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환자 23명 늘어, 메르스 10대 첫 발생…확산 경로 어떻게 됐나
메르스 환자 23명 늘어, 메르스 10대 첫 발생…확산 경로 어떻게 됐나
메르스 환자 23명 늘어, 메르스 10대, 부산 메르스 환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첫 10대 환자가 발생했다. 또 전북 순창에 이어 부산에서도 확진 환자가 발생하는 등 전국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환자수도 대폭 증가됐다.
●환자수 무더기로 증가 “메르스 2위 발병국가”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메르스 확진자가 23명 확진자가 23명 추가돼 전체 환자 수가 87명으로 늘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확진자가 23명이나 늘면서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메르스 2위 발병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추가된 환자 중 65~81번 환자 17명은 지난달 27∼29일에 삼성서울병원에서 14번 환자(35)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메르스 10대 감염자 첫 발생, 어떻게 감염됐나?
특히 삼성서울병원 감염자 가운데 10대 고등학생인 67번(16) 환자도 포함됐다. 국내에서 10대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7번 환자는 지난달 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거쳐 뇌수술을 받은 뒤 같은 병원에 체류 중이다.
이 환자는 경기도 남양주에 거주하면서 서울 소재 학교에 다니던 학생으로, 입원 중이라는 이유로 보건당국에 의해 격리 관찰자로 분류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76번 환자, 삼성서울병원→건국대병원 이동
한편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거친 뒤 건국대병원에 입원해 있는 메르스 1차 양성 판정을 받았던 환자 역시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76번(여.75) 환자로, 지난달 27~28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감염됐다.
76번 환자도 67번 환자와 마찬가지로 보건당국이 격리관찰자로 통제에서 벗어나 있던 사람이다. 이 환자는 삼성서울병원을 나온 뒤 노인병원과 다른 대학병원을 거치기도 했다. 보건당국은 이 환자의 본격적인 메르스 증상 발현 시점을 건국대 병원에 입원한 뒤로 보고 있다.
●부산 메르스 환자 첫 발생, 전국으로 확산
이와 함께 삼성 서울병원을 거친 뒤 부산에 머물던 81번(62) 환자도 추가됐다. 전날 전북 순창 거주자인 51번(여.72)씨가 메르스 확진을 받은 바 있어 환자 발생 지역은 전국으로 퍼지는 양상을 보였다.
●16번 환자 통해 6명 감염…어디서?
나머지 6명은 16번 환자(40)로부터 의료기관 2곳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4명은 지난달 25∼28일에 대전 대청병원에서 16번 환자와 함께 입원했으며 다른 2명은 28∼30일에 건양대학교병원에서 같은 병동에 입원한 경우다.
이날 새 확진자 23명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76번 확진자(75·여)는 추적관리에서 누락된 채로,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이달 5∼6일)과 건국대병원 응급실(이달 6일)을 거친 후 격리됐다.
보건당국은 해당 기간에 두 병원을 방문한 환자 등은 증상이 의심되면 스스로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말고 자치단체 콜센터(서울 120, 대전 042-120, 경기 031-120)나 웹사이트에 신고한 후 자택에서 대기하라고 당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