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이 술술]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유시민 지음
최근 과거 청산과 관련,‘역사의 심판에 맡기겠다.’든가 ‘역사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 말이 단지 후대 역사가의 평가에 맡기겠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이처럼 ‘역사’는 단지 과거의 사건에 대한 기록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쉼 없이 진행되고 있는 ‘인간의 삶’ 그 자체이며, 그 삶에 대한 가장 진지한 성찰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점에서 역사에 대한 진지한 자각과 인식은 우리의 삶을 좀더 알차게 꾸려가기 위한 전제일 것이다.
영국의 역사가 카(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기록과 서술로서의 역사’는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 사이의 대화’이자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화’이며, 그와 동시에 ‘과거의 여러 사건과 점차 나타나게 될 미래의 여러 목적 사이의 대화’라고 했다. 인간은 과거의 일에 비추어 봄으로써 현재를 더 깊이 이해하고, 과거와 현재의 연장선 위에서 미래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으며 또 무엇을 이룰 수 있는지를 어렴풋하게나마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역사는 과거를 대상으로 하되, 궁극적으로 현재의 삶과 미래의 방향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역사를 주제로 하되, 과거의 사건에 대한 기록과 관련된 책이 아니다. 그보다는 역사 그 자체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돼 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어렵고 무거울 수 있는 주제들을 우리가 흔히 지니고 있을 법한 소박한 의문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역사 이해의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문득 역사와 관련된 의문이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문득 언젠가 겪은 일을 다시 되풀이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때도 있고, 아주 분한 일을 보거나 겪을 때면 ‘만약 그 때 이렇게 되었다면….’하는 생각이 떠오를 때도 있다. 그리고 역사의 심판이란 정말 있는 것인지,“이기면 충신이요 지면 역적”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듯이 그저 강자와 승자가 역사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회의가 들 때도 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은 바로 이러한 궁금증에 대한 것들이다.
이 책은 ‘믿어서는 안 될 역사’를 시작으로 ‘신화에서 역사로’,‘과학으로서의 역사’,‘계급투쟁의 역사’,‘민족사의 발견’,‘역사에서의 우연과 필연’,‘영웅과 대중’,‘그래도 믿어야 할 역사’ 등 모두 8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포괄하고 있다. 먼저 손이 가는 단락을 읽어도 좋지만, 처음부터 차례대로 읽으면 생각을 키우고 정리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유니드림 대학입시연구소 (unidream.co.kr)
■ 생각해보기
△역사책에 나온 이야기들을 곧이곧대로 믿을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역사가와 역사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자.
△역사를 바라보는 데 ‘실증주의’와 ‘역사주의’는 각각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써보자.
△민족주의 역사학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써보자.
△‘역사는 위인들의 전기’라는 영웅사관이 지닌 문제는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써보자.
△우리 사회에서는 여전히 친일파 청산과 과거 청산 등이 주요한 쟁점으로 나타나고 있다.‘역사 바로 세우기’가 왜 필요하며,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신의 생각을 써보자.
■ 독서 지도시 참고사항
-대상 학년:중2∼고3
-관련 교과:국사, 한국근현대사, 고등 사회, 윤리와 사상
-함께 읽어 볼 책:역사란 무엇인가(E.H. 카아), 역사에세이(정옥자), 세계사편력(네루)
-관련 기출논제:이화여대 1996년 학년도 논술. 서울대 1995학년도 논술