄 것이라고 아주 조심스럽게 기다려본다.”(똘이엄마)
애완견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애절한 마음이다.
전봇대나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간간이 애완동물을 찾는 전단지를 보면 “쳇,얼마나 비싼 애완동물이기에 이렇게 현상금까지 걸어가면서 찾는 거야.”라고 쉽게 말한다.그러나 주인들에게 애완동물을 잃은 슬픔은 가족을 잃었을 때와 같다.
지난 6일 집을 잃은 개들을 보살피고 있는 경기도 양주군 야생동물구조센터에 모인 ‘반지…분실견모임’(cafe.daum.net//ijoah) 회원들에게도 이런 슬픔이 짙게 배어 있었다.주로 개를 잃은 사람들이 회원으로 가입한 이 동호회는 개설 반년만에 회원수 900명을 넘어설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애완동물시장의 급속 팽창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회장은 지난해 12월 딸처럼 기르던 폭스테리어 ‘반지’를 잃은 남궁옥(42·경기도 일산)씨.반지를 찾기 위해 전단지를 만들어 뿌려도 보고,여기저기 수소문을 해봤지만 도저히 찾을 길이 없었다.결국 다루지도 못했던 인터넷에 동호회까지 만들었지만 노력은 허사였다.
올 2월 요크셔테리어 ‘똘이’를 잃어버린 이상순(42·서울 상계동)씨도 분실견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동호회를 찾았다.전단지를 무려 3만 5000장 만들어 가능한 모든 곳에 붙여도 보고,뿌려도 봤지만 돌아오는 것은 “이런 행동은 모두 불법”이라는 말뿐이었다.
잃어버린 개를 찾아다니다가 이제는 분실견 전문가가 다됐다.
이씨는 “파출소에 미아를 신고하듯 잃어버린 애완동물은 구청에 신고접수를 할 수 있고,동물보호소에서 일정기간 데리고 있다는 걸 알게 됐다.”면서 “길을 가다 개를 잃어버렸다는 전단지를 보면 전화를 해서 이런 정보를 알려준다.”며 웃어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답답함을 드러낸다.애완동물 시장이 이렇게까지 커지는 게 두렵다고까지 한다.
남궁씨는 “애완동물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커가고,갈 곳 없는 애완동물이 수십마리에 이르는데 정부의 관심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며 “주인을 잃은 분실견,버려진 유기견 등 애완동물을 이제는 환경문제로 인식하고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애완동물 시장은 1조 2000억원대 규모로 성장했고,애완견 인구만 해도 250만명을 넘어섰다.그러나 분실견·유기견 등 애완동물을 위한 보호소는 전국적으로도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부족하다.그나마 있는 곳도 환경은 열악하고,보호소에 들어온 애완동물도 새 주인을 만나는 것보다는 안락사되는 경우가 더 많다.
동호회 회원들은 “동물보호법이 있긴 하지만 제대로 지키는 기관은 거의 없고,정부의 애완동물 정책도 허술하다.”며 “분실견·유기견이 더 많아지기 전에,애완동물이 애물단지가 되기 전에 더욱 강력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최여경기자 k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