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남·천정배 개혁투톱’ 선명성 경쟁
“어쨌든 재미는 있잖아요.”
지난 1월말 열린우리당 신기남 상임중앙위원이 기자들과 점심을 먹다가 던진 말이다.당시는 민주당에서 떨어져 나온 열린우리당의 앞날이 불투명한 때였다.때문에 분당(分黨)의 당위성을 묻는 질문이 나왔는데,신 위원은 대뜸 “그래도 아무 것도 안하고 옛날 그대로 가는 것보다는 낫잖아요.변화가 있고,재미도 있고….”라고 받은 것이다.뭔가 거창한 답변을 기대했던 기자들은 “재미있잖아요.”란 뜻밖의 가벼운 답변에 한동안 말을 잊었다.
그런 신 위원이 17일 거대여당의 새 리더가 됐다.강한 개혁성향의 신기남 신임 의장은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내뱉기로 유명하다.그래서 민주당 시절 그의 ‘언공(言攻)’에 상처를 입은 반대파로부터 ‘탈레반’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정동영 의장 때보다 당이 시끄러워질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신 의장은 말뿐 아니라,행동으로도 강한 개혁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크다.“전당대회를 다시 열어 의장을 다시 뽑자.”는 비주류측의 불만을 서둘러 잠재우기 위해서는 선명한 개혁성을 부각시키는 게 급선무다.현 지도부 출범 1주년인 내년 1월까지는 신기남 의장 체제로 가기로 당내 공감대가 대략 이뤄지긴 했지만,중도하차 압력이 제기될 가능성은 상존하기 때문이다.
잠재적 경쟁자인 천정배 원내대표와의 ‘선명성 경쟁’이 신 의장의 발걸음을 재촉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실제 신 의장은 얼마전 공개석상에서 천 원내대표에게 “개혁의지를 소홀히 하지 말길 바란다.”며 ‘뼈있는 덕담’을 건넸었다.
무엇보다 신 의장 스스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적시했던 언론개혁과 사법개혁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그는 “특정 생각을 가진 언론이 너무 높은 시장점유율을 갖는 것은 건전한 여론형성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며 독과점 언론사 사주의 소유지분 제한과 편집권의 자율성 보장을 위한 법개정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사법개혁의 경우,그가 이끌어온 새정치실천위원회는 법대 교수의 대법관 임용,법무부 외부개방,변호사의 판사임용 확대,로스쿨제도 도입 등을 이미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상생의 정치가 17대 국회의 화두로 떠오른 마당에 신 의장이 자신의 색깔을 100% 과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선원’이었을 때 부담없이 내뱉는 말과 ‘선장’이 됐을 때 하는 발언은 무게와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신 의장은 이날 ‘신기남답지 않게’ 말을 많이 아꼈다.오전 중앙위원회의에서 유시민 의원 등 일부가 “기자실 폐지”를 주장하고 나섰을 때 신 의장은 신중한 자세를 취했고,그래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유 의원은 “중앙당에 기자 250명이 상주하는 기자실을 두는 것은 구태정치의 산물이다.당은 브리핑룸으로 하고,웬만한 것은 국회 기자실을 이용하게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